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가위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추석'보다 쉬운 우리말 '한가위' 우리 겨레의 가장 큰 명절, 한가위는 추석, 가배절, 중추절, 가위, 가윗날로도 불립니다. 그럼 이 가운데 어떤 말을 쓰는 것이 좋을까요? '한가위'라는 말은 '크다'는 뜻인 '한'과 '가운데'라는 뜻인 '가위'가 합쳐진 것으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입니다. 또 가위라는 말...
-
한가위 추석본 뜻 추석을 달리 이르는 ‘한가위’란 말은 ‘크다’는 뜻을 가진 ‘한’과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가위’가 합쳐진 말이다. ‘가위’란 한 달의 가운데, 즉 ‘보름’이란 뜻이니 한가위란 ‘큰 보름’이란 뜻이다. 보름 중에서도 큰 보름이 두 개 있는데 그중 하나가 농사일을 시작할 때 치르는 ‘정월 대보름’이고...
- 유형 :
- 순우리말
-
추석보다는 한가위가 더 좋은 말, 한가위 추석우리 겨레의 가장 큰 명절, 한가위는 추석, 가배절, 중추절, 가위, 가윗날로도 불립니다. 하지만 요즘은 이 가운데서 추석이란 말을 가장 많이 쓰는 듯합니다. 과연 어떤 말이 가장 바람직할까요? 먼저 중국에서는 가을을 셋으로 나눠 음력 7월을 맹추(孟秋), 8월을 중추(仲秋), 9월을 계추(季秋)라고 불렀는데 그에 따...
-
-
추석 (동의어 한가위) 秋夕음력 8월 15일로 가배·가위·한가위·중추절 등으로 불리는 우리나라의 명절. 가배·가위 개설 가배·가위·한가위 또는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한다. 이 때는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에 있어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들이 익어 수확을 거둘 계절이 되었고 1년 중 가장 큰 만월 날을 맞이하였으니 즐겁고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한가위 햅쌀밥, 더 맛있는 이유는?“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우리 민족 최대 명절 중 하나인 추석이다.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먹고, 보름달을 보며 소원 빌고, 강강술래를 하고 놀며, 조상의 산소를 찾아 성묘하는 풍요로운 날이다. 이렇듯 ‘추석’ 하면 다양한 것들이 떠오르는데, 그중 빼놓을 수 없는 것으로 ‘햅쌀밥’이 있다...
-
일부 사대부는 한가위에 성묘하지 않았습니다마음이 시키면 언제든지 할 수 있는 성묘 한가위 명절에는 성묘를 갑니다. 《주자가례》를 보면, 성묘는 묘제, 곧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의 하나로 되어 있으나 본래는 성묘에 제사절차가 합쳐져 묘제로 발전한 것으로 봅니다. 성묘는 주로 한식이나 한가위에 하는 것으로, 한식은 겨울 동안 찾아뵙지 못한 조상에게 인사...
-
한식 설, 단오, 한가위와 더불어 4대 명절의 하나,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절기, 寒食그들의 소원대로 이달 9일에는 진법연습을 하지 말고 제사를 지낼 수 있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라는 상소에 임금이 이를 수락했다는 기록이 보입니다. 설, 단오, 한가위와 더불어 4대 명절의 하나인 한식은 계절적으로는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철이기도 하며, 겨우내 무너져 내린 무덤을 보수하는 때이기도 합니다...
-
거북놀이 한가위 풍습빈 솥에다 맹물 붓고 불만 때도 밥이 가득 한가위 큰 명절의 각종 세시풍속 가운데는 거북놀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거북놀이는 수수 잎을 따 거북이 등판처럼 엮어 등에 메고, 엉금엉금 기어 거북이 흉내를 내는 놀이입니다. 이 거북이를 앞세우고 "동해 용왕의 아드님 거북이 행차시오!"라고 소리치며, 풍물패가...
-
추석에 ‘슈퍼문’ 보며 소원 빌어보세요가을의 한 가운데 달이며, 팔월의 한 가운데 날이라는 뜻의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추석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보름달이다. 올해 보름달은 가장 큰 ‘슈퍼문’일 것으로 예상돼 더욱 관심이 크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추석 당일인 27일에 서울을 기준으로 오후 5시 50분에 보름달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