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낙선재
    경기도 광주 남한산성 인근에 있는 음식점이다. 여러 채의 한옥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극 촬영장 같은 느낌을 준다. 1996년에 개점하였으며,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한정식과 닭볶음탕이다. 음식점 가는 길은 드라이브 하기에 좋아서 데이트 코스로도 좋다. 이곳에 들어서면 수십 개의 항아리가 보이는데 각종 반찬에 들...
    위치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길 101
  • 낙선재
    낙선재는 본래 창경궁에 속해 있던 건물이었으나 근래에 창덕궁에 속한 것으로 취급하게 되었다. 이 건물은 헌종 12년(1846)에 건립한 것으로 본 건물에 접속된 석복헌(錫福軒)과 수강재(壽康齋) 등 3개의 건물을 총칭하여 낙선재(樂善齋)라 부르고 있다. 정문은 장락당(長樂堂)으로 낙선재 남행각(南行閣) 12칸에 설치...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 낙선재
    낙선재(樂善齋)는 1847년에 헌종의 서재 겸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지어진 창덕궁의 건물이다. 본래 이름은 낙선당이었으며, 창경궁에 속해 있었다. 정면 6칸, 측면 2칸의 단층 건물이다. 2012년 3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59호로 지정되었다.,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7711호, 2012-03-02 고종 황제도 이곳에...
    도서 위키백과
  • 창덕궁 낙선재 현종의 사랑, 꽃으로 피어나다
    세계문화유산의 백미, 창덕궁하면 후원이 먼저 떠오른다. 궁궐이 간직한 최고의 숲이다. 하지만 조선왕조 최고의 로맨스 가이 헌종의 사랑이 깃든 낙선재만 하랴. 주변에 핀 월영매와 만첩홍매와 능수벚나무는 그 이름만큼이나 화려한 꽃들이다. 마치 헌종의 낭만인 양하다. 세계가 인정한 비정형의 조형미 봄날의 따스...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99
    가는 법 :
    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 현대본사 지나 돈화문 앞. 간선버스 1번, 지선버스 7025번 창덕궁 하차
    사이트 :
    http://www.cdg.go.kr
    이용 시간 :
    오전 9시 15분~오후 4시 15분(3~10월 매시 15분, 45분 입장, 월요일 휴궁)오전 9시 15분~오후 5시 15분(4~9월 매시 15분, 45분 입장, 월요일 휴궁)오전 9시 15분~오후 3시 45분(11~ 2월 매시 15분, 45분 입장, 월요일 휴궁)자유관람 오전 9시 15분~오후 4시 30분(4~11월 목요일, 1일 1천 명 제한)옥류천 특별 관람 10:00, 13:00, 14:00(4~11월 월요일 휴궁, 목요일 제외)낙선재 특별 관람 10:20, 16:00(연중 월요일 휴궁, 목요일 제외)
  • 창덕궁 낙선재 昌德宮 樂善齋
    개설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낙선재는 1847년(헌종 13)에 중건된 궁궐 내부의 사대부 주택형식의 건축물이다. 내용 낙선재는 창덕궁과 창경궁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맨 좌측에 낙선재가 크게 자리 잡고 그 우측으로 석복헌과 수강재가 연이어져 있으며, 이들 뒤편에는 화초, 석물, 꽃담 굴뚝 등으로 이루어진...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창덕궁 낙선재 · 덕수궁 석조전, 경복궁 경회루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와 후원의 갈림길에는 능수벚나무가 일품이다. 버드나무처럼 꽃자루를 내린 벚나무라니. 봄날낙선재의 맞은편에는 매화밭이 꽃대궐을 이룬다. 봄날의 꽃놀이로 치자면 서울에서 손꼽히는 명소다. 낙선재는 헌종이 후궁 경빈 김 씨를 위해 직접 지은 궁궐 속의 궁궐이다. 궁궐이지만 단청이...
  • 낙선재상량문 현판 樂善齋上樑文 懸板
    유물설명 1847년(헌종 13년) 창덕궁(昌德宮)에 낙선재(樂善齋)를 세우고, 새로 지은 건축물의 내력, 공역(工役), 일시 등을 적은 상량문을 새긴 현판이다. 헌종의 서재 겸 사랑채로 지은 낙선재의 상량문은 헌종(憲宗, 재위 1834-1849년)이 직접 짓고 글씨는 당시 승정원의 도승지였던 조봉하(趙鳳夏, 1817-?년)가 썼다...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세로: 36.3cm, 가로: 107.0cm
    재질 :
    나무에 음각
  • 석제 '낙선재인' 인장 石製 樂善齋印 印章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헌종(憲宗, 재위 1834~1849)은 조선왕실의 인장 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 중 한명이다. 헌종은 낙선재에 한(漢)대 고인(古印)을 비롯하여 명(明)대 대표적인 문인 전각가 문팽(文影, 1489~1573), 그리고 표암 강세황(姜世晃, 1712~1791), 다산 정약용(丁若鏞...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3.3cm, 세로: 3.2cm, 높이: 2.4cm
    재질 :
    석인
  • 석제 '낙선재' 인장 石製 永寶 印章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헌종(憲宗, 재위 1834~1849)은 조선왕실의 인장 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 중 한명이다. 헌종은 낙선재에 한(漢)대 고인(古印)을 비롯하여 명(明)대 대표적인 문인 전각가 문팽(文影, 1489~1573), 그리고 표암 강세황(姜世晃, 1712~1791), 다산 정약용(丁若鏞...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2.6cm, 세로: 2.4cm, 높이: 4.0cm
    재질 :
    석인
  • 궁스테이
    숙박하다’는 뜻의 스테이(Stay)를 합성한 신조어로 고궁의 일부를 개방해 숙박시설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015년 7월 문화재청이 창덕궁(昌德宮) 낙선재(樂善齋) 권역 일부를 개방해 고가의 숙박시설로 활용하려는 ‘궁(宮)스테이(Stay)’ 기획이 알려졌다. 낙선재는 조선 헌종 때 만들어진 건물로 2012년 3월 보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재 , 일반상식
  • 궁궐 정원의 경물 생활공간을 풍류의 공간으로
    궁궐의 정원은 창덕궁 후원처럼 규모가 큰 것이 있는가 하면, 경복궁 교태전 후원의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후원과 대조전 후원, 한정당 정원, 창경궁 통명전 정원과 같이 각 전각에 딸린 소규모의 것도 있다. 괴석, 석지(石池), 동물상 등이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생활공간을 산수화(山水化)하거나, 상서로운...
    도서 궁궐 장식 | 태그 조선 , 건축물
  • 필사본 筆寫本
    자료총서》 102책 낙선재본(樂善齋本) 소설 필사는 가정집과 서사에서 되었을 터이니, 소설 필사지를 정확히 지목할 수는 없다. 다만 낙선재 소설은 필사된 곳이 분명하다. ‘낙선재’는 조선 헌종 13년(1847)에 창경궁 안에 지은 전각이기 때문이다. 헌종이 후궁 김 씨를 위해서 지었다 하며 주로 왕비들이 거처하면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5건

창덕궁 낙선재 석복헌과 낙선재 사이 출입로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