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문익점

다른 표기 언어 文益漸
요약 테이블
출생 1329(충숙왕 16)
사망 1398(태조 7)
국적 고려, 한국
종교 불교
본관 남평(南平,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시호 충선공

요약 고려 충숙왕 때 원나라에서 몰래 목화씨를 가지고 귀국해 국내에 목화를 보급한 고려의 문신. 호는 삼우당으로 공민왕 9년에 문과에 급제해 좌정언으로 원나라에 갔다가 귀국할 때 금수품이던 목화씨를 몰래 가지고 들어와 장인과 함께 3년 만에 목화재배에 성공하였다. 이후 씨아와 물레 만드는 법을 배워 이를 보급시켰다. 목면을 보급한 공으로 우왕 1년에 전의주부에 임명됐으며, 창왕 1년에 좌간의대부를 지냈다. 그러나 전제개혁 문제를 둘러싸고 이색 등과 함께 사전 혁파를 반대하다가 조준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다.

문익점(文益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관은 남평. 호는 삼우당. 아버지는 숙선이다.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하여 김해부사록·순유박사를 거쳐 1363년에 좌정언으로 계품사의 서장관으로 원나라에 갔다. 이때 원나라에서 공민왕을 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아들인 덕흥군을 왕으로 세워 고려로 진군하게 하자 이를 지지했는데, 덕흥군이 패했다.

문익점은 그뒤 귀국했다가 그 혐의로 파직되었다. 귀국할 때 금수품이던 목화씨를 몰래 가지고 들어와 진주에서 장인인 정천익과 함께 3년 만에 목화재배에 성공했다. 처음에는 목화에서 씨를 제거하고 실을 뽑을 줄 몰랐으나, 정천익이 호승·홍원에게 씨를 빼는 씨아[取子車]와 실을 뽑는 물레[繅絲車]를 만드는 방법을 배워 이를 보급시켰다. 목화가 널리 전해짐으로써 일반 백성들의 의복 재료가 종래의 삼베[痲布]에서 무명[綿布]으로 바뀌게 되었다.

목면을 보급한 공으로 1375년(우왕 1) 전의주부에 임명되었으며, 1389년(창왕 1) 좌간의대부를 지냈다. 그러나 전제개혁 문제를 둘러싸고 이성계파와 이색·우현보 등의 의견이 갈라졌는데, 이색 등과 함께 사전 혁파를 반대하다가 조준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다. 조선 태종 때 그의 공을 기려 참지의정부사·예문관제학·동지춘추관사·강성군을 추증하고, 두 아들을 사헌부감찰로 발탁했다. 1440년(세종 22)에는 영의정과 부민후를 추증했고 충선공이라 시호를 내렸다.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의 문익점면화시배지가 사적 제108호로 지정되어 있고, 이곳에 삼우당선생면화시배사적비가 세워져 있다. 목화의 전래와 재배, 가공 등에 대한 내용이 〈목면화기 木棉花記〉에 실려 있다.

문익점이 목면을 전래했다는 것에 대해 고려 이전 시기에 이미 목화가 재배되고 있었다는 이설이 있다. 그러나 고려 이전 시기의 기록에 나타나는 면포는 대개 누에실에서 뽑아낸 사면을 일컬으며 이 목면포는 중국에서도 송말·원초에 처음 보급되었으므로 우리나라에서 목화가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말이라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7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문익점 비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문익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