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재화 金在華김재화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진주의 장날에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진주 출신으로 1919년 3월 18일 진주 장날에 만세시위운동을 계획하고 독립선언서와 격문을 작성하였다. 3월 18일 진주 장날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었다. 징역 3년형의 옥고를 치르다가 병으로 형의 집행이 정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재화 金在華1897년 6월 17일 경상북도 청도군(淸道郡) 운문면(雲門面) 신원동(新院洞)에서 태어났다. 1919년 청도 지역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가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 청도군에서는 1919년 3월 11일부터 5월 초순까지 7차례 만세시위가 일어났다. 운문면에서는 김종태(金鍾台)와 김상구(金相久) 등 문명학교(文明學校) 졸업생...
- 출생 :
- 1897년 6월 17일, 경상북도 청도(淸道)
- 사망 :
- 1952년 11월 30일
- 관련 사건 :
- 청도군 운문면 만세운동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시위 주도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김재화 金在華1892년 7월 7일 경상남도 진주군(晋州郡) 집현면(集賢面) 하촌리(下村里)(현 진주시 하촌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만세운동 당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19년 3월 초 심두섭(沈斗燮) ・ 조웅래 ・ 박대업 등과 서울에서 고종 장례식에 참석한 다음 독립선언서와 격문을 갖고 돌아왔다. 귀향 즉시 집현면 하촌리 자신의 ...
- 출생 :
- 1892년 7월 7일, 경상남도 진주(晋州)
- 사망 :
- 1920년 4월 15일
- 관련 사건 :
- 진주군 진주면 만세운동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18일 진주군 진주면 만세시위 주도
- 포상훈격 :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재화 金在化전라북도 순창군(淳昌郡) 복흥면(福興面) 상마치리(上馬峙里)에서 태어났다. 1909년 재판 당시 판결문에 따르면 35세로, 1875년생으로 추정된다. 농업에 종사하다가 1909년 3월 김선여(金善汝)가 이끄는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항일 무장 투쟁에 나섰다. 1909년은 1907년 말에 시작된 정미의병의 활동이 종반에 접어들고 ...
- 출생 :
- 1875년, 전라북도 순창(淳昌)
- 사망 :
- 미상
- 주요활동 :
- 김선여 의병부대 참여
- 포상훈격 :
- 2015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김선여 의병부대
-
김재화 金在華1878년 8월 26일 전라북도 고창(高敞)에서 출생하였다. 참봉(參奉)을 역임한 것으로 추정된다. 1908년 고창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제에 대항하였다. 1907년 6월 헤이그 특사 사건 이후 고종 황제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압력을 받아 7월 20일 순종에게 제위를 양위하였다. 이어서 7월 24일 이완용(李完用)의 ...
- 출생 :
- 1878년 8월 26일, 전라북도 고창(高敞)
- 사망 :
- 1908년 9월 26일
- 주요활동 :
- 1908년 전북 고창에서 의병장으로 활동
- 포상훈격 :
-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재화 (1904년)인물 정보 김재화(金載華, 1904년 1월 5일~1990년 7월 29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부산 출신이다. 1950년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중앙본부 단장을 지냈으며, 1954년 도쿄 한국학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지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신민당, 전국구 15번)에 당선되었으며, 1973년에는...도서 위키백과
-
권채근 權采根주요 활동 경상남도 진주(晉州) 출신이다. 1919년 3월 서울과 평양 등지에서 시작된 독립선언과 만세시위운동에 호응하여 김재화(金在華), 박진환(朴進煥), 강달영(姜達永), 정준교(鄭準敎), 심두섭(沈斗燮), 정용길(鄭用吉), 이강우(李康雨), 박용근(朴龍根) 등과 함께 3월 18일 진주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번유합고 樊悠合稿개설 김재화·김재곤의 본관은 광산(光山). 김재화의 자는 공서(公西), 호는 번천(樊泉). 김재곤의 자는 여동(汝東), 호는 유유옹(悠悠翁). 김장생(金長生)의 8대손으로 김기희(金箕熙)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이수해(李壽海)의 딸이다. 두 사람 모두 세상일에 뜻을 두지 않고 강산을 두루 유람하면서 시문에 심취하였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재화, 김재곤
- 창작/발표시기 :
- 1879년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김상현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
조석원 현로(玄老), 曺錫元자는 현로(玄老), 호는 소운(紹雲). 서울 출생. 조명교(曺命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윤형(曺允亨)이고, 아버지는 조성진(曺星振)이며, 어머니는 김재화(金載華)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45년(헌종 11) 왕이 숭정전에서 삼일제(三日製)를 시행할 때 우수한 성적을 얻어 회시(會試)에 직부되었고, 1850년(철종...
- 시대 :
- 조선
- 출생 :
- 1817년(순조 17)
- 사망 :
- 미상
- 경력 :
- 도승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창녕(昌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