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관 南寬
    우주의 영원성을 담백하면서도 세련된 색채감각으로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그의 작품은 파리 국립현대미술관, 파리 시립현대미술관, 룩셈부르크 국립미술관, 토리노 국제미술관, 퐁피두센터 등 국내외의 미술관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수집가들에게 소장되어 있다. 대표작으로는 〈묵념 墨念〉·〈태고의...
    출생 :
    1911. 11. 25, 경북 청송
    사망 :
    1990. 3. 30,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윤승욱 尹承旭
    위촉되었으나 작품을 출품하지는 않았다. 대표작으로 꼽히는 1941년의 조선미술전람회 출품작 「피리 부는 소녀」(원작은 석고, 1971년 청동으로 주조, 국립현대미술관 소장)는 정확한 균형과 사실적 표현이 두드러진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밖에 경주시 경주중고등학교에 있는 설립자 청동좌상이 현존하고 있으며 이승만...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현대
    출생 :
    1914년
    사망 :
    미상
    경력 :
    서울대학교 교수
    유형 :
    인물
    직업 :
    조각가
    대표작 :
    한일(閑日), 어느 여인, 피리 부는 소녀, 청년들
    성별 :
    분야 :
    예술·체육/조각
  • 김세중 金世中
    대학교 조소과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미술대학 학장을 역임하였고,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국제조형예술협회 한국위원회 위원장, 가톨릭미술가협회 회장,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등 미술행정면에서도 두드러진 활약을 보였다. 그의 작품에서 주요골격을 차지하는 분야는 종교작품으로,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후반...
    시대 :
    현대
    출생 :
    1928년
    사망 :
    1986년
    경력 :
    서울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장, 국립현대미술관장
    유형 :
    인물
    직업 :
    조각가
    대표작 :
    자매순교자, 십자가, 최후의 심판도, 충무공이순신장군상, 애국상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이성자 李聖子
    남관, 이응노와 함께 상파울로 비엔날레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였다. 1981년에는 프랑스와 한국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가졌고, 이후 한국에서 1985년 현대화랑, 1992년 국립현대미술관, 1995년 조선일보사, 1998년 예술의전당 등에서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2001년에는 재불 50주년을 기념한 전시가 프랑스에서 열렸다...
    시대 :
    현대
    출생 :
    1918년 6월 3일
    사망 :
    2009년 3월 8일
    유형 :
    인물
    직업 :
    화가, 서양화가, 판화가
    대표작 :
    음과 양, 산, 도시, 극지로 가는 길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정부표준영정
    서울특별시 중구 한국은행 본점 7 이이 김은호 1975년 강원도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오죽헌 8 우륵 이종상 1975년 대한민국 문화공보부 경기도 과천시 국립현대미술관 9 김유신 장우성 1975년 충청북도 충청북도 진천군 길상사 10 조헌 김기창 1975년 대한민국 문화공보부 경기도 과천시 국립현대미술관 11 김정호...
    도서 위키백과
  • 변관식의 작품세계
    적어넣은 화제가 흔했던 것도 그중 한 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만큼 개성있는 조형어법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믿음직스럽게 그려낸 작가도 많지 않다. 대표작으로는 〈외금강 삼선암 外金剛 三仙巖〉(1959, 개인 소장)·〈옥류청풍 玉流淸風〉(1961, 개인 소장)·〈농가〉(1957, 국립현대미술관)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김서봉 상하, 金瑞鳳
    있는 내재적 표현은 동양정신을 구현한 것으로 해석되는 작품을 많이 선보였다. 1977년 첫 개인전을 연 이후 1991년까지 5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국립현대미술관, 판문점 평화의 집 본회의장, 타이완 역사박물관, 서울대학교박물관, 고려대학교박물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1990년 평안북도문화상 예술부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최우석 정재(鼎齋), 崔禹錫
    등 두드러진 작품 활동을 보였다. 광복 후에는 1961년까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의 추천 작가·초대 작가·심사 위원을 역임하며 역사인물화·도석인물화·화조화·어해도 등을 출품하면서 명성을 유지하였다. 현존하는 대표작으로는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의 「전가풍미(田家風味)」(1959) 등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출생 :
    1899년 3월 23일
    사망 :
    1964년 3월 17일
    경력 :
    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화가, 한국화가
    대표작 :
    포은공(圃隱公), 이충무공(李忠武公), 고운선생(孤雲先生), 을지문덕(乙支文德), 일하도해(一蝦渡海), 전가풍미(田家風味)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서울대공원 창경원, ─大公園
    10년, 실제 건설 기간만 따져도 8년간에 걸친 대역사였다. 1984년 5월 동물원이 먼저 개원하였고, 1985년 5월에 식물원이 개원하였다. 1986년 8월 국립현대미술관이 개관하고, 같은 해 11월 청소년 수련장이 개장하였다. 1988년 5월에는 서울랜드가 개장하였다. 1991년 7월 리프트카를 운행 개시하였으며, 1992년 12...
    시대 :
    현대
    성격 :
    공원, 종합테마공원
    유형 :
    지명
    면적 :
    부지면적: 9,132,690㎡도시자연공원: 2,462천㎡근린공원: 6,670천㎡
    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대공원광장로 102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폐림지근방 廢林地近傍, Neighborhood of a bare mountain
    개설 캔버스에 유채. 세로 93.7㎝, 가로 123.8㎝.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이하 국전으로 약칭)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으며 자연풍경을 주관적으로 변형한 현대적 감각의 작품이다. 내용 한국 미술의 발전과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창설된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
    시대 :
    현대
    저작자 :
    류경채
    창작/발표시기 :
    1949년
    성격 :
    풍경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93.7㎝, 가로 123.8㎝
    권수/책수 :
    1점
    재질 :
    캔버스에 유채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국립현대미술관
  • 북촌 8경
    7경 가회동 31번지, 8경 삼청동 돌계단길이 포함되어 있다. 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이동하는 당일여행 코스로 인기가 있으며 오래된 맛집을 비롯해 주변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운현궁, 정독도서관, 삼청공원 숲 속도서관 등의 볼거리가 있어 여행하기 좋다. 참고문헌 https://hanok.seoul.go.kr...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계동)
  • 김응섭 석담(石潭), 金應燮
    영양(英陽) 출생. 서병오(徐丙五)를 사사, 서화(書畫)·음률(音律)에 능하였다. 활동사항 추사서풍(秋史書風)에 심취하여 추사체연구회(秋史體硏究會)를 조직하였고, 또 한글초서를 개발하여 묵란(墨蘭)과의 조화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각급 공모전의 심사위원, 국립현대미술관 초대 작가로 서화를 통하여 활약하였다.
    시대 :
    현대
    출생 :
    1917년
    사망 :
    1989년
    유형 :
    인물
    직업 :
    서예가
    성별 :
    분야 :
    예술·체육/서예
    본관 :
    김해(金海)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0건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중앙홀
덕수궁미술관
마티스, 〈호사, 평온, 쾌락〉, 1905년, 캔버스에 유채, 98×118cm, 프랑스 파리 퐁피두센터 국립 현대 미술관
소니아 들로네, 〈리듬〉, 1938년, 캔버스에 유채, 192×157cm, 프랑스 파리 퐁피두센터 국립 현대 미술관
김주경, 〈북악산을 배경으로 한 풍경〉, 캔버스에 유채, 97.5×130.5cm, 1927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와인 잔을 든 두 사람〉, 캔버스에 유채, 1917~1918, 235×137cm, 프랑스 파리 국립 현대 미술관
조덕환, 〈이승만 대통령과 아이젠하워〉, 캔버스에 유채, 91×116.8cm, 1953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이갑향, 〈격자무늬옷의 여인〉, 캔버스에 유채, 111.2×89.5cm, 1937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김은호, 〈순종 황제 어진 초본〉, 종이에 수묵초본, 60×45.7cm, 1923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정종여, 〈오세창 선생 초상〉, 종이에 수묵담채, 113.5×48cm, 1948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