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만파식적설화 萬波息笛說話
    개설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만파식적조와 『삼국사기』 권32 잡지 제1 악조(樂條)에 실려 있다. 내용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을 위하여 동해가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었다. 682년(신문왕 2)에 해관(海官)이 동해안에 작은 산이 감은사로 향하여 온다고 하여 일관으로 하여금 점을 쳐...
    시대 :
    고대/삼국
    저작자 :
    미상
    성격 :
    설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조주 助州, Joju
    생애 및 활동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알 수 없으나 왕경인(王京人)으로 보인다. 조주(助州)는 신라의 삼국통일 전쟁에서 외교관으로 크게 활약하였다. 668년(문무 8) 7월 16일 한성주(漢城州)에서 문무의 명을 받은 문영(文潁) 등이 신라군을 통솔하고 북진해 사천원(蛇川原)에서 고구려병을 격파한 다음 9월 21...
    시대 :
    고대/삼국/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대아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평양성전투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나당전쟁 羅唐戰爭
    당나라는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다음 신라까지 당나라 영토에 편입시키려고, 663년(문무 3) 신라를 계림대도독부라 칭하고 문무을 계림주대도독이라고 했다. 신라는 고구려 유민(遺民)들의 부흥운동을 배후에서 부추겨 당군에 대항하게 하고, 백제 지역에 주둔한 당군을 공격하는 양동작전을 구사하면서 정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통일신라 시대의 정치 전개와 쇠퇴
    나당 전쟁에서의 승리 신라는 문무 8년(668) 나당연합군이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고구려의 수도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함으로써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전쟁이 여기서 끝난 것은 아니었다. 당의 힘을 빌려 삼국을 통일했기에, 평양 이남의 영토를 획득하고 손상된 자주성을 회복해야만 했다. 즉...
  • 숙종 고려 15대왕, 肅宗
    6년(1101)에는 본국의 지형을 본떠 만든 ‘활구(闊口)’라는 이름의 은병도 주조하였다. 이듬해는 고주법(돈 만드는 법)을 제정하여 화폐 1만 5천 관을 주조, 문무 양반과 군인들에게 나누어 주었으니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화폐인 ‘해동통보’이다. 주전 사업으로 국가의 재정과 왕권안정을 도모한 숙종은 그동안...
  • 혜종 고려 2대왕, 惠宗
    黃袍, 이 입는 옷)를 담아 오씨에게 주었고 오씨는 다시 이것을 박술희에게 보였다. 태조의 뜻을 눈치 챈 박술희는 혜종을 정윤에 삼기를 요청하였고 그 덕에 혜종은 무사히 태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태조는 죽는 순간까지 박술희에게 “태자를 잘 보필하라.”고 당부할 정도로 혜종의 앞날을 걱정했다. 그만큼...
  • 구서당 九誓幢
    낭당의 이름으로 단순히 수도 방비와 치안 유지의 군대라는 의미가 컸다. 그런데 앞서 613년에 서당을 녹금서당으로 개칭했다는 기록은 660년(무열 8)의 백제공격과 661년(문무 원년) 및 668년의 고구려 공격 시에 여러 건의 서당부대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모순이 발생된다. 따라서 서당을 녹금서당으로 개칭한 시기...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경종 고려 5대왕, 景宗
    왕조에서는 문무관료의 인품 또는 공로에 따라 역분전이라는 것을 봉록으로 주었는데 경종대에 와서 비로소 관품(관리의 품계)과 인품에 따라 토지를 분급하는 전시과 제도가 마련된 것이다. 경종대의 전시과 제도는 광종대에 이룩된 공복 제도를 기본 테두리로 하여 급여의 양이 정해지고 그 위에 인품이라고 하는...
  • 도독부 都督府
    급서하여 그의 종자가 대신 식을 마쳤다. 그 뒤 신라가 백제부흥군을 접수하고 당군에 대항하면서 노골적인 반당정책(反唐政策)을 추진하자, 당나라는 663년(문무 3) 신라를 계림주대도독부(鷄林州大都督府)로 하고 문무을 계림주대도독에 임명하기도 하였다. 또한, 당나라는 고구려 정벌을 원활하게 단행하고 신라...
    시대 :
    고대/삼국/백제
    성격 :
    군사행정기구
    유형 :
    제도
    시행일 :
    660년
    분야 :
    역사/고대사
  • 고려 7대 왕, 목종 고려 제 7대 왕, 穆宗
    고려의 제7대 . 이름은 송(誦), 자는 효신(孝伸)이다. 아버지는 경종이며, 어머니는 헌애왕후(獻哀王后) 황보씨(皇甫氏)이다. 2세 때 경종이 죽자 당숙인 성종...9) 개령군에 봉해지고, 후사로 지명된 지 7년 만에 즉위했다. 즉위 첫해 12월 문무양반 및 군인에 대한 지급 체계인 전시과를 개정하고, 1004년에는 과거...
    출생 :
    980(경종 5)
    사망 :
    1009(목종 12)
    국적 :
    고려, 한국
    재위 :
    997년∼1009
    시호 :
    효사위혜극영정공선양대왕(孝思威惠克英定恭宣讓大王)
    능묘 :
    공릉(恭陵), 의릉(義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김유신 흥무대왕, 金庾信
    요약문 김유신은 삼국시대 신라의 삼국통일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장수이다. 595년(진평 17)에 태어나 673년(문무 13)에 사망했다. 신라에 투항한 가야왕족의 후손으로, 진골 귀족 출신이다. 15세에 화랑이 되어 낭도를 이끌고 고구려·백제와의 전투와 귀족층의 반란 진압에서 공을 세워 중요 인물로 성장했다...
    시대 :
    고대/삼국/신라
    출생 :
    595년
    사망 :
    673년
    경력 :
    태대각간, 대총관
    유형 :
    인물
    직업 :
    장수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동궁아 東宮衙
    거처하는 궁을 관리하였다. 신라에서 태자를 처음 책봉한 것은 566년(진흥왕 27)이지만, 그 뒤 태자책봉체제가 확립되지 못하다가, 655년(태종무열 2) 3월 뒷날 문무으로 즉위할 법민(法敏) 책봉된 뒤 정착되었다. 그리고 665년(문무 5) 8월에 문무이 왕자 정명(政明, 뒤에 신문왕)을 태자로 책봉한 뒤, 679...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752년(경덕왕 11)
    분야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문무왕
문무왕
경북 경주 문무대왕 수중왕릉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
경주 신라 문무대왕릉 중 내부와 인공수로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후측 전경
경주 동궁과 월지 중 임해정 전경
경주 감포 만파정 전경
경주 이견대 정측면
경주 감은사
문무왕의 수중릉(대왕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