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의학사 韓國醫學史
    및 독립된 한국의학 등 5편으로 시대를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① 상세편에는 의술의 기원, 원시의학, 환웅(桓雄)의 의신화(醫神化)와 고조선·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까지의 의학, ② 중세편에는 의업과 과거제도, 송·아라비아·원나라와의 의약품 교류, 의사제도(醫事制度) 등의 고려시대의 의학, ③ 근세편에는 의녀...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두종
    창작/발표시기 :
    1954년(상권), 1966년(상, 하권 합본)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정음사(상권), 탐구당(상, 하 합본)
    분야 :
    과학/의약학
  • 백묘법
    에서 유래했다. 넓게는 색채를 칠하기 전의 밑그림, 소묘 등도 포함된다. 원나라 이전까지 백화라고 불렸는데 화훼화에서도 사용했지만 주로 인물화의 기법으로...원 시대의 화가들은 모두 백묘법으로 화조화를 그렸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통일신라시대에 세련된 백묘 기법을 선보였다. 고려시대 벽화고분인 수락암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보안족의 기원과 사회발전
    보안족은 원나라 시기 이슬람교를 신앙하고 있는 중앙아시아지역의 색목인들이 청해성의 동인 지역에서 변강을 수비하고 있다가 현지의 몽골족, 장족, 한족 등 민족들과 장기간 교류하는 과정에서 점차 하나의 새로운 민족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역사 문헌자료의 기록과 구비문학에 의하면, 기원전 1225년...
    분류 :
    만-퉁구스어족 민족 > 보안족
  • 창원시 연혁
    이곳에는 신라가 세력을 확장함에 따라 굴자군이 설치되었다.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의안군(義安郡)으로 이름을 바꾸고, 합포현(合浦縣:馬山...감무가 파견됨으로써 독립되었다. 1274년(원종 15)과 1281년(충렬왕 7)에 원나라와 고려 연합군의 일본 정벌 때 창원지방은 합포를 중심으로 연합군의 기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미숭산 반룡사 美崇山 盤龍寺
    3)에 해인사와 함께 창건된 절로서 고려 중기에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창하였고, 고려 공민왕 때에 나옹(懶翁)이 중건하였다. 또한, 『동국여지승람』에는 원나라 세조가 이 절에 내린 방문(榜文)의 전문이 기록되어 있다. 이 방문에 따르면 일본의 정벌을 위해서 경상도 땅에 왔던 원나라 군사들이 절을 짓밟고...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여진 여직(女直), 女眞
    阿骨打)가 완안부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을 통일해 금(金)나라를 세웠다. 1117년에 고려에 형제관계를 요구하였다. 1125년(인종 3) 거란을 멸망시킨 뒤에 북송...일시 좌절되었다. 1234년(고종 21) 금나라가 몽고에 멸망하자, 여진족은 만주지방에서 부족 단위로 할거했고 원나라·명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명나라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명의 건국
    중엽 원나라 정권의 내부분열이 심해져 통제력이 약화된 틈을 타 저항을 시작했다. 반원 투쟁의 중심이 되었던 것은 당시 화북 일대에 강력한 기반을 가지고 있던 백련교도였는데, 1351년 유복통의 지도하에 화이허 강[淮河]유역에서 거병했다. 그들은 스스로 홍건적이라 칭하고 송조의 자손임을 자칭하는 소명왕 한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위구르족 维吾尔族
    회흘(回纥)’, ‘회홀(回鹘)’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원나라에서는 ‘회흘(回纥)’, ‘회홀(回鹘)’ 외에도 ‘휘화(辉和)’, ‘휘화아(辉和尔...1934년 신강성 정부는 정식으로 “위구르”라는 한어로 번역한 족칭으로 통일하여 사용하였다. 역사상 위구르족을 가리켜 부른 명칭을 보면, 청나라에서는 ‘회부...
    분류 :
    돌궐어족 민족 > 위구르족
  • 신라의 경우에서 확인되듯이 삼국시대에 이미 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도 역 운영을 위한 관리부서가 설정되어 있었다. 고려초에 전국을 22개...525개소의 역을 소속시켰으며 6과로 등급을 매겼다. 원간섭기에는 원나라가 역참설치를 강요하기도 했고 그 영향으로 참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참에는 육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칭기즈 칸의 정복 전쟁 연표
    부족 통일 1206년 칭기즈 칸, 몽골 제국의 대 칸에 오름 1207년 서하 점령 1211년 금나라 공격을 위한 원정 시작 1215년 금나라 수도 옌징(연경) 점령. 야율초재 만나 재상으로 등용 1218년 칭기즈 칸, 호레즘과 교역 시도했으나 실패. 호레즘 공격 원정길에 나섬 1220년 칭기즈 칸, 호레즘 정복. 이후 계속 정복 전쟁...
  •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마곡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구한말에는 독립운동가 김구와도 인연이 깊었던 사찰이다. 김구는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했던 일본인 장교라 생각했지만 정작 일반 상인이었던 일본인을 죽인 후 인천형무소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탈옥하여 이 절에 숨어서 승려로 지냈는데, 지금도 대광보전 앞쪽에는 김구가...
    도서 위키백과
  • 백족의 기원과 사회발전
    전체를 통일한 후 미얀마와 라오스 북부와 태국을 공격하고 사천으로 북상하여 청두(成都)를 점령하였다. 남조는 연속으로 두 번 출병하여 대외 전쟁을 치르면서 국력은 점점 쇠락해졌고, 내부 분열로 902년에 붕괴되었다. 937년, 단스핑(段思平)은 우만(乌蛮) 37부의 지지하에 대리로 진군하여 정권을 빼앗고 대리국...
    분류 :
    장면어족 민족 > 백족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