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직선거선거부정방지 ..
    1994년 3월 종전의 대통령선거·국회의원선거·지방의회의원선거 지방자치단체의장선거을 통합하여 제정된 법률.|내용 일반적으로 통합선거이라고도 하는 데, 법률의 명칭에 구태여 ‘선거부정방지’라는 표현이 포함된 것은 선거에 관련한 부정을 반드시 방지하여야 한다는 당시의 국민적인 여망이 잘 ...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4년 3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공직선거 (동의어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공선법,..
    선거가 공정하게 행하여지도록 하고, 선거에서의 부정방지하기 위한 법률.|개설 「헌법」과 「지방자치」에 의한 선거가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하여 공정히 행하여지도록 하고, 선거와 관련한 부정방지함으로써 민주정치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로, 1994년 3월 16일 법률 ...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공직선거 (동의어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법률 제16..
    공정하게 선거를 행하고, 부정선거방지하기 위한 법률 법률 제 4739호에 의해 기존의「대통령선거」·「국회의원선거」·「지방의회의원선거「지방자치단체의장선거」등 4개의 선거관련을 합쳐 「공직선거 선거부정방지」이라는 이름으로 공포·제정되었다.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
  • 국회의원선거 (관련어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國會議員選擧法
    국민의 자유의사에 의하여 국회의원을 공정히 선거함으로써 민주정치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1948년 3월에 처음 제정·공포된 이후 여러 차례 개정과 제정을 거듭하였다. 현재는 공직선거 선거부정방지(1994년 3월 16일 법률 제4739호, 일명 통합선거)을 제정하여 대통령선거·국회의원선거·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선거
  • 대한민국 공직선거 (관련어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公职..
    다른 뜻 넘어옴 대한민국 공직선거(大韓民國 公職選擧法, 제21차 일부개정으로 그 명칭이 「공직선거」으로 변경되었다. 헌법과 지방자치에 의한 선거가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하여 공정히 행하여지도록 하고, 선거와 관련한 부정방지함으로써 민주정치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
    도서 위키백과
  • 공직선거 公職選擧法
    정의 선거에 관련된 각종 내용을 규정한 법률이다. 1994년 3월 16일 「공직선거 선거부정방지」으로 제정되었다가 2005년 8월 4일 법률 제7681호로 내용이 일부 개정되면서 법률명이 「공직선거」으로 바뀌었다. 제1장 총칙, 제2장 선거권과 피선거권, 제3장 선거구역과 의원정수, 제4장 선거기간과 선거일, 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지방선거, 全國同時地方選擧
    동시지방선거는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되었으며 우리나라 선거 사상 처음으로 시 · 도지사 구 · 시 · 군의 장 선거와 시 · 도의회의원 구 · 시 · 군의회의원선거 등 4개 지방선거가 동시에 실시되었다. 선거를 앞두고 「공직 선거 선거 부정 방지」이 1994년 3월 16일 제정되었고, 제1회 전국동시지방...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공직선거 대한민국 공직선거법, 公職選擧法
    의사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하여 공정히 행하여지도록 하고, 선거와 관련한 부정방지함으로써 민주정치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 을 말한다. 해당 ...운동 하는 것을 일절 금지하고 있으며, 허위논평 ・ 보도, 후보자 등에 대한 비방도 금지하고 있다. 공직선거선거범으로서 100만원 이상 벌금형 선고...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 선거
  • 선거 選擧
    선거, 지방자치, 안기부법, 정치자금 등 일련의 정치관련에 대해 대폭적인 손질을 가해 1994년 3월 4일 공직선거 선거부정방지(일명 통합선거)이 통과됨으로써 완성되었다. 이 통합선거의 특이할 만한 점은 앞의 제6공화국의 전국구의석수 계산의 불합리성을 구조적으로 극복하였다는 점이다. 다시...
    성격 :
    용어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선거공영제 選擧公營制
    2000년 개정된 <공직선거 선거부정방지>에서는 기준득표율 이상을 획득한 후보자가 지출한 선거비용 중 일부 항목을 국가나 공공단체가 선거일 후 보전하도록 했다. 2004년에 개정된 <공직선거 선거부정방지>에서는 후보자가 지출한 선거비용 총액 중 일정 비율을 후보자의 득표율에 따라 사후에 보전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의회/정당 , 선거
  • 선거방송토론위원회 選擧放送討論委員會
    설립 목적 공직선거 후보자의 대담 · 토론회와 정당의 정책토론회를 공정하게 주관 · 진행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변천 현황 2004년 3월 12일 「공직선거 선거부정방지」이 개정됨에 따라, 3월 15일에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창설되었고, 3월 29일에 시 · 도 선거방송토론위원회(16개), 구 · 시 · 군...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사전선거운동 事前選擧運動
    180일(대통령선거의 경우 선거일 전 240일)부터 해당 선거의 예비 후보자 등록 신청 전까지 자신의 명함을 직접 주는 경우 선거 기간 또는 선거운동 기간과 관련한 「공직선거 선거부정방지」 제33조 제1항 제1호 등 위헌 확인 사건에서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는 2005년 합헌 결정을 내리며 다음과 같이 설명...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