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진환

다른 표기 언어 朴進煥
요약 테이블
출생 1888. 8. 8, 경남 진주
사망 1940. 6. 12
국적 한국

요약 독립운동가.

1907년 의병장 유종환(兪宗煥)과 함께 전라북도 무주, 충청북도 황간·영동 등지로 다니면서의병을 모집하고 군기를 모은 후, 그해 4월 중순 무렵 전라도와 경상도의 접경지역인 대덕산 기슭에서 함안주재 일본군 수비대와의 전투에 참전했다.

1919년 서울에서의 3·1운동의 소식을 듣고 진주로 내려가, 조선국권회복단의 변상태와 통하고 있던 김재화(金在華)·이강우(李康雨)·강달영(姜達永)·박용근(朴龍根)·강상호·권채근(權采根) 등 당시 진주에서 청년운동을 주도했던 인사들과 접촉하면서 3월 18일 진주 읍내 장날을 기해 대대적인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할 것을 계획하고, 강달영·김재화와 함께 사회단체의교섭을 맡았다. 독립선언서와 격문을 만들어 비밀리에 배부하면서, 인근 각 면의 유지와 대중들을 규합해, 3월 18일 진주 장날에 모여든 3만여 명의 군중 앞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시위행진을 했다.

이때 김재화·강달영과 함께 조직한 걸인독립단·기생독립단(妓生獨立團)·노동독립단까지 참가해 시위운동을 주도해갔다. 출동한 일본 경찰은 주동 인물들에게 잉크를 뿌려두었다가, 그것을 증거로 관련자들을 검거하기 시작했다. 그는 만세시위운동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고, 9월 6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1927년 민족협동전선으로서 신간회가 결성되자 진주지회의 설립에 참여했다. 그는 신간회 진주지회 창립발기인 대회에서 청년부 간사로 선출되었으며, 1929년 2월 15일서울 기독교청년회관에서 열린 복대표대회에서 진주지역 대표로 선출되어 활약했다. 1980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박진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