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감자, 우리나라 주요 재배 품종의 특성짓기용으로 육성되어 왔다. - 1기작용 : 남작, 수미, 조풍, 세풍, 대서, 남서, 자심, 가원, 자서, 신남작, 조원, 가황, 하령, 서홍, 자영, 홍영, 다미, 대광, 만강 - 두 번 짓기용 : 대지, 추백, 추동, 추강, 추영, 고운, 새봉, 방울, 홍선, 진선, 금선, 남선, 은선, 강선, 수선 나. 용도에 따른 구분 용도에 따라 식용...
-
감자 육종과 주요 품종교배육종이 주를 이루고 있다. ▶ 감자는 벼, 보리, 콩, 옥수수와 함께 국가품종목록등재 5대 작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7년 말 기준으로 새로 육성된 만강, 은선, 강선을 포함하여 약 70여 품종이 출원(등록)되어 있다. ▶ 감자는 재배 시기(1기작용과 두 번 짓기(2기작)용), 용도(식용, 칩용, 프렌치프라이용), 숙기...
-
문안지 問安紙전 상사리’라 쓰고 그밖에는 ‘○○전 상서’라고 썼다. 그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아버님전 상사리 문안 아뢰압고 국추에 연하와 기체후 일향만강하옵나이까 아압고접사완 문안아뢰옵고 내내 기체후 만강하옵시기 축원하오이다. ○○년 ○월 열여드렛날 자부 상사리 자부 다음에 성(姓)을 쓰기도 하고 생략하기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가족
-
포도순절이 시작되는 백로, 백로 白露내리쬐는 하루 땡볕에 쌀을 12만 섬(1998년 기준)이나 더 거둬들일 수 있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옛 어른들은 편지 첫머리에 "포도순절(葡萄旬節)에 기체만강하시고" 하는 구절을 잘 썼는데, 백로에서 추석까지 시절을 포도순절이라 했지요. 그해 첫 포도를 따면 사당에 먼저 고한 다음 그 집 맏며느리가 한 송이를 통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