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치광이거나 천재거나, 파블로 피카소 Pablo Ruiz y Picasso
    그렸다. 이 시기에 그는 청색을 탈피하고 장미색으로 옮겨가기 시작했으며 조각적 형태에 몰두하게 되었다. 1906년 말경 피카소는 〈아비뇽의 처녀들〉이라는 대작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가 완성된 작품을 친구들과 평론가들, 그리고 중개인들에게 공개하자 모두가 경악했다. 삐뚤어진 코, 단순하게 처리된 인체, 무엇...
    출생 :
    1881년
    사망 :
    1973년
    본명 :
    파블로 루이즈 이 피카소
    국적 :
    스페인
    대표작 :
    〈게르니카〉, 〈아비뇽의 처녀들〉, 〈프랑코의 꿈과 거짓〉, 〈과학과 자선(Science and Charity)〉, 〈임종의 순간(Last Moments)〉, 〈수프〉, 〈웅크린 여인(Crouching Woman)〉, 〈장님의 식사(Blind Man's Meal)〉, 〈늙은 유대 인과 소년(Old Jew and a Boy)〉, 〈여인과 빵(Woman with Loaves)〉, 〈막스 자코브〉, 〈볼라르(Vollard)〉, 〈프랑코의 꿈과 거짓(Dream and Lie of Franco)〉 등
  • 2008년은 드라마에게 혹독한 한 해
    자리 잡을 만큼 영향을 주었고, 미드에 대항하기 위한 방편으로 '머니 게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천문학적인 제작비를 투입한 대작 드라마가 경쟁적으로 등장했다. 하지만 대작 드라마는 하나같이 신통치 않은 성적을 낳았다.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젊은 층의 지상파 이탈과 미드로 인해 높아진 시청자의 눈높이...
  • 나쓰메 소세키 나쓰메 긴노스케, 夏目漱石
    위장병에 시달리면서도 고독한 메이지 시대[明治時代] 지식인의 내면을 그린 〈마음 心〉(1914)과 자전적 소설 〈미치구사 道草〉(1915)를 썼으며 최후의 대작 〈명암 明暗〉 집필중이던 1916년 위궤양의 악화로 세상을 떠났다. 소세키는 창작 연한이 12년간에 지나지 않았지만 많은 대작을 남겼으며, 작품에서 다룬...
    출생 :
    1867. 1. 5, 에도[江戶]
    사망 :
    1916. 12. 9, 도쿄[東京]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알렉산더 코다 산도르 라슬로 켈너, Alexander Korda
    지론을 자신이 만든 영화사를 통해 실천하려했다. 이듬해인 1933년 발표한 <헨리 8세의 사생활>(The private Life of Henry VIII)은 6만 파운드를 들인 대작이었고, 국제적으로 50만 파운드의 흥행 수입을 올려 영국영화도 할리우드와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 영화는 미국에서도 대성공을 거뒀고, 특히 영국...
    출생 :
    1893년 9월 16일
    사망 :
    1956년 1월 23일
    본명 :
    산도르 라즐로 켈너(Sándor László Kellner)
    수상 :
    1934년 베니스국제영화제 최우수 월드프리미어(Best World Premiere)(<돈 주앙의 사생활>)
    데뷔 :
    <카르파시안의 초소>(Watchhouse in the Carpathians, 헝가리, 1914)
  • 폴 버호벤 Paul Verhoeven
    광기 어린 사랑을 다룸으로써 이후 폴 버호벤 영화들의 원형이 되는 작품으로 거론된다. 이후 <캐티 티펠>(Keetje Tippel, 1975)과 2차 대전을 배경으로 한 대작 <서바이벌 런>(Soldaat van Oranje, 1978)으로 유럽에서 명성을 얻은 그는, 폭력과 섹스 신이 즐비한 아마추어 모터사이클 경주를 소재로 한 기괴한...
    출생 :
    1938년 7월 18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수상 :
    2000년 로카르노국제영화제 관객상(<할로우맨>), 2002년 암스테르담판타스틱영화제 평생공로상
    데뷔 :
    1971년 <나는 무엇을 보았는가?>(Wat Zien Ik, Diary of a Hooker, 네덜란드)
  • 고딕건축, 15세기와 거대주의
    나름대로 찬란한 중세 문화를 이루고 있었지만 건축은 예외였다. 산마르코 이후 베네치아 고딕은 주로 팔라초나 소형 교회에 국한되었고 교회나 성당 같은 대작은 내지 못하고 있었다. 베네치아 고딕의 중심은 세속 권력의 건물이었다. 비잔틴제국이 쇠퇴하고 제노바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면서 베네치아공화국은...
  • 밀양 표충사 지장탱 표충사 지장보살도, 密陽 表忠寺 地藏幀▽
    후불화로 조성되어 지장보살상 뒤에 봉안된 지장보살 전용 불화임을 알 수 있다. 화기에도 ‘함풍팔년무오사월이십일일 지장정신성밀양동령재약산표충사대작불사봉안우차지장전(咸豊八年戊午四月二十一日 地藏幀新成密陽東嶺載藥山表忠祠大作佛事奉安于此地藏殿)’이라고 적혀 있어 1858년에 지장 전용 불화로 제작...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극장춤 劇場춤
    의식과 형식에 바탕을 두고 새롭게 창작된 관람형의 춤을 말한다. 한국의 극장춤은 규모 면에서 10~30분간의 소품과 수십 명의 춤꾼들이 1시간 이상 펼치는 대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교 형식면에서는 한국춤·현대춤·발레로 구분되어지나 실제 작품에서 그렇게 나눠질 수 없는 경향이 1980년대 중반부터 조성되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무용
  • 마이크 뉴웰 Cormac Newell, Mike Newell
    The Awakening, 1980)과 <나쁜 피>(Bad Blood, 1982) 등을 잇달아 제작하면서 영화계에서도 실력을 인정받는다. 뉴웰은 1990년대 후반부터 할리우드에서 대작 영화들을 만들면서 전성기를 보내게 된다. 뉴웰은 2005년에 자신의 고향인 알반스(Albans)에 자리한 하트포드셔 대학(University of Hertfordshire)에서 수여...
    출생 :
    1942년 3월 28일
    본명 :
    마이클 코맥 뉴웰(Michael Cormac Newell)
    수상 :
    1985년 칸국제영화제 신인감독상(<낯선 사람과 춤을>), 1995년 세자르상(César Award) 최우수 외국영화상(<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1995년 런던영화평론가협회 최우수감독상(<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데뷔 :
    <코미디 워크숍: 사랑과 모드 카버>(Comedy Workshop: Love and Maud Carver, 영국, 1964)
  • 렘브란트, 〈야경〉 화학반응으로 바뀐 그림의 제목
    그림이 팔리지 않게 되었다. 〈야경〉은 1715년이 되어서야 국방청의 좁은 홀에 사방이 30cm 이상을 잘린 채로 조촐하게 걸렸다가 1885년 세계적인 대작으로 재평가받고, 지금은 네덜란드 국립 미술관의 한 방을 차지하고 있다. 그림의 맨 앞 가운데에 늠름하게 선 사람은 단체의 대장인 프란스 바닝 코르크이며, 그 옆...
  • 극장춤
    예술성을 지탱하는 예술적 논리도 심화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한국의 극장춤은 규모면에서 10~30분간의 소품과 수십 명의 춤꾼들이 1시간 이상 펼치는 대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교형식면에서는 한국춤·현대춤·발레로 구분되어지나 실제 작품에서 그렇게 나눠질 수 없는 경향이 1980년대 중반부터 조성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필묵에 선(禪)의 이상을 담다, 셋슈 雪舟
    눈으로 보고 여행하며 수행하듯 그림을 그려 온 노력의 결실이었다. 대표작 〈산수장권〉은 그가 67세에 운고쿠암에서 그린 것으로 길이가 16미터에 이르는 대작이다. 셋슈가 일본 전역을 여행하고 난 후 계절에 따른 변화무쌍한 풍경을 대담한 필치로 표현한 작품이다. 셋슈는 머릿속에 그려진 풍경을 전달하려고...
    출생 :
    1420년
    사망 :
    미상
    국적 :
    일본
    대표작 :
    〈산수장권(山水長卷)〉, 〈천교립도(天喬立圖)〉, 〈파묵산수도(破墨山水圖)〉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양영순의 대작이라 일컫는
조선 초유의 대작이라는 찬사를 받은 홍명희의 대하 역사 소설 〈임꺽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