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원나라 시대, 몽골의 일본 원정
    고려를 예속시킨 쿠빌라이는 바다 멀리 일본도 손에 넣을 야심을 품고 있었다. 쿠빌라이는 여러 차례 사신과 서신을 보내어 일본을 회유하려 하였으나 일본에서는 정식 사신을 보내지 않았으므로 쿠빌라이는 무력으로 굴복시킬 계획을 세웠다. 그는 고려에 병선 9백 척의 건조와 군사 동원을 명하였다. 이때가 고려 원종...
  • 원나라의 일본 원정 (관련어 몽골의 일본원정) Mongol invasi..
    전쟁 정보원나라의 일본 원정(元日戰爭)은 1274년과 1281년의 두 번에 걸쳐 원나라의 쿠빌라이 칸이 시도한 일본에 대한 군사 침공을 말한다. 당시 쿠빌라이 칸은 부마국(駙馬國) 충렬왕에게 출정을 강제로 요구하여 만든 원정연합군이 일본을 침략했으나 일본군의 완강한 방어와 도중에 만난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였다....
    도서 위키백과
  • 일본원정 日本遠征
    원정계획을 포기하지 않고 다시 일본에 선유사(宣諭使)를 파견하는 한편 고려에 정동행성(征東行省)을 설치하고 남송(南宋)을 정복한 직후인 1279년부터 일본원정을 준비했다(→ 쿠빌라이 칸). 그동안 원의 일본 초유나 원정에 대해 소극적이던 고려는 적극적으로 원정 계획에 참여했다. 특히 충렬왕은 일본원정에 적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고려
  • 몽골의 침략으로부터 열도를 보호한 가미카제
    일본 원정에 나섰다. 연합군은 쓰시마와 이키를 공략하고, 하카타에서 육상 전투 끝에 일본군에게 대승을 거두었다. 대외 전쟁 경험이 없고, 개인 기마전에 익숙한 일본 무사들은 원의 화약 무기와 집단 전투법에 속수무책이었다. 고려의 장수 김방경 등은 원정군 대원수 홀돈(忽敦)에게 전투를 속전속결로 마무리...
  • 고려와 몽골의 전쟁 결과
    몽골의 간섭을 받게 된 고려는 왕과 관련한 모든 용어가 격하되어 짐은 고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바뀌었다. 관제도 명칭이 바뀌고 통폐합되었다. 일본 정벌을 위한 군사 기관으로 정동행성도 설치되었다. 고려는 몽골의 2차에 걸친 일본 원정에 많은 병사와 군수 물자의 조달을 강요받아 피해를 입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쿠빌라이 칸의 일본 정복 야욕, 원나라의 일본 원정
    남송이 멸망하기 전인 1274년, 원나라의 쿠빌라이 칸은 고려를 기지 삼아 일본 원정을 감행했다. 1272년, 고려의 삼별초가 제주도에서 원나라에 패하면서 고려는...파견하면서 이루어졌다. 오고타이 칸은 고려 침공의 구실로 1225년에 있었던 몽골 사신 저고여(箸告與) 피살 사건을 내세웠다. 이는 저고여가 고려에게...
    시대 :
    1274년
  • 몽고 몽골, 蒙古
    황제와 맺는 관계, 케식에 있는 다른 몽골 지배층 자제들과 맺는 관계는 중요한 인적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일본 원정과 정동행성 고려와의 전쟁이 일단락한 뒤, 몽골일본과 관계를 맺고자 하여 일본에게 항복을 권하는 조서를 전할 사신을 보내면서 고려로 하여금 그 사신단을 호송하도록 하였다. 이는 몽골이 복속...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몽골의 대외 관계 Foreign relations of Mongolia, モ..
    시기인 1987년 1월 27일에 미국과 수교에 합의했고 지금도 돈독한 교류를 유지하고 있다.(→미국의 대외 관계) 몽골은 당시 원나라 시절에 쿠빌라이 칸이 일본 원정을 고려와 합세하여, 정복하려 하였으나, 일본의 방어와 태풍으로 실패하였다. 현대에는 1972년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 1987년 몽골 총리가 최초로 일본을...
    도서 위키백과
  • 몽골의 연호 蒙古年號列表
    20일) 원정 元貞 3년 1297년 2월 27일(3월 21일) 1307년 12월 29일(1308년 1월 23일) 대덕 大德 11년 원 무종(元武宗) 1308년 1월 1일(1월 24일) 1311년 12월 30일(1312년 2월 7일) 지대 至大 4년 원 인종(元仁宗) 1312년 1월 1일(2월 8일) 1314년 1월 21일(2월 6일) 황경 皇慶 3년 1314년 1월 22일(2월 7일) 1320...
    도서 위키백과
  • 세계 대제국의 시작, 칭기즈 칸의 몽골 통일
    강 하류 지역)으로 교역을 보냈던 상단이 살해당한 것을 빌미로 호라즘 원정을 단행했다. 이제 중앙아시아의 대부분을 손아귀에 넣은 칭기즈 칸은 남러시아와...가로지를 생각이었지만 무더위와 습기에 지쳐 귀국길에 올랐다. 칭기즈 칸은 몽골 본토를 자신의 직할지로 남기고, 새로 정복한 땅은 아들과 동생들에게 고루...
    시대 :
    1206년
  • 고려의 대외관계
    했으나, 몽골의 압력으로 원종은 복위되었다. 임연을 이은 집정 임유무(林惟茂)는 출륙(出陸)을 거부하고 항전을 추진했으나, 오히려 살해당했다. 그리하여 무인...용어는 제후국 수준으로 격하되었다. 원은 정동행성(征東行省)을 설치하여 일본정복에 고려군과 물자를 동원했다. 그뒤에도 정동행성을 존속시켜 정치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몽골 Mongol
    사이 원정에 나서 서쪽으로는 러시아, 동쪽으로는 화북까지 영토를 넓혔으며 1215년에는 베이징을 점령했다. 칭기즈 칸은 중국 서북지방에서 서하(西夏)를 정벌하던 도중에 죽었다. 몽골 제국은 칭기즈 칸의 네 아들에게 넘어갔으며 그 가운데서 오고타이가 전체지휘권을 잡았다. 주치는 러시아까지 이어지는 서부 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