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동계 大同系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쥐라기에 걸쳐 형성된 육성층(陸成層).|내용 주로 역암 · 사암 · 셰일로 되어 있고 무연탄층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며 습곡 작용과 역단층 작용을 받아 교란이 심한 지층이다. 평안계(平安系)와 그 이전의 지층을 경사부정합(傾斜不整合)으로 덮으며 쥐라기말 내지 백악기의 경상계(慶尙系...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대동계 大同契
    마을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한 자치조직인 동계의 일종.|마을의 이익을 공동으로 추구하기 위해 조직된 기능집단의 하나. 계원의 상호부조와 공동이익을 위해 규약을 만들고 그에 따라 운영했다.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각 가구가 같게 또는 차등을 두어 현물이나 금전을 모아서 공유재산을 형성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대동계 大同契
    조선시대 정여립의 역모사건의 증거로 거론된 계.|내용 정여립은 병란이 일어나게 될 것을 미리 알고 전주·금구·태인 등 이웃 고을의 여러 무사들과 공·사천의 노비 등 계급의 상하를 통하여 계를 조직하고, 매월 향사회(鄕射會)를 열어 주식(酒食)을 마련하여 즐기면서 궁술을 익혔다고 한다. 1587년(선조 20) 왜...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정여립 (관련어 대동계) Jeong Yeo-rip, 鄭汝立
    1546년~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자(字)는 인백(仁伯), 호는 죽도(竹島), 본관은 동래(東萊). 이이와 성혼의 문인이다. 선조 22년에 역모자로 몰리자 자결했다고 《선조실록》에 기록되어 있으나 사인은 불분명하다. 천하공물설(天下公物說)과 하사비군론(何事非君論)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지나치게 시대를 앞...
    도서 위키백과
  • 부전대동계
    문화재 정보 부전대동계(浮田 大洞契)는 1663년에 중수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대한민국 공주시 우성면 부전동(뜸바골 ; 내산리, 한천리, 도천리, 신웅리 등의 4개리, 15개의 자연마을) 대동계 자료이다. 2013년 4월 22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26호로 지정되었다. 부전대동계 자료는 모두 47점이며 이 자료들...
    도서 위키백과
  • 진천 산우물 대동계 문서 및 관련 자료
    문화재 정보 진천 산우물 대동계 문서 및 관련 자료(鎭川 山井 大洞稧 文書 및 關聯 資料)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에 있다. 2013년 5월 31일 충청북도의 민속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대동계는 미호천의 지류인 이내울천에 인접한 동성리, 가산리, 송두리, 상신리 등 4개리의 12개 마을에서 전승되어온...
    도서 위키백과
  • 영암 구림대동계 문서
    문화재 정보 영암 구림대동계 문서(靈巖 鳩林大同契 文書)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이다. 1997년 7월 15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구림대동계가 정확하게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숙종 32년(1706)에 작성된 박사량의 구림동계 전말 서기를...
    도서 위키백과
  • 영암 장암정 대동계 문서
    문화재 정보 영암 장암정 대동계 문서(靈巖 場巖亭 大同契 文書)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장암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동계 문서이다. 2019년 11월 14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37호로 지정되었다.전라남도 고시 제2019-394호, 《전라남도 지정문화재 지정 고시》, 전라남도지사, 전라남도 도보 제2019...
    도서 위키백과
  • 정여립 鄭汝立
    정치적 결사의 성격을 갖는 대동계를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모반을 꾀한다는 서인의 탄핵을 받고 체포되기 직전 자결했다. 천하공물설·하사비군론과 같은 당시로는 혁신적인 사상을 표방했다. 본관은 동래. 자는 인백, 호는 죽도. 아버지는 첨정 희증이다. 이이(李珥)의 문인이다. 1567년(명종 22) 진사가 되고, 1570년...
    출생 :
    1546(명종 1)
    사망 :
    1589(선조 22)
    국적 :
    조선, 한국
  • 경상누층군 慶尙累層群
    들어와서 경상분지를 비롯하여 여러곳에 작은 퇴적분지가 형성되었으며 그곳에 화산활동을 수반하여 두꺼운 육성퇴적층이 형성되었다. 이 퇴적층은 한때 상부대동계(上部大同系)로 불리었으나 1940년대부터 경상계로 호칭되었고, 최근에는 경상누층군으로 불린다. 하부의 낙동통(洛東統)과 상부의 신라통(新羅統)으로...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대동회 동회, 大洞會
    개설 흔히 ‘동회(洞會)’·‘대동계(大洞契)’·‘동계(洞契)’·‘이중계(里中契)’라고도 한다. 이런 명칭들은 엄격히 따지면 각각 내용상의 차이가 있다. 대동회·동회·이중계는 촌락사회의 운영을 논의하기 위한 회합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대동회가 정초의 첫 동회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은 편이라면, 동회와...
    성격 :
    사회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촌락
  • 장암정 場岩亭
    개설 1987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장암정은 장암 대동계(大同契)에서 1668년(현종 9)에 동약(洞約)의 모임 장소로 지은 정자이다. 동약이란 조선시대 시골 마을에서 마을 사람들 스스로 만들어 놓은 규칙으로 좋은 일은 서로 권유하고 잘못은 서로 바로 잡아주며, 어려운 일이 있으면 서로 도와주는 것을 목적...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건

대동계사
영암 대동계
영암 대동계
영암구림대동계문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