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디자인 design우리나라에서는 '디자인' 대신 1950년부터 '의장(意匠)'을 사용해 오다가 1970년대 들어 '디자인'이 대중화되면서 널리 사용하기 시작했다. 특허법에서도 영어의 'design'에 해당하는 단어로 '의장디자인'을 사용해 오다가 순우리말로 바꾸어보려 했으나 그 의미에 적합한 낱말이 없어 '디자인'을 그냥 사용하기로 했다...
-
공중 투하 화물 의장 화물 의장, 空中投下貨物意匠화물을 공중 투하하기 위하여 내외 포장 및 낙하 장치를 부착하는 일련의 업무. 공중 투하 화물 의장은 '화물 의장'이라고도 한다.
- 분야 :
- 전력지원체계
-
디자인권 ─權, The Right of Industrial Design의장법」이 전문 개정되었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 개정되다 2004년 국민의 법령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디자인의 창작이 장려될 수 있도록 종전의 ‘의장(意匠)’이라는 용어를 국민에게 친숙한 ‘디자인’으로 변경하여 「디자인보호법(디자인保護法)」으로 개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디자인보호의 중요성이 점차 커짐...
- 시대 :
- 현대
- 성격 :
- 권리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61년 12월 31일
- 시행처 :
- 특허청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치미 鴟尾연꽃무늬 등이 새겨져 있는 경우가 일반적인 형태이다. 치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으나 길상(吉祥)과 벽사(辟邪)의 상징으로서 의장(意匠)된 상상의 새인 봉황에서 비롯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 한나라 때는 반우(反羽), 진나라 때는 치미, 당나라 때는 치문(鴟吻), 통일신라 때는 누미...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12m. 이 석탑은 전체를 대리석으로 건조하였는데, 형태가 특수하고, 의장(意匠)이 풍부하여 조선시대의 석탑으로는 유례를 다시 찾을 수 없는 최우수작이라 하겠다. 현재 10층 옥개석까지 남아 있고 그 위의 상륜부(相輪部)는 없어졌는데, 상부의 3층 옥개석(屋蓋石)이 오랫동안...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
회귀선 回歸線시를 누구보다도 고스란이 안아본채/가장 안정된 기초 위에 설치되어 있다”에서 보는 것처럼 명상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제2부에는 「향수(鄕愁)의 의장(意匠)」, 「어느 지역의 계절」 등 10편이 실려 있다.「향수의 의장」은 “이탈(離脫) 못하는 연륜을 권태와 하품을 반추(反芻)하면서” 살아 온 자신의 삶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구경서
- 창작/발표시기 :
- 1957년 6월 30일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중앙문화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조식하였는데, 삼층의 갑석만은 상단부에 난간을 돌리고 그 위에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다른 일반형 석탑에서의 탑신 굄대와도 같은 의장(意匠)의 가구(架構)인 것 같다. 탑신부는 10층으로 이루어졌는데, 초층과 2·3층은 기단부와 같이 사면 두출성형의 아(亞)자형을 이루었고 그 위의 4층부터는 방형...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추줄산 위봉사 위봉사(圍鳳寺), 崷崪山 威鳳寺있으며, 뒷벽에는 문이 장치되어 있는데 열어보면 높이 3m 정도의 인자하고 아름다운 백의관음상(白衣觀音像)이 있다. 이는 다른 곳에서는 보기 어려운 의장(意匠)이다. 또한, 1976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위봉사 요사는 조선말에 건축한 것으로 익공식아자형(翼工式亞字形...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창덕궁 연경당 昌德宮 演慶堂기초자료의 구실을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집은 궁궐 내에 지어진 유일한 상류주택으로서 가치가 있다. 현재와 같은 주택으로 지어진 연대(年代)와 동기(動機) 등은 불분명하지만 조선후기 동안 이룩된 주택 및 궁궐건축의 의장(意匠)과 재료사용 및 공간의 변화 등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