항목
-
리비우스의 역사학 접근방식새로운 일이 아니었다. 로마 최초의 역사가인 퀸투스 파비우스 픽토르 이래로 200여 년 간 로마에서는 역사 연구와 역사책 저술이 성행했다. 역사서 저술에는 고대 연구에 대한 관심과 정치적 목적이라는 2가지 중요한 동기가 있었다. 특히 BC 100년 이후부터 사람들은 고대의 의식이나 가문의 족보, 종교적인 관습과...
-
르네상스 시대의 역사학영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책들의 목록이 1657년에 출판되었는데, 이 도서목록을 보면 역사책이 많은 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1460~1700년 유럽 전역에서 주요한 고대역사가 17명의 저서가 최소한 250만 부나 출판된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학의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중요한 장애물의 하나는 통치자들이 그들의 통치에 불리...
-
계몽주의 시대의 역사학부여해줄 것이었다. 기번은 로마 제국이 쇠퇴한 원인을 해명함으로써, 그가 살고 있던 당시의 유럽이 로마 제국보다 훨씬 높은 발전단계에 이르러 있으며, 고대세계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으리라는 것을 보여주기로 결심했다. 18세기에 역사학은 대학과는 거의 관계를 맺지 않았다. 따라서 독일의 괴팅겐 같은 몇몇 지역...
-
-
몽골족의 문학 예술과 교육·과학 기술족의 역사학은 매우 유구하며 성과도 상당히 많다. 위에서 언급한 『몽골비사』는 문학적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13세기 몽골문자로 쓴 첫 역사서이다. 저자는 편년체 형식의 생동한 필체로 그 당시 북방 초원의 여러 부족의 통일의 역사, 몽골사회의 생활상태, 계급관계, 칭기즈칸의 정치, 군사조치를 서술하였을 뿐...
- 분류 :
- 만-퉁구스어족 민족 > 몽골족
-
신라 사로(斯盧), 新羅논문집 『한국고대사의 연구』(1971) 신라편과 통일신라편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기에 나온 연구업적으로서 사회학을 전공한 이덕성(李德星)의 유고집 『조선고대사회연구』(1949)는 대학 강의안을 토대로 논문 「신라왕계와 골품의 형성과정」(『역사학연구(歷史學硏究)』 1, 1949)을 부록으로 싣고 있는 소품이지만...
- 유형 :
- 지명/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한국 韓國시대구분의 유형들이 제시되었다. 한국사의 시대구분문제가 제기된 것은 근대역사학이 성립된 이후이며, 특히 1930년대에 사회경제사학이 대두하면서 본격적으로...에 입각해 한국사를 체계화하려 하였다. 이에 따라 원시공동체사회 · 고대노예제사회 · 중세봉건제사회 · 근대자본주의사회 및 사회주의사회 등 5단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현대사
-
삼국시대 삼국시기, 三國時代다만 삼국시대가 시대 구분의 용어로서 엄밀히 정의된 것은 아니었다. 본격적인 시대 구분 논의는 일제 시기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이 수용되면서부터 전개되었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사의 보편적인 발전 과정이 탐구되었고, 이를 염두에 두고 한국사 속에서 고대 · 중세 · 근대 등의 시대를 구분해...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고대사
-
미술 美術대체로 역사학에서 쓰고 있는 왕조 기준의 시대 구분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선사시대는 이를 따로 세분하지 않고 신석기시대부터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 0∼300년경)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삼국시대 이후는 나라별로 구분하고 있는데, 그것이 미술 양식의 변천과 대체로 평행하고 있어 별다른 문제는 없다. 또, 고려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