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물꼬는 청청 헐어 놓고」[개설] 「물꼬는 청청 헐어 놓고」는 모내기를 할 때 현장에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모를 심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공동 작업을 하기에 「물꼬는 청청 헐어 놓고」를 불러 모내기의 효율성을 높였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냉전의 종식,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끊어 놓은 것이다. 정치학자 로버트 스칼라피노는 “고르바초프는 개혁의 와중에 통제력을 잃고 말았다.”라고 지적했다. 개혁과 개방으로 세계 역사의 큰 물꼬를 텄지만, 그 개혁의 성과는 고르바초프의 발등을 찍은 셈이었다. 개혁개방으로 인한 자유화의 물결은 모스크바에 집중된 절대 권력에 억눌려 있던 소수민족...
- 시대 :
- 1992년
-
정주영 소떼 방북사건 鄭周永 소떼 訪北事件이루는 초석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그 소회를 밝힌바 있다. 정주영 회장의 소떼 방북은 향후 10여 년간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될 남북 민간교류의 물꼬를 트는 기념비적 사건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역사적 배경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은 실향민으로 세계적인 기업을 이룬 최고 경영자가 되었다. 그는 17...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한국진한-브라질 협회장이었던 그는 1970년 해외개발공사(KODCO)를 설립하고 본인이 직접 브라질 지사장으로 부임하며 농업이민 대신 기술이민을 추진하여 이민의 물꼬를 다시 튼 장본인이다. 그런데 그 역시 브라질에 정착해서 2009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가족과 함께 브라질에서 생활했다. 한국진은 임시군사정부 수립이후...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1년 4월 14일
- 사망 :
- 2009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료
- 성별 :
- 남자
- 분야 :
- 역사/현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용신제 龍神祭의례의 형식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둣날 농가에서는 밀개떡을 만들어 논고랑에 던지거나, 삼대의 껍질을 벗긴 제릅대의 끝에 끼워 물꼬에 꽂는다. 둘째, 유둣날에 주인이 제물을 장만하면 일꾼이 이것을 지고 논가로 간다. 여기서 제물을 차리고 제를 지낸 뒤에 그 제물을 먹고 논다. 셋째...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1992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성적쇼트트랙의 금메달 획득에 가려져 있으나 남자 스피드스케이팅 1000m에서 김윤만이 획득한 은메달의 가치는 그 무엇보다도 크다. 우리나라 동계 올림픽 출전 사상 첫 메달이기 때문이다. 그간 이영하와 배기태 등 세계적인 선수가 있었음에도 올림픽 메달과 인연이 없었지만 김윤만이 드디어 메달의 물꼬를 튼 것이다...
- 개최지 :
- 프랑스 알베르빌
- 대회 기간 :
- 1992년 2월 8일 ~ 2월 23일
- 대회 규모 :
- 64개국, 1,801명 참가
- 종목 :
- 7개 종목, 57개 세부 종목
- 한국 선수단 규모 :
- 선수 25명, 임원 25명
- 한국 참가 종목 :
- 6개 종목
- 한국 순위 :
- 10위(금 2, 은 1, 동 1)
-
-
-
오미크론 변이 BA.2.75 코로나바이러스 변이형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CDC)도 켄타우로스를 ‘모니터링 중 변이’로 지정하고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BA.2.75 및 이보다 앞서 재유행의 물꼬를 열었던 BA.5의 확산에 따라, 엔데믹(풍토병) 상황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보았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재유행에 대한 우려가 7월 중순 WHO와 각국의 방역당국...
-
알제리와 한국의 관계온건·실용노선으로 전환함에 따라, 한국에 대해서도 유엔·비동맹 등 국제무대에서 공개적인 반대표명을 자제했다. 아울러 정부 인사들의 공식방문 등으로 물꼬를 트기 시작해 상호 경제협력과 통상교역 등으로 활기를 띠게 되었다. 이후 두 나라의 관계는 한국의 건설회사가 알제리에 합작투자 사업을 시작하면서 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