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각평형설 地殼平衡說, isostasy
    지각은 그 구성성분과 표면의 높이가 상당히 다르지만, 이 설에서는 아래층에서 표면까지 뻗어 있는 같은 단면적을 갖는 가상적인 기둥들의 무게는 지구 어디에서나 같다고 간주한다. 이는 산맥들처럼 평균해면 위로 솟아 있어, 질량이 초과되는 곳에서는 평균해면 아래가 밀도가 낮은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뜻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지각변동 地殼變動, diastrophism
    대륙이동, 지각평형, 대규모의 삼각주 등에 의한 퇴적하중, 습곡, 단층, 암층의 붕괴 등은 지각에 영향을 미쳐 대륙·해양분지·산맥·열곡 및 여러 가지 지형을 형성시킨다. 지각변동의 연구는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지질학과 지구물리학의 통일된 중심과제로 여겨졌다. 구조운동은 주로 대륙이동과 같은 직선운동 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지각의 8대 구성 원소 地殼-八大構成元素, 8 elements of eart..
    없는 원소로 질소·금·백금·구리와 비활성 기체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지구의 내부 구조를 층으로 구분했을 때 가장 바깥쪽의 표면을 구성하는 부분을 지각이라 하며 이는 지구 전체 부피의 약 1%를 차지하며 지구 전체 질량의 0.5% 미만을 차지한다. 지각 중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원소는 산소(O : 46.6%...
    도서 다음백과
  • 지각 地殼板, tectonic plates
    판(板) 또는 플레이트(plate)라고도 하며, 현재의 지구는 크고 작은 10여 개의 판이 모자이크 모양을 이루고 있다. 판은 육지에 분포하는 대륙판과 해양 지각을 포함하는 해양판으로 구분된다. 대륙판에는 북아메리카판, 유라시아판, 남아메리카판, 아프리카판, 인도판 등이 있으며, 해양판에는 남극판, 태평양판...
    도서 다음백과
  • 대륙 지각 大陸地殼, continental crust
    지각은 크게 해양 지각과 대륙 지각으로 구분된다. 대륙지각은 대륙과 대륙의 연장 부분을 이루고 있는 지각으로 두께는 35km 정도로 평균 5km 정도 두께를 갖는 해양 지각에 비해 훨씬 두껍게 나타난다. 높은 산맥이 위치하는 곳의 대륙 지각은 60~70km에 이르기도 한다. 대륙 지각은 밀도 약 2.7g/㎤의 화강암질 조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해양 지각 海洋地殼, oceanic crust
    지각은 크게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으로 구분된다. 해양지각은 현무암질 조성을 띠기 때문에 화강암질로 된 대륙지각에 비해 다소 무겁다. 또한 해양지각의 두께는 평균 5km 정도로 35km 정도의 평균 두께를 갖는 대륙지각에 비해 훨씬 얇게 나타난다. 해양저의 중앙에 위치하며 4,000~6,000미터 깊이의 바다 밑에 산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조선/해양
  • 지각평형설 地殼平衡說
    지각이 맨틀위에 떠서 평형을 이루고 있음은 생각 * 지구의 구성물질 - 해양지각 : 현무암질, 암석, 퇴적물 - 대륙지각 : 상부는 화강암질 암석, 하부는 현무암 조성의 반려암으로 구성 - 맨틀 : 주로 감람암으로 구성 - 핵 : 대부분은 철과 니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규소와 같이 가벼운 물질도 있음.
    분야 :
    해양정책
  • 해양 지각 Oceanic crust, 海洋性地殻
    해양지각은 해양저에 접하는 암석권의 일부이다. 해양판은 대륙판과 마찬가지로 모호면을 통해서 그 아래에 있는 연약권과 구분되며 지각평형을 통해 연약권 위에 떠 있다. 해양지각은 염기성암으로 구성되어있다. 해양지각의 두께는 대륙지각의 두께에 비하여 얇아서 10km가 채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도서 위키백과
  • 지각 평형설 Isostasy, アイソスタシー
    지각 평형설을 구해보면, 부게 이상이 그 지역의 지형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부게 이상값이 해변에서는 0에 가깝고, 해양에서는 심해저 쪽으로 갈수록 (+)의 값으로 증가하며, 육지에서는 고지대 쪽으로 갈수록 (-)의 값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사실은 고지대에서는 해수면 상부에 존재하는 질량을...
    도서 위키백과
  • 지각 균형 보정 地殼均衡補正, Isostatic Correction
    표준 중력식은 지표면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지표면하의 밀도가 균일하다는 가정 아래 계산된 것이지만, 지각 균형설에 의하면 밀도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해 실시하는 보정을 이르는 말.
    분야 :
    지휘 ・ 통제 ・ 통신
  • Isostasy 지각 평형설, アイソスタシー
    Isostasy (Greek ísos "equal", stásis "standstill") is the state of gravitational equilibrium between Earth's crust and mantle such that the crust "floats" at an elevation that depends on its thickness and density of underlying roots of the low density of the mountain.This concept is invoked to...
  • 더턴 Clarence Edward Dutton
    지각평형설(地殼平衡說)을 발전시키고 명명했다. 지각평형설에 따르면 지각의 높이는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가벼운 물질은 상승해서 대륙·산맥·고원을 형성하며 무거운 물질은 가라앉아 분지나 대양을 형성하게 된다. 더턴은 1862년 미육군에 소위로 입대해 남북전쟁후 뉴욕 주 트로이에 있는 병기고로 파견...
    출생 :
    1841. 5. 15, 미국 코네티컷 왈링퍼드
    사망 :
    1912. 1. 4, 뉴저지 앵글우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