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독립관 獨立館
    당시 모화관은 중국사신을 접대하는 영빈관으로 사용해오던 사대의 상징적 건물인데, 청일전쟁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아 방치되어 있었다. 독립협회는 모화관을 개수하여 독립관이라 부르고 독립협회의 사무소 및 집회장소로 사용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약 2,000원 정도의 경비를 들여 1897년 5월 개수를 끝냈다. 독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가좌로 서대문구 연희동~은평구 신사동 도로, 加佐路
    가좌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가좌동의 동명에서 유래되었다. 가좌동은 가재울이라는 마을의 한자명이다. 가좌로는 서대문구 연희동 148-2번지에서 충암초등학교와 신응교를 지나 은평구 신사동 355번지(현대아파트)에 이르는 폭 25m, 길이 3,440m의 4차선 도로이다. 가좌로는 1981년 1월 21일 서울특별시공고 제14호로 처음...
    유형 :
    도로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모래내길 서대문구 홍제동~남가좌동 도로
    모래내길은 이 길과 나란히 흐르는 모래내(사천・홍제천)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모래내길은 서대문구 홍제동 158-33번지(의주로)에서 백련교를 거쳐 남가좌동 102-4번지(사천교)에 이르는 폭 15~25m, 길이 3,400m의 4차선 도로이다. 이 길은 1981년 1월 21일 서울특별시공고 제14호에 의해 제정된 弘南路에서 비롯...
    유형 :
    도로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독립공원 獨立公園
    1896년 독립 협회가 서울의 독립문 일대에 조성한 공원이다. 독립 협회는 자주 독립 운동의 상징물로서 독립문과 독립공원을 건설하기로 하고 이를 <독립 협회 규칙> 제2조에 명시하였다. 독립 협회는 독립문·독립공원·독립관의 건립 비용을 국민의 성금을 모아 충당하기로 하고, 독립문과 독립관 일대가 공터였으므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선바위 인왕산선바위, 禪바위
    내용 1973년 서울특별시 민속자료(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형상이 마치 중이 장삼을 입고 서 있는 것 같아서 ‘禪(선)’자를 따서 선바위[禪巖]라 불렀다고도 한다. 또 조선 태조와 무학대사의 상이라는 전설, 또는 이성계 부부의 상이라는 전설도 있다. 이것은 인간이 죽어서 석불(石佛)이 되었다는 인간의...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가좌로 서대문구 연희동~북가좌동 도로, 加佐路
    가좌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가좌동 동명에서 유래되었다. 가좌로는 서대문구 연희동 132번지에서 북가좌동 168번지에 이르는 폭 20m, 길이 2,300m 구간이었다. 1978년 6월 29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77호에 의해 제정된 새로운 가좌로가 탄생하였다. 가좌로는 1981년 10월 22일 가로명 개정 당시 연희동 89번지 연희제1...
    유형 :
    도로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지구와 생명 탄생의 순간을 볼 수 있는 곳
    아이들을 매료시키는 다양한 전시물 무심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입장하면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깜짝 놀란다. 중앙홀 가운데에 서있는 거대한 공룡 뼈 때문이다. 전기 백악기의 공룡 '아크로칸토사우르스'다. 높이가 약 9m나 되는 이 공룡은 금방이라도 큰 입을 벌려 공격할 것만 같다. 천장 쪽에는 거대한 향고래 한...
    위치 :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32길 51
  • 돌다리 서대문구 영천시장 입구 다리
    독립문 남쪽 현 서대문구 영천시장 입구에 있던 다리이다. 돌로 다리를 놓았으므로 돌다리 또는 석다리라고 하였으며, 한자명으로 石橋라고 하였다. ≪승정원일기≫에는 慕華館石橋, ≪대동지지≫와 ≪동국여지비고≫에는 革橋로 기록되어 있다. <경기감영도>에는 모화관 아래쪽의 西池 옆에 석교로 표기되어 있다. 이...
    유형 :
    시설명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독립과 민주 운동의 산실
    독립문역 독립공원에 위치한 서대문형무소역사관(사적 324호)은 슬픈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지만 가족 나들이, 데이트 코스, 아이들의 체험 활동지 등으로 많은 이들이 찾는 곳이다. 서대문형무소는 일제강점기에 독립 운동가들을 탄압하고 통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국 최대 규모의 근대 감옥이다. 독립과 민주 운동의...
    소재지 :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 251
  • 흙다리 서대문구 합동 다리
    서대문구 합동 16번지 현 서소문공원 북쪽 입구 쪽에 있던 다리이다. 나무로 다리를 놓고 흙을 덮어 흙다리라고도 하였으며, ≪대동지지≫에는 憲橋로, <슈션젼도>에는 헌다리, <서울지도>에는 한자로 圯橋라고 표시되어 있다. 흙다리로 부르던 것이 변하여 헌다리가 되었다고 한다.
    유형 :
    시설명
  • 서울미동초등학교 서울미동초, ─渼洞初等學校
    도덕)·독서·작문·습자(글씨연습)·미술·체조 등이었다. 1906년 한성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08년 미동공립보통학교로 개칭하면서 서울시 서대문구 미근동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여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10년 이후부터의 교과목은 수신·국어·한문·일본어·산술·이과(理科: 자연...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미근동 36
    설립 :
    1896년 5월 1일
    성격 :
    초등학교, 공립초등학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공립
    분야 :
    교육/교육
  • 고미정
    서대문구 연희동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연세대학교 북문 아래쪽에 있으며, 건물 2층과 3층을 사용하는 식당이다. 대표메뉴는 고급스러운 유기그릇에 내오는 이천쌀밥정식이다. 대표메뉴 외에도 고사리소불고기정식, 간장게장정식, 이천쌀밥정식, 제육볶음 등의 다양한 메뉴를 즐길 수 있다. 솥 밥은 누룽지를 만들어...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26길 28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법정구역도
서대문구청
북자호랑하늘소 수컷(2007. 6. 13. 서울 서대문구 신촌)
독립문. 사적 제32호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