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테세오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Teseo HWV9오페라 중 유일하게 서정 비극의 5막 구성을 취하고 있다. 또한 오페라 세리아에서 가수들은 자신들의 기교를 뽐낼 수 있는 화려한 아리아 한 곡을 노래한 뒤 퇴장하며, 아리아가 두 곡 연속될 때에는 중간에 레치타티보가 삽입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테세오〉에서 등장인물들은 아리아를 두 곡 연속 노래하는데...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오페라
- 작곡가 :
-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 초연 :
- 1713년 1월 10일, 런던의 퀸즈 극장
- 등장인물 :
- • 테세오(트로이젠의 왕자, 아테네 군대의 지휘관, 에제오의 잃어버린 아들) • 아길레아(테세오의 연인) • 메데아(여자 마법사) • 에제오(아테네의 왕) • 클리치아(아길레아의 친구) • 아르카네(클리치아를 사랑함) • 미네르바의 제사장
- 대본(리브레토) :
- 니콜라 프란체스코 하임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Orfeo ed Euridice식었다는 그녀의 말에 뒤를 돌아보는 오르페오의 눈에는 쓰러지는 에우리디체만이 담긴다. 절망한 오르페오는 다시 아내를 잃은 슬픔을 노래한다. 처음 이 아리아는 너무 진부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지만, 이 아리아가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에서 가장 유명한 아리아인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글루크는 프랑스...
- 시대 :
- 고전
- 분류 :
- 고전주의 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762년
- 작곡가 :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1787)
- 원작 :
- 그리스 신화
- 초연 :
- 1762년 10월 5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부르크 극장(이) 1774년 8월 2일 파리 오페라(프)
- 등장인물 :
- • 오르페오(목동이자 음악가, 알토 카스트라토 또는 테너) • 에우리디체(오르페오의 아내, 소프라노) • 아모르(사랑의 신, 소프라노)
- 배경 :
- 고대 트라키아
- 대본(리브레토) :
- 라니에리 칼차비지(이탈리아어); 리에르 루이 몰리네(프랑스어)
- 구성 :
- 3막 아치오네 테아트랄레(이); 3막 비극 오페라(프)
-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요한 네포무크 후멜, Potpourri for Viola and Orchestra Op.94모차르트와 로시니의 오페라 아리아에서 많은 선율을 가져왔다. 따라서 곡은 꽉 짜인 틀 속에서 진행하기보다는, 헐렁한 틀 속에서 자유롭게 진행한다. 이 곡은 총 8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부분은 자신만의 템포, 박자, 조성을 갖는다. 변주곡 기법이 동원되어 각 부분의 유명한 아리아가 등장할 때 비올라 솔로는...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 > 관현악곡 > 협주곡
- 제작시기 :
- 1820년 9월
- 작곡가 :
- 요한 네포무크 후멜(Johann Nepomuk Hummel, 1778~1837)
- 출판 :
- 1821년
- 편성 :
- 독주 비올라 플루트, 오보에2, 바순2, 호른2(G조), 트럼펫2, 팀파니, 현4부
-
수잔나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Susanna HWV66이야기로, 전체적으로 가볍고 유머러스하다. 이 작품은 헨델의 오라토리오들 중 가장 개인적이고 오페라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모두 25곡의 아리아 중 16곡의 아리아가 다 카포 형식이고, 합창은 모두 10곡으로 헨델의 다른 오라토리오들에 비해 그 비중이 줄었다. 고결한 부부의 사랑 〈수잔나〉에서 수잔나와 요아킴...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성악음악 > 오라토리오
- 제작시기 :
- 1748년 7월 11일~1748년 8월 말
- 작곡가 :
-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 초연 :
- 1749년 2월 10일 코벤트 가든의 왕립 극장
- 등장인물 :
- • 수잔나(소프라노) • 요아킴(수잔나의 남편, 알토) • 첼시아(수잔나의 아버지, 베이스) • 다니엘(소프라노) • 원로 1(테너) • 원로 2(베이스) • 판사(베이스) • 수행인(소프라노) • 이스라엘의 합창 • 바벨론의 합창
- 대본(리브레토) :
- 《수잔나 서》를 바탕
- 구성 :
- 3막
-
Aria 아리아, アリアAn aria (plural: arie , or arias in common usage, diminutive form arietta ) in music was originally any expressive melody, usually, but not always, performed by a singer. The term became used almost exclusively to describe a self-contained piece for one voice, with or without orchestral...출처 영어 위키백과
-
시칠리아 섬의 저녁기도 주세페 베르디, Les Vêpres Siciliennes아버지로 인정하자, 총독은 엘레나와 아리고의 결혼을 허락한다. 두 사람의 결혼식 날, 엘레나는 결혼식에 참석해준 이들에게 고마움을 표하면서 부르는 아리아이다. 〈시칠리아 섬의 저녁기도〉에서 가장 유명한 아리아로 볼레로 리듬과 콜로라투라가 섞인 이국적인 분위기의 아리아이다. 아리아가 끝나고 엘레나는...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848년~1853년 6월 30일
- 작곡가 :
-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 원작 :
- 외젠 스크리브 및 샤를 뒤베이리에의 《알바 공작(Le duc d’Albe)》
- 초연 :
- 1855년 파리 오페라하우스
- 출판 :
- 1855년
- 등장인물 :
- • 아리고(시칠리아 정부에 대항하는 반대파의 지도자, 테너) • 엘레나(공녀, 소프라노) • 몽포르테(시칠리아의 프랑스 총독, 바리톤) • 프로치다(시칠리아의 독립운동가, 베이스)
- 배경 :
- 1282년 부활절, 시칠리아 섬의 수도 팔레르모
- 대본(리브레토) :
- 외젠 스크리브 및 샤를 뒤베이리에
- 구성 :
- 5막
-
폴리외크트 샤를 구노, Polyeucte연인인 세베르와 함께 부른다. 이런 문제는 남자 주인공 폴리외크트에게도 나타난다. 즉, 〈폴리외크트〉가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주인공의 좋은 아리아가 너무 적다는 것이 큰 원인이었다. 프랑스 그랑 오페라(그랜드 오페라)의 쇠퇴 다른 한 가지 원인은 〈폴리외크트〉가 프랑스의 그랑 오페라(그랜드 오페라...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오페라
- 제작시기 :
- 1878년
- 작곡가 :
- 샤를 구노(Charles Gounod, 1818~1893)
- 원작 :
- 피에르 코르네유, 《폴리외크트》
- 초연 :
- 1878년 10월 7일, 가르니에 궁전
- 출판 :
- 1878년
- 등장인물 :
- • 폴리외크트(테너, 아르메니아 출신의 귀족) • 폴린(소프라노, 폴리외크트의 아내이자 펠릭스의 딸) • 세베르(바리톤, 로마의 기사) • 펠릭스(베이스, 아르메니아의 총독)
- 대본(리브레토) :
- 쥘 바르비에, 미쉘 카레
- 구성 :
- 5막
-
세르세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Serse혼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1730년대 런던의 청중들은 오페라 세리아가 온전히 진지하기를 원했다. 또한 헨델 시대 오페라 세리아의 경우 다카포 아리아가 주로 사용된 데 반해, 〈세르세〉에 등장하는 아리아는 대부분 길이가 짧고, 반 이상이 다카포 형식이 아닌 통절 형식의 아리아이다. 이렇게 당시 오페라...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737~1738년
- 작곡가 :
-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 원작 :
- 실비오 스탐필리아 대본에 기반
- 초연 :
- 1738년 4월 15일, 런던의 왕립 극장
- 등장인물 :
- • 세르세(페르시아의 왕,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 아르사메네(세르세의 남동생이자 로밀다의 연인, 메조소프라노) • 아마스트레(세르세의 약혼자이며 타고르 왕국의 공주, 콘트랄토) • 아리오다테(세르세의 신하이며 로밀다와 아탈란타의 아버지, 베이스) • 로밀다(아르사메네의 연인이자 아리오다테의 딸, 소프라노) • 아탈란타(로밀다의 여동생이며 아르사메네를 몰래 사랑한다, 소프라노) • 엘비로(세르세의 신하, 베이스)
- 배경 :
- 기원전 470년경의 페르시아
- 대본(리브레토) :
- 작자미상
-
솔로몬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Solomon HWV67위대한 왕이시여(Thy sentence, great King)’, 여인 1의 아리아 ‘내 아기를 보아도 되겠습니까(Can I see my infant gor'd)’ 3중창 이후 솔로몬은 아이를 둘로 갈라서 여인 1과 여인 2에게 나누어주라는 판결을 내린다. 여인 2와 여인 1의 아리아가 이어진다. 여인 2는 아주 현명한 판결이라며 ‘그대의 판결, 위대한...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성악음악 > 오라토리오
- 제작시기 :
- 1748년 5월 5일~1748년 6월13일
- 작곡가 :
-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 초연 :
- 1749년 5월 15일 코벤트 가든의 왕립 극장
- 등장인물 :
- • 솔로몬(이스라엘의 왕, 알토) • 솔로몬의 왕비(소프라노) • 시바의 여왕(소프라노) • 여인 1(소프라노) • 여인 2(메조소프라노) • 자독(대제사장, 테너) • 레위인(베이스) • 합창(제사장들의 합창, 이스라엘인들의 합창)
- 대본(리브레토) :
- 뉴버러 해밀턴(추정)
- 구성 :
- 3막
-
칸타타 61번 ‘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61목사였던 노이마이스터는 성경에 기초한 200여 곡의 칸타타 가사를 작사했다. 메시아를 기다리는 기쁨을 노래 칸타타는 서곡을 시작으로 레치타티보와 아리아가 각 2곡, 그리고 피날레를 장식하는 코랄로 이루어져 있다. 서곡은 독일의 코랄 선율과 프랑스풍의 서곡 양식을 결합시킨 형식으로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성악음악 > 칸타타
- 제작시기 :
- 1714년
- 작곡가 :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 초연 :
- 바이마르(1714년)
- 출판 :
- 1868년
- 편성 :
- 독창(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4성 합창, 바순, 바이올린 2부, 비올라 2부, 바소 콘티누오
-
오텔로 주세페 베르디, Otello새로운 시도들을 담아냈다. 작품은 관현악 확대, 아리아와 레치타티보 경계의 불분명함, 바그너의 라이트모티브의 흔적 등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베르디는 바그너의 음악 특징을 단순히 결합시키지는 않았다. 〈오텔로〉에는 여전히 전통 이탈리아 오페라의 2중창, 아름다운 선율의 아리아가 그대로 남아 있다...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880~1886년
- 작곡가 :
-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 원작 :
- 윌리엄 셰익스피어 《오셀로》
- 초연 :
- 1887년 2월 5일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출판 :
- 1887년
- 등장인물 :
- • 오텔로(무어인/베네치아 공화국 장군, 테너) • 데스데모나(오텔로의 아내, 소프라노) • 이아고(오텔로의 기수, 바리톤) • 에밀리아(이아고의 아내, 메조소프라노) • 카시오(베네치아의 부관, 테너) • 로데리고(베네치아의 신사, 테너) • 루도비코(베네치아의 특사, 베이스) • 몬타노(키프로스의 전 총독, 베이스)
- 배경 :
- 15세기 키프로스 섬
- 대본(리브레토) :
- 아리고 보이토
- 구성 :
- 4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