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북한] 2000년 > 문화ㆍ체육 > 체육 > 체육종목 > 동계 종목 > 개요 북한의 동계체육은 지난 80년부터 1~2월인 ‘겨울철 체육월간’때 집중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 쇼트 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등이다. 쇼트 트랙을 비롯한 동계종목은 12월께 열리는 ‘오산덕상 체육경기대회’, 2월께 열리는 ‘백두산상 체육경기대회’, ‘전국소년속도법상경기’ 등에서 실시...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0년 > 문화ㆍ체육 > 체육 > 체육종목 > 동계 종목 개요 남북 아이스하키 교류 부인 북한의 동계체육은 지난 80년부터 1~2월인 ‘겨울철 체육월간’때 집중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 쇼트 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등이다. 쇼트 트랙을 비롯한 동계종목은 12월께 열리는 ‘오산덕상 체육경기대회’, 2월께 열리는 ‘백두산상 체육경기대회’, ‘전국...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10년 > 문화ㆍ체육 > 체육 > 외부대회 > 밴쿠버 동계올림픽 아쉬운 성적 북한은 2월 12일부터 28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2010 동계올림픽에 여자 빙상의 고현숙과 남자 피겨스케이팅의 리성철 두 명의 선수를 파견했다. 이는 북한의 역대 동계올림픽 출전 사상 가장 적은 규모로, 북한은 1964년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부터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 동계올림픽까지 그 동안...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1996년 > 스포츠 > 개관 > 동계아시아대회 대외적으로 한국은 2월5일부터 11일까지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제3회 동계아시아경기대회에서 종합4위를 차지하며 한해를 시작했다. 이 대회에서 제갈성렬이 분전하고 천희주가 활약하며 스피드스케이팅에서 괄목할 성장을 보여 금메달 2개를 땄고 알파인스키 슈퍼대회전에서 전혀 기대치 않았던 변종문이 정상을 차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6년 > 문화ㆍ체육 > 체육 > 남북한 토리노동계올림픽 동시입장 2000년 시드니올림픽 이후 스포츠에서만큼은 하나됨을 천명했던 남북한이 동계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동시 입장했다. 남북한 선수단은 2월 10일 밤 8시 이탈리아 토리노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열린 제20회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나란히 흰색 방한복을 입고 한반도기를 앞세우며 경기장에 들어왔다. 그 동안 남북한은...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문화ㆍ체육 > 체육 > 동계아시안게임 북한 선수단은 2003년 2월 1일부터 8일까지 일본 아오모리에서 열린 제5회 동계아시안게임에 참가했다. 북한이 동계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것은 제2회 대회 이후 13년만이며 국제 동계 종합대회로는 지난 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이후 5년만이다. 리동호 체육지도위원회 부위원장이 인솔한 북한선수단은 여자 아이스하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1998년 > 스포츠 > 개관 > 나가노동계올림픽 2월7일부터 22일까지 열린 나가노 동계올림픽에는 지난 1924년 샤모니에서 제1회대회가 열린 이후 처음으로 82개국 2,593명의 선수단이 참가해 68개의 금메달을 놓고 격전을 벌였다. 동계스포츠 강국 미국과 러시아, 네덜란드의 강세가 예상됐지만 독일과 노르웨이, 러시아가 1∼3위를 차지했으며 한국은 금 3, 은 1...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10년 > 스포츠 > 제91회 전국동계체육대회(2010.2.2~5, 강원도 평창군 등) > 개요 제91회 전국동계체육대회는 처음으로 3천500명이 넘는 3천572명의 선수와 임원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 대회로 치러졌다. 특히 ‘김연아 효과’로 피겨스케이팅 종목 출전 선수가 2009년도 대회보다 43명이나 늘어난 178명이 참가하는 등 양적 성장이 눈에 띄었다. 하지만,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목전에 두고 열리는...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6년 > 군사 > 군사동향 > 동계훈련 중 단거리미사일 발사 북한군이 2006년 3월 8일 동계훈련 기간을 이용해 미사일 성능개선 시험을 위해 단거리 미사일 2기를 발사했다. 정부 소식통은 3월 9일 “북한이 8일 함경남도 함흥 북쪽 해안부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미사일 2기를 발사했다”며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은 2005년 5월 1일 발사한 사거리 100∼120㎞로 추정되는 소련...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7년 > 자료편 > 법령ㆍ자료 > 2007년 분야별 이슈 > 스포츠 >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실패 평창이 2003년에 이어 또다시 동계올림픽 유치에 실패했다. 2007년 7월 5일 과테말라에서 열린 제119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총회의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투표에서 평창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은 소치에 2차 투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무릎을 꿇었다. 이로써 한국은 4년 전 체코 프라하에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7년 > 자료편 > 법령ㆍ자료 > 2007년 100대 뉴스 > 57. 평창,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 실패 철의 장막’ 크렘린을 넘지 못하고 또 한 번 눈물을 삼켰다. 평창은 7월 5일(한국시간) 오전 과테말라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제119차 총회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 2차투표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은 소치에 47-51로 또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 1차 투표 결과...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7년 > 자료편 > 법령ㆍ자료 > 2007년 100대 뉴스 > 5. 창춘 동계아시안게임, 한국 종합 3위 한국이 제6회 창춘(長春) 동계아시안게임에서 금 9, 은 13, 동메달 11개 등 모두 33개의 메달로 종합 3위에 그쳐 애초 목표였던 종합 2위 수성에 실패했다. ‘금메달 텃밭’으로 자리 잡은 쇼트트랙은 중국의 편파판정 의혹 속에 4개 세부 종목을 석권해 ‘절반의 성공’이란 평가를 받았고, 기대했던 알파인 스키에서는...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