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해 원명사 묘법연화경 법화경(法華經), 金海 圓明寺 妙法蓮華經숭배(佛塔崇拜) 사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다보탑과 석가탑 조성에 모체가 되기도 하였다. 권5 중 제15품 「종지용출품(從地涌出品)」에서는 대지하(大地下)의 허공 속에 살고 있던 보살이 대지의 틈바구니에서 솟아오르듯이 나타나 허공에 서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또 제16품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은...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현명 이토고죠, 弦鳴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여 입선하였고 4학년이었던 1941년에는 전통 복장의 조선 여성을 나무로 조각한 작품 「정류(靜流)」로 특선을 했다. 1942년에는 「대지(大地)」로 입선, 1943년에는 「천인침(千人針)」으로 특선을 했다. 천인침은 전쟁에 나가는 군인에게 한 땀씩 천 명의 여성들이 바느질로 수놓은 것을 선사...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재생설화 再生說話재탄생시키는 생명력(生命力)의 원천(源泉)으로서 ‘대지’의 힘이 재생을 매개(媒介)하는 주요한 신성력으로 나온다. 땅은 생명을 낳는 자궁이며 대지는 대지모(大地母)로서 자궁이 되는 것이다. 「재생설화」에 대지의 힘을 상징하는 용이나 검은 소와 같은 신성의 대상, 재생의 구심(球心)이 되는 우주의 중심을 상징...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초중신 회선 超重信回線, double phantom circuit삽입되는 변성기의 중성점으로 구성된 중신 회선 2회선을, 다시 그 중성점을 이용하여 그 위에 중신 회선 1회선을 구성하는 것. 또는 실회선 2회선으로 구성된 중신 회선의 중성점과 접지 간으로 구성된 전신 회선. ITU-T에서는 대지(大地)를 쓰지 않고 4쌍의 선으로 구성된 이중 중신 회선(또는 평형 이중 회선)을 말한다.
-
전적 수사본 용주사어제봉불기복게사본, 典籍 手寫本그 위덕을 헤아려 알지 못하나니 종을 쳐서 사주(四洲)에 고하여 뭇 백성을 깨우쳐 바른 땅에 오르게 하나이다.”고 서설하였다. 정종분(正宗分)에서는 대지숙인(大地宿因) · 공양칠보(供養七寶) · 장엄만게(壯嚴萬偈) · 응운발상(應運發祥) · 복덕무량(福德無量) · 제불호우(諸佛護佑) · 보살원력(菩薩願力)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홍천 철정리 유적 洪川 哲亭里 遺蹟강원특별자치도의 지형적 특성인 높고 험준한 산악지대 사이에 형성된 북한강의 상류 지류인 장남천의 동남안에 형성된 자연제방의 충적대지(沖積大地)에 위치하고 있다. 충적대지는 해발 168~170m 내외이며 유구가 형성된 지역의 대부분에서 구하도(舊河道)의 흔적이 확인되고 있는데, 유적이 조성되기 이전에 상류의...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남궁벽 초몽(草夢), 南宮璧지로부터 본격화한 시작들이 지니는 자연과 친근한 사상이 시적 특색이 되고 있다. 그의 문학은 당시 우리 문단에 만연되고 있었던 병인적(病因的) 퇴폐성이나 감상에 물들지 않고, 그 나름대로 자연의 순실미(純實美)와 ‘생명의 비의(秘義)’와 대지사상(大地思想) 등을 추구한 것 등을 특색으로 들 수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4년
- 사망 :
- 1921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시인
- 대표작 :
- 고독은 너의 운명이다, 나의 세상, 자연, 풀, 신비의 인연, 출생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본관 :
- 함열(咸悅)
-
야나기마치 미츠오 柳町光男, Yanagimachi Mitsuo야나기마치는 1982년에 그의 고향인 이바라기현을 무대로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집필하여 두 번째 극장편영화를 완성하였다. <안녕, 사랑하는 대지>(さらば愛しき大地, 1982)는 두 형제의 죽음과 마약과 폭력에 중독된 아버지를 통해 전통적인 가족 구조의 붕괴를 그린 작품이다. 베를린영화제 경쟁부문과 칸영화제 주목...
- 출생 :
- 1945년 11월 2일 일본 이바라기
- 본명 :
- 야나기마치 미츠오(柳町光男)
- 수상 :
- 낭트3대륙영화제 최우수아시아영화상, 동경국제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사랑에 대해서, 도쿄>(愛について、東京, 1993)), 동경국제영화제 주목할시선 부문 작품상(<카뮈 따윈 몰라>(カミュなんて知らない, 2005))
- 데뷔 :
- <열아홉살의 지도>(十九歳の地図,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