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불퇴전 불퇴(不退), 不退轉
    개설 수행할 때 뒤로 물러서거나 깨달음을 잃어버리지 않는 상태를 불퇴전이라고 한다. 불퇴(不退) · 무퇴(無退) · 필정(必定)이라고도 하고, 아유월치(阿惟越致) · 아비발치(阿毘跋致)등으로 음사한다. 산스크리트어로 avaivartika, avinivartanīya, 팔리어로 asalīnatta, appaṭivāni라고 한다. 내용 보살이 수행...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상지은니 불설보우경 권2 현수불퇴전보살기, 橡紙銀泥 佛說寶雨經 卷二
    수기를 주고 지일체개보살(知一切皆菩薩)이 일백일사(一百一事)를 물을 때 매사에 서사 · 공양(供養) · 보시(布施) 등을 행하라고 가르친 경전으로 ‘현수불퇴전보살기(顯授不退轉菩薩記)’라고도 한다. 한줄에 17자씩 배열되었고 6항(行)씩 절첩되어 있다. 사성기(寫成記)가 없어 제작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권...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일수불퇴 (바둑용어) 一手不退
    바둑에서, 한번 놓은 착수는 되돌릴 수 없다는 말. 바둑규칙에서는 한번 놓은 수를 되돌리거나, 한번 더 착수하는 것은 반칙패를 선언하도록 되어 있다.
  • 불퇴법아라한
    大毘婆沙論卷六十二、俱舍論卷二十五〕(參閱「九無學」234、「阿羅漢」4663)p1696 전생에서 부동법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한 이가 현생에서 불퇴법아라한이 된다. 줄여서 불퇴법(不退法)이라고도 하며, 《성실론》제1권에서는 불퇴상아라한(不退相阿羅漢) 또는 불퇴상(不退相)이라 이름하고 있다. 《아비달마구사론》제...
    도서 위키백과
  • 십주 십해(十解), 十住
    이타심을 닦아 살아 있는 모든 것의 마음을 깨끗하게 한다. 제6주인 정심주(正心住)에서는 동요하지 않는 마음을 체득하여 공을 확고히 깨닫는다. 제7주인 불퇴주(不退住)에서는 흔들림이 완전히 없어져 일(一)과 다(多)의 상즉과 유와 무의 일체에 대해서 교설하는 방법을 몸에 익힌다. 제8주인 동진주(童眞住)에서는...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동국대학교 동국대, 東國大學校
    법무대학원 · 산업경영대학원을 신설하였다. 기능과 역할 불교정신에 입각하여 진리를 구명하고 전수하는 종합대학으로서 ‘지혜의 체득, 자비의 실천, 불퇴(不退)의 정진’을 교육지표로 삼고 있다. ‘지혜의 체득’은 맑고 바른 마음의 자각을 뜻하여 이를 모든 진리탐구의 기본으로 삼게 하고, ‘자비의 실천’은...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
  • 발원문 發願文
    백화도량에 왕생해 모든 보살들과 함께 바른 진리를 익혀 무생법인을 이루고자 한다고 했다. 불교의식에서 정형화된 발원문에는 신행·정진·참회·불국·대각·불퇴 발원문 등이 있다. 근래에는 한문으로 양식화된 발원문 외에 한글로 쉽게 풀어쓴 발원문이 널리 보급되었으며, 특히 이산선사 발원문이 많이 사용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통영 연화사 불설아미타경 소무량수경(小無量壽經), 統營 達花寺 佛說阿彌陀經
    꽃들은 그윽한 향기를 풍기고, 고운 새들이 날아들어 아름다운 목소리로 하루 여섯 번씩 부처님의 법을 연설한다. 이 같은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것은 곧 불퇴전지(不退轉地)에 들어서는 것이 된다. 아미타불의 이름을 사유하고, 하루 내지 7일 동안 염(念)하여 어지럽지 않으면 임종할 때 아미타 부처님이 그 사람 앞에...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대부고, 東國大學校師範大學附屬高等學校
    졸업식을 거치면서 총 2만 55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훈은 ‘바르게 살자, 부지런하자, 서로 돕자’이고, 교육목표는 ‘지혜의 체득, 자비의 실천, 불퇴의 정진’이다. 자비정신을 바탕으로 자아 완성과 정의사회의 주축이 될 유능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신뢰받는 학교장, 존경받는 교사상, 민주적인 학생...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벚꽃로 201(장안2동 328)
    설립 :
    1947년 6월 24일
    성격 :
    고등학교, 사립고등학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조선체신사업협회
    분야 :
    교육/교육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동대부여중, 東國大學校師範大學附屬女子中學校
    교훈은 건학이념의 정체성을 찾아 ‘고운 마음, 옳은 행동’으로 정하였다. 교목은 주목이며, 교화는 연꽃이다. 교육지표는 ‘지혜의 체득, 자비의 실천, 불퇴의 정진’이다.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평생교육으로 ‘평생교육 연화반’을 운영하여 교내 연화당에서 불교의 신행과 예절 교육 및 전통문화 체험교육을 시행...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238·1
    설립 :
    1930년 6월 20일
    성격 :
    중학교, 사립중학교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 띠놀이
    지덕야(相呼取食仁之德也 : 음식을 서로 나누어먹는 것은 어진 덕이요), 상계방위지지덕야(相戒防衛智之德也 : 함께 경계하고 방위함은 지혜의 덕이요), 임전불퇴의지덕야(臨戰不退義之德也 :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음은 의의 덕이다).”라고 하면, 자리에 있던 사람들은 그 말을 긍정하며 단종의 운명을 동정한다...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구무학
    소질이 뛰어나 곧바로 동요하지 않는 단계에 도달하는 자. (6) 부동법아라한(不動法阿羅漢). 수행에 의해 아라한의 경지에서 결코 동요하지 않는 자. (7) 불퇴법아라한(不退法阿羅漢). 본디부터 아라한의 경지에서 퇴보하지 않는 소질을 갖추고 있는 자. (8) 독각(獨覺). 스승 없이 혼자 깨달은 자. (9) 불(佛). 스스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