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천익 鄭天益
    고려후기 문익점이 가져온 목화를 재배 보급시킨 학자. 독농가.|생애 및 활동사항 1362년(공민왕 11) 승보시(升補試)에 합격하여 생원자격을 얻었으나 관직으로 이름을 남기지는 않았다. 사위 문익점(文益漸)이 원나라에 서장관으로 갔다가 귀국하면서 몰래 가져온 목화씨를 심어 3년간의 노력 끝에 재배법을 터득하여...
    시대 :
    고려 후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독농가
    성별 :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정천익
    정천익(鄭天益, 생몰년 미상)은 고려 공민왕 때의 하급 관료 출신이자 삼우당 문익점의 장인으로 목화 배양 및 재배에 성공하여 목화 재배를 보급하고, 물레를 고안하여 사후 문충공(文忠公)이라는 시호를 받고, 생전에는 진양군(晋陽君)에 봉하여졌다. 1363년 사신으로 원나라에 방문한 사위 문익점이 이듬해 원나라에...
    도서 위키백과
  • 문익점 일신, 文益漸
    귀국할 때 그는 종자(從者) 김룡(金龍)을 시켜 밭을 지키던 노파가 막는 것을 무릅쓰고 목화 몇 송이를 따서 그 종자를 붓대 속에 넣어 가지고 돌아와 장인 정천익(鄭天益)에게 나누어 주고 함께 시험 재배를 하였다. 처음에는 재배기술을 몰라 한 그루만을 겨우 살릴 수 있었으나 3년간의 노력 끝에 드디어 성공하여...
    시대 :
    조선
    출생 :
    1329년
    사망 :
    1398년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성별 :
    분야 :
    경제·산업/산업
    본관 :
    남평(南平)
  • 청계서원 봉남서원(鳳南書院), 淸溪書院
    때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운 은열공(殷烈公) 정신열(鄭臣烈)과 고려 말 물레를 만들어 백성들에게 따뜻한 목면(木棉) 옷을 입게 한 문충공(文忠公) 정천익(鄭天益)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당시 훼철되었다가 1961년 복설(復設)하면서 봉남서원(鳳南...
    시대 :
    조선후기
    건립시기 :
    1833년(순조 33)
    성격 :
    서원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415 진주성,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
    분야 :
    교육/교육
  • 문익점 文益漸
    마음먹었다. 그가 원나라에서 탐스러운 목화밭을 보고 나라 밖으로 반출이 금지되어 있던 목화씨를 붓대 속에 감추어 왔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씨앗을 심었는데 처음에는 재배법을 몰라 한 그루만 겨우 살렸다고 한다. 하지만 두 사람은 3년의 노력 끝에 대량 재배에 성공했다. 그러나 목화...
    출생 :
    1329년
    사망 :
    1398년
  • 문익점 목화재배를 보급시킨 고려의 문신
    이를 지지했는데, 덕흥군이 패했다. 문익점은 그뒤 귀국했다가 그 혐의로 파직되었다. 귀국할 때 금수품이던 목화씨를 몰래 가지고 들어와 진주에서 장인인 정천익과 함께 3년 만에 목화재배에 성공했다. 처음에는 목화에서 씨를 제거하고 실을 뽑을 줄 몰랐으나, 정천익이 호승·홍원에게 씨를 빼는 씨아[取子車]와 실...
    출생 :
    1329(충숙왕 16)
    사망 :
    1398(태조 7)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본관 :
    남평(南平,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시호 :
    충선공
  • 문익점 의류혁명을 이끈 고려 선비
    떠돌 때 밭에서 백설 같은 꽃을 발견했다. 이것이 옷감을 만드는 목화라는 것을 알고 붓두껍 속에 씨앗 세 개를 지니고 왔다고 한다. 그는 고향에서 장인인 정천익(鄭天益)에게 목화씨를 보이고 함께 밭에다 정성껏 심었다. 그런데 세 개 중에 싹이 튼 것은 한 개뿐이었다. 이를 정성껏 돌봐 씨앗 100개를 얻었고 이를...
    출생 :
    1329년
    사망 :
    1398년
  • 문익점, 목화씨 전파
    서장관으로 원나라에 갔던 문익점이 목화씨를 가지고 돌아왔다. 문익점은 고향인 단성 마을(지금의 경상남도 산청)에서 장인 정천익과 함께 목화를 재배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정천익은 원나라 승려 홍원에게 직조법을 익혀 목화에서 나온 실로 면을 짜게 된다. 참조
    시대 :
    1364년
    국가/대륙 :
    한국
  • 청계서원(진주)
    33)에 건립되었으며,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는 데 공을 세운 정신열 선생과 고려 말 물레를 개발하여 백성들에게 따뜻한 목면(목화) 옷을 입게 한 정천익 선생의 위패를 봉안한 서원이다. 본래 대평면 마동에 건립되었으나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훼철된 것을 1961년에 지금의 자리에...
    위치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
  • 목면화기 木棉花記
    퍼뜨린 것이다. 그러나 목화씨를 어떻게 제거하고 실을 어떻게 뽑을지 모르던 차에 호승(胡僧)이 우리 나라 산천을 두루 다니며 구경하다가 문익점의 장인 정천익(鄭天益)의 집에 머물러 있던 중 홀연히 목화를 보고 울면서 고향에서 목화를 본 지 수년 만에 이국에서 번성하는 목화를 보니 자연 눈물이 난다고 하였다...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미상(필사)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분야 :
    경제·산업/산업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목화 면화, 木花
    있다. 우리나라의 목화재배는 1363년(공민왕 12)문익점(文益漸)이 서장관으로 원나라에 갔다가 귀국할 때 목화씨를 얻어 붓통에 넣어가지고 와서 그의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재배함으로써 시작되었다. 문익점 면화시배지는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이다. 정천익은 3년의 시험 끝에 재배에 성공하였다...
    분류 :
    아욱과
    원산지 :
    인도
    성격 :
    식물, 일년생 초본식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90㎝
    학명 :
    Gossypium indicum LAM.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7월 하순∼8월 하순
  • 묘법연화경 법화경, 妙法蓮華經
    책은 1399년(정종 1) 7월에 간행되었다. 책 끝에는 남재(南在, 1351∼1419)가 쓴 발문이 있다. 그에 따르면, 도인 해린(海隣)이 계환의 주해본을 입수한 뒤, 정천익(鄭天益), 이양(李穰), 전 안양사 주지 선묵(鮮默)대선사, 각진(覺眞) 등의 시주와 도움을 받아 만 1년 동안의 작업 끝에 간행하였다고 한다. 『묘법...
    시대 :
    조선
    저작자 :
    구마라집(번역), 계환(주해)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081호
    창작/발표시기 :
    1399년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2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