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두더지 mole
    개요 식충목 두더지과 두더지속에 속하는 포유동물. 땅속으로 굴을 파는 포유동물로 대부분 작으며, 가끔 눈이 퇴화되어 장님이 된 것도 있다. 22종(種)이 있다. 이것과 명칭이 비슷한 것으로는 금빛두더지와 주머니두더지가 있다. 형태 대부분 소형이고, 몸이 둥글며 다리와 꼬리는 짧다. 머리는 뾰족하고 눈은 작으며...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충목 > 두더지과 > 두더지속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먹이 :
    풍뎅이, 개구리, 나비, 달팽이, 지네
    크기 :
    약 9cm ~ 18cm
    학명 :
    Talpa micrura coreana
    식성 :
    잡식
    천적 :
    오소리, 고양이, 족제비, 담비, 올빼미, 여우
    임신기간 :
    약 42일
  • 봉산탄전척추동물화석군 鳳山炭田脊椎動物化石群
    두께는 350m이고 봉산층이라 불린다. 봉산층은 상원계를 부정합으로 덮는 호성층이며 셰일 또는 이암, 미사암, 탄질 셰일, 유목원의 석탄층으로 되어 있다. 포유동물 화석을 함유한 석탄층은 두께가 수십㎝ 되는 것이 수십 매 협재되어 있다. 지층은 습곡되어 있고 경사는 40°에 달하는 곳이 있어 수평에 가까운 신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굴드 John Gould
    科)의 모노그래프 Monograph of the Ramphastidae〉(1834)가 큰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에, 굴드 가족은 2년 동안(1838~40)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지내며 새와 포유동물의 표본을 많이 수집할 수 있었는데, 이 수집품의 덕택으로 가장 유명한 저서인 〈오스트레일리아의 새들 The Birds of Australia〉(7권, 1840~48, 증보판...
    출생 :
    영국 도싯셔 라임리지스, 1804. 9. 14
    사망 :
    1881. 2. 3,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카루계 Karoo System
    카루계 암층의 두께는 1만 500m 이상이다. 일부 원유층과 함께 석탄층이 있어서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과학적으로 흥미로운 점은 카루계가 파충류, 특히 포유동물과 유사한 수궁파충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들 파충류 가운데는 실제로 포유동물의 조상으로 인정된 종류도 있다. 카루계는 4개의 통(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이누그수크 문화 Inugsuk culture
    카약(1인승 가죽배)을 이용한 사냥에 의존했으며, 문화가 발전하여 정교화된 도구들을 많이 사용했다. 고래와 같은 바다 포유동물과 육지 포유동물을 사냥했으며, 새와 물고기도 식량으로 썼다. 운송수단으로는 개썰매와 우미악(크고 갑판이 없는 가죽배)이 있었으며, 뼈·나무·고래뼈·돌을 이용해서 물건을 만들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내열성대장균군 耐熱性大腸菌群, thermotolerant coliforms, thermo..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의 내장은 상시 온도가 따뜻하게 유지되는 항온이다. 포유동물의 분변에는 대장균이 항상 많은 수가 존재하여 배출된다. 이를 분변성 또는 분원성대장균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대장균 중에는 특별히 높은 온도에서 사멸하지 않고 잘 견디는 부류가 있는데 이를 내열성대장균으로 분류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무균방법
    격리기에 옮긴 다음 부화시킨다. 이러한 알을 낳는 새들은 난관에 침투한 미생물이 없는 무리여야 한다. 무균식물은 표면을 살균처리한 씨앗에서 얻는다. 포유동물의 태아는 균이 없는 것이 정상이며, 무균새끼를 얻기 위해서는 무균 상태에서 성숙한 태아를 제왕절개로 꺼내어 무균격리기로 옮겨놓아야 한다. 또한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접착제 接着劑, adhesive
    용액 상태로 사용하고 건조시키며 물로 다시 활성화시키는 접착제 등이 있다. 천연 접착제는 동식물성 물질로부터 만들어진다. 동물성 아교는 일반적으로 포유동물의 뼈와 가죽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콜라겐으로 만든다(동물성 아교). 이들 물질은 목재와 종이 제조에 쓰인다. 그밖에 중요한 포유동물에서 얻어진 아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세린 serine
    때로는 가수분해 생성물에서 무게비의 5~10%를 차지하는 경우도 있다. 1865년 섬유단백질인 세리신에서 최초로 분리했고, 포유동물에게는 비필수아미노산 중의 하나이다. 즉 포유동물은 이것을 글루코오스에서 합성할 수 있으므로 음식에서 직접 섭취할 필요가 없다. 세린과 일부 세린의 유도체(예를 들면 에탄올아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공룡의 습성, 공룡의 식습관
    사철 구과식물 등이 있었다. 중생대 말에 들어서는 꽃을 피우는 식물이 나타났으며 열매도 생겨났다. 중생대에는 육식공룡이 먹을 만한 것도 많았다. 초기 포유동물, 알, 거북이, 도마뱀 등이 공룡과 같은 곳에 서식했다. 물론 사냥을 하거나 남은 고기를 먹고 살았을 것으로 보이는 공룡도 있었다. 공룡에게도 물이...
  • 공룡, 밤눈 어두워 먹이 못 찾아 멸종?
    어두운 곳에서 사물을 인지하는 ‘간상 시각세포’는 밝은 빛을 인지하는 ‘원추 시각세포’에서 발생했다는 진화론적 사실을 발견했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눈은 70% 가량이 간상세포로 구성돼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 간상세포의 발생과정에서 원추세포의 흔적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시각세포 발달에...
  • 후기문진드기류 tick
    곳을 찾아 알을 한 덩어리 낳은 다음 죽는다. 6개의 다리가 달린 유충은 알에서 깨어나, 풀잎 위로 올라가서 적당한 숙주(대개 포유동물)가 지나가기를 기다린다. 유충은 어느 포유동물이나 내는 부티르산 냄새에 자극되어 숙주 위에 떨어져 달라붙는다. 유충은 숙주의 피를 빨아 먹은 뒤에 떨어져서 탈피하여 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포유동물
범고래(killer whale)
포유동물의 등장
포유동물의 뇌 사진
포유동물의 대뇌기저핵 비교
인간 전전두엽과 포유동물의 전전두엽 진화
포유동물의 대뇌 신피질과 변연피질의 변화
포유동물의 대뇌피질에서 감각영역, 운동영역, 연합영역의 변화
포유동물 머리 근육을 조절하는 등쪽과 배쪽의 뇌신경
포유동물 머리 근육을 조절하는 등쪽과 배쪽의 뇌신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