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회의원수정·삭제하거나 새로운 조항을 추가한다. 국가나 국민에게 중대한 재정적 부담을 지우는 조약 또는 입법사항에 관한 조약의 체결, 비준에 대한 동의권을 행사한다. 정부의 예산안을 심의, 확정하고 국가의 수입, 지출에 대한 결산을 심사한다. 국정 감사, 조사를 통해 국정운영의 잘못된 부분을 적발하고 시정시킨다.
- 교육수준 :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4년 초과 ~ 10년 이하
- 작업강도 :
- 아주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협의
- 직무기능(사물) :
- 관련없음
- 고용직업분류 :
- [0111]의회의원·고위공무원 및 공공단체임원
- 표준직업분류 :
- [1110]의회 의원·고위 공무원 및 공공단체 임원
- 표준산업분류 :
- [O841]입법 및 일반 정부 행정
- 조사연도 :
- 2021년
-
-
국회법 國會法에서는 회의록의 작성과 기재사항, 회의록 자구의 정정과 이의(異議) 등에 관하여, 제8장 ‘국무총리·국무위원·정부위원과 질문’에서는 국무총리·국무위원·정부위원 등에 대한 출석요구권과 정부에 대한 서면질문권에 관하여 규정하였으며, 제9장 ‘청원’에서는 국회에 제출되는 청원의 처리절차 및 방법에 관하여...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48년 10월 2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임시정부경제후원회 臨時政府經濟後援會安昌浩)가 중심이 되어, 임시정부가 강화되고 재정적으로도 어려움이 없어야 국내외를 통할, 통치할 수 있다는 뜻에서 상해 프랑스조계(租界)에서 결성하였다...조상섭(趙尙燮), 재무주임은 진희창(秦熙昌)이었으며, 군자금조달을 위하여 위원 6명을 두었는데 이들을 국내외에 파견하여 상당량의 군자금을 모금, 임시...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6년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32년
- 설립자 :
- 안창호
- 분야 :
- 역사/근대사
-
주자화 류선, 주가화교무위원장을 대리하였다. 1927년 4월 국민당의 청당(淸黨)으로 광둥성정부가 개조되었고, 다이지타오의 추천을 받아 정치무대에 나섰다. 이후 광둥성 정부위원 겸 민정청장, 광저우정치분회 위원, 중산대학 교무 등을 역임하였고, 양광(兩廣)지질조사소를 직접 설립하여 소장을 맡았다. 그해 8월 광둥성 교육청장 겸...
- 출생 :
- 1893년 5월 30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우싱현(吳興縣)
- 사망 :
- 1963년 1월 3일
- 관련 사건 :
- 신해혁명
- 국적 :
- 중국
- 주요활동 :
- 1929년 국민당 중앙집행위원 및 중앙정치회의 위원 선출, 1930년 중산대학 교장, 1939년 국민당 조직부장으로 한국문제 담당, 한국독립운동 단체 통합문제 거론, 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 지원, 임시정부 재정지원 및 승인을 위한 활동에 중요한 역할 담당
- 포상훈격 :
- 1977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광복군
-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위원회선출했다.인촌김성수전(재단법인 인촌기념회 저, 인촌기념회 발행, 1976) 544페이지 1948년 6월 1일 제2차 본회의 에서는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위원회 기초위원을 선출하기 위한 전형위원(각 도별 1명) 10명을 선출하였다.10명의 선출의원은 6월 2일 제3차 본회의 '헌법등기초위원선임보고의건'에서 30명의 기초위원...도서 위키백과
-
최동오 崔東旿취하자 만주를 떠나 다시 관내(關內)로 이동하여 유동열(柳東說) ・ 현익철 ・ 이광제(李光濟) ・김학규(金學奎)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32년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선출되어 1935년까지 재임하였으며, 1933년부터는 법무장에 선임되었다. 1932년 11월에는 조선혁명당 대표로 독립운동세력의 통일을 목적으로 한국...
- 출생 :
- 1892년 6월 22일, 평북 의주(義州)
- 사망 :
- 1963년 9월 16일
- 관련 사건 :
- 국민대표회의
- 주요활동 :
- 1919년 임시정부 내무부 지방국장, 1923년 국민대표회의 창조파, 1925년 화성의숙 교장, 1929년 국민부 중앙집행위원 겸 외교위원장, 1929년 조선혁명당 중앙위원 겸 외교부장, 1932년-1935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1933년 임시정부 법무장, 1935년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 겸 선전부장, 1939년 임시의정원 의원 ・ 부의장, 1940년 5월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과 중앙상무위원 겸 비서장, 1943년 임시정부 법무부장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민국 임시정부, 화성의숙, 정의부, 조선혁명당, 민족혁명당
-
김철 김중청, 金澈5월 3일 구영필(具榮弼) ・ 김응선(金應僐) ・ 김홍권(金弘權) ・ 서성권(徐成權) ・ 송세호(宋世浩) ・ 최완(崔浣) ・ 한남수(韓南洙)와 함께 임시정부 재무부 위원으로 선임되어 그 해 7월 6일까지 두 달여 동안 활동하였다. 그 해 8월 5일 교통차장으로 임명되었고, 1921년 3월 3일까지 1년 7개월 동안 재임하였다...
- 출생 :
- 1886년 10월 15일, 전라남도 함평(咸平)
- 사망 :
- 1934년 6월 29일
- 본관 :
- 영산(永山)
- 주요활동 :
- 1918년 신한청년당 결성에 참여, 1919년 3월 하순 대한독립임시사무소 설치에 참여, 1919년 5월 3일 재무부위원, 1919년 7월 대한적십자회 상의원, 1919년 8월 5일 임정 교통차장, 1920년 1월 의용단 조직에 참여, 1920년 3월 10일 임정 지방선전부 부총판, 1920년 5월 28일 육군무관학교 교관, 1922년 3월 상해 대한교민단장, 1924년 5월 31일 회계검사원 검사장, 1926년 12월 16일 임정 법무장, 1927년 8월 19일 임정 군무장, 1930년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 1931년 11월 중한항일대동맹 한국측 상무위원, 1932년 7월 임정 자격심사위원, 1933년 10월 국무위원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한청년당,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한적십자회, 대한교민단, 육군무관학교, 임시의정원, 의용단, 한국독립당, 중한항일대동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