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저수지 貯水池, reservoir
    가지 방향으로 개발 할 수 있다. 저수지의 축조에는 지형적인 조건이 중요하다. 집수유역이 크고 불투수성 점토질층 또는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투와 누수가 없는 산간 계곡 지형이 가장 좋다. 저수지를 계획할 때 있어서 기초적인 조사가 필요한 것은 저수지의 용량, 집수량, 위치, 축제재료, 제방의 축조 방식...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북악 터널
    홍은동, 종로구 부암동·평창동, 은평구와 터널의 동쪽 지역인 성북구 정릉동, 강북구·동대문구 사이의 교통소통에 큰 도움이 되어왔다. 시설이 노후해 누수방지와 벽면 미관을 위해 1987년 지반 그라우팅(grouting) 공사와 타일 부착공사 등의 대규모 보수공사를 했다. 1991년 12월 7일에는 길이 810m, 너비 1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샘과 삼출수
    종류의 암석에도 조건만 맞으면 샘이 형성된다. 좋은 대수층이 있어도 이들이 점토나 셰일과 같은 불투수성 암석으로 덮여 있는 경우에는 지하수가 지표로 누수되지 못한 채 지하에 갇혀 있게 된다. 지하에 갇혀 있는 대수층 내의 물은 압력을 받으므로 불투수성층을 뚫고 지표로 분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샘을 찬정...
    도서 다음백과
  • 북악터널 北岳─
    좌우 각각 1.2m로 구성되었다. 벽면 미관이 불량하고 조도가 저하되었을 뿐 아니라 소화설비도 노후한 상태여서 1차 보수를 하였다. 또한, 터널 입구부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보수방안으로 지반그라우팅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산마루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측구(側溝) 전방의 지중선(地中線)을 관통하는 그라우팅을...
    시대 :
    현대
    성격 :
    터널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810m, 너비 12.1m, 높이 6.25m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관개 灌漑, irrigation
    위치한 논으로 보내는 월류관개, 물을 저류하여 유해물질 세척, 양분의 공급, 비료효과 조절, 온도조절, 잡초억제의 효과가 있는 담수관개, 감수심이 큰 누수답에서 담수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연속관개, 관개구역을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급수하는 윤번관개, 냉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보온관개 등이 있다. 관개...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달성터널 옥포터널
    불량해 차량진입시 불편을 줄 것으로 예상되어 선형을 일부 변경함으로써 길이가 565m로 단축되었다. 지질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굴착에 용이했으며, 누수방지를 위해 아치콘크리트 속에 비닐 방수포를 넣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아치콘크리트와 측벽의 배수구를 통하여 양측 측구로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완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구
  • 남산 터널
    한남동을 연결한다. 길이 1,530m, 폭 9.0m의 2차선 터널 2개로 이루어져 있다. 1970년 8월 15일에 준공했으며, 터널 내 제한속도는 60㎞/h이다. 건설 후 심한 누수와 환기불량으로 1975년 9월에 1차 보수공사를 했으며, 1989년 5월부터 1994년 1월까지 확장 및 2차 보수공사를 시행했다. 남쪽으로는 한남대교와 이어진다...
    건립시기 :
    1호 터널 1970년 8월 15일, 2호 터널 1970년 12월 4일, 3호 터널 1978년 3월 31일
    길이 :
    1호 터널 1,530m, 2호 터널 1,620m, 3호 터널 1,280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봉명광산 鳳鳴鑛山
    연간 220만t의 석탄을 생산해냈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탄광산업의 사양화로 광산 인구 및 생산량이 저하되었다. 1984년 광산촌의 환경과 복지시설의 정비사업을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했으나, 갱도의 심부화와 석회암층으로 스며드는 누수로 갱내의 배수처리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1991년 경영악화로 완전 폐광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호남터널 湖南tunnel
    남해안 일대에 줄기져 뻗어 있는 소백산맥의 지맥(地脈) 때문에 시공상 난점이 많았다. 특히, 층과 층 사이에 형성된 균열부에는 점토 및 이토(泥土)가 끼어 있고 누수가 심하여 작은 암괴가 낙반하는 경우가 많아 인공적으로 낙반을 제거하고 강재 아치 지보공(支保工)을 설치하는 등 공사진전에 애로가 있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집권 3년차 증후군
    임기가 반환점을 지나 내리막길로 가면, 권력을 좇는 정치인들은 자연히 ‘미래 권력’에 관심을 갖게 마련이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대통령은 이런 권력 누수를 막기 위해 차기 대권 주자들을 직접 관리하려 들지만, 갈수록 그 힘은 빠지게 된다. 여기저기서 게이트성 스캔들이 터져나오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 벼깨씨무늬병 brown spot of rice
    1960년대까지 벼 재배에 큰 피해를 준 병해였다. 통일형 벼 재배 면적이 늘어나면서 줄어들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추세이다. 누수가 심하고 경토가 얕은 사질토답 등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벼, 보리, 옥수수 등 21종의 화본과 식물에서 발생하며, 병원균은 균사상태로 3년 정도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균류 , 곡식 , 질병
  • 다황화물 폴리황화물, 多黃化物
    되어 있다. 이 티오콜은 산화아연과 함께 가열하면 단단하고 탄력성있는 물질로 변화하여 호스나 저장 탱크의 내장용으로, 혹은 물리적·화학적 손상을 막아주는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또한 로켓의 고체연료로도 이용되며, 목재·금속·콘크리트 등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거나 누수를 방지하는 수성 분산제로 쓰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물 새는 코엑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