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덕수궁 양관 (동의어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德壽宮 洋館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서양식 건축물. 양관.|내용 1897년∼1900년 사이에 행해진 중건 과정에서 수옥헌(漱玉軒: 뒤에 重眀殿으로 고침) · 정관헌(靜觀軒) · 구성헌(九成軒) 등이 지어졌고, 1900년에서 1910년에 걸쳐 석조전(石造殿)이 지어졌다. 19세기 말부터 본격화된 일본 및 서양세력의 진출로 인...
    시대 :
    근대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덕수궁석조전 덕수궁 양관, 德壽宮石造殿
    덕수궁 안에 있는 근대 서양식 건물. 영국인 J.M. 브라운의 발의에 의해 1900년 착공하여 1910년에 완공되었다. 기본설계는 영국인 J.R. 하딩이, 내부설계는 영국인 로벨이 했으며 공사감독은 한국인 심의석, 러시아인 사바틴, 일본인 오가와[小川陽吉], 영국인 M.H. 데이빗슨 등이 했다. 3층 석조건물로 1층에는 상궁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창덕궁 낙선재 · 덕수궁 석조전, 경복궁 경회루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와 후원의 갈림길에는 능수벚나무가 일품이다. 버드나무처럼 꽃자루를 내린 벚나무라니. 봄날낙선재의 맞은편에는 매화밭이 꽃대궐을 이룬다. 봄날의 꽃놀이로 치자면 서울에서 손꼽히는 명소다. 낙선재는 헌종이 후궁 경빈 김 씨를 위해 직접 지은 궁궐 속의 궁궐이다. 궁궐이지만 단청이 ...
  • 덕수궁 (관련어 덕수궁 석조전) 사적 제124호, 德壽宮
    조선시대의 궁궐. 본래 월산대군의 집이었던 곳을 선조가 행궁으로 삼았다. 1611년에 경운궁, 1618년에는 서궁으로 불렸다. 1897년 선원전·함령전·보문각 등이 지어졌으며, 1900년 인화문·돈례문·영성문 등이, 1902년 중화전·관명전 등이 건립되었다. 1904년에는 즉조당·석어당·함령전 등이 중건되었고, 1910년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덕수궁 (관련어 덕수궁 석조전) 경운궁(慶運宮), 德壽宮
    덕수궁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 고종의 거처로 이용된 궁궐이다. 원래 월산대군의 사가였는데 임진왜란 후 선조가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정릉동 행궁으로 불리다가 광해군 때에 경운궁으로 개칭되었다. 1897년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서 이곳으로 거처를 옮긴 후부터 중화전을 비롯한 전각들이 세워졌다. 건...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덕수궁 (관련어 덕수궁 석조전) Deoksugung, 徳寿宮
    문화재 정보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이다.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으로, 아관파천 이후 환궁하여 법궁으로 사용되다가 순종 즉위 후 궁의 이름을 현재의 덕수궁으로 변경하였다. 현재의 영역 외에 선원전, 홍원, 중명전 영역도 ...
    도서 위키백과
  • 덕수궁 정관헌과 석조전 사이 궁의 중심 또는 끝의 정원
    내려선다. 숲이 다시 우거진다. 연인들이 다정히 손을 잡고 지난다. 길도 그들 마냥 다정하다. 그러고는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석조전덕수궁 미술관(석조전 동관) 사이로 빠져 나간다. 석조전은 고종황제의 침전 겸 편전을 위해 지었다. 고종황제가 승하한 후 일본 회화미술관으로 사용됐다. 1938년에는 그 곁에 동관...
    소재지 :
    서울시 중구 정동 5-1 일원
    휴관일 :
    매주 월요일 휴관
    가는 법 :
    지하철 1·2호선 시청역 2번 출구. 덕수궁 방면. 간선버스 172, 472, 600, 602, 607번 시청역 하차. 마을버스 종로09, 종로11번 덕수궁 하차
    사이트 :
    http://www.deoksugung.go.kr
    이용 시간 :
    오전 9시~오후 9시
  • 덕수궁 석조전 사진 엽서 德壽宮 石造殿 寫眞葉書
    유물설명 덕수궁(德壽宮) 석조전(石造殿)의 흑백사진이 인쇄된 엽서이다. 석조전은 1910년에 완성된 건물로 이오니아식 주두(柱頭)로 된 열주가 늘어서 있고 콜로니얼(colonial) 스타일의 건축물로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엽서에서는 덕수궁의 궁장(宮墻)이 전면에 위치해 있고 중화문(中和門)과 중화전(中和殿), 그리고...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9.1cm, 가로: 14.2cm
    재질 :
    종이에 인쇄
  • 덕수궁 석조전 완공
    6월, 덕수궁 안에 서양식 건축물인 석조전이 세워졌다. 1900년에 공사가 시작돼 10년 만에 완공된 것이다. 석조전은 3층 건물로 18세기 신고전주의 유럽 궁전 건축 양식에 따라 지어졌다. 참조
    시대 :
    1910년 6월
    국가/대륙 :
    한국
  • 이왕가미술관 이왕직미술관, 李王家美術館
    덕수궁으로 옮겨와 넓은 공간에서 전시하는 계획이 보도되었다. 그러나 도쿄예술학교 교장 마사키 나오히코(正木直彦) 등이 추진하여 1933년 가을에 덕수궁 석조전에서는 일본에서 대여해 온 일본 근대 미술품이 전시되었다. 일본 근대 미술품은 회화작품이 매월 10여 점씩 도쿄에서 운반되어 교체 전시되었으며, 조각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대한제국의 역사가 흐르는 궁궐 속 미술관
    지하는 자유롭게 관람이 가능하나 1, 2층은 인터넷으로 신청해야 관람할 수 있다. 고종 황제가 커피를 마시던 정관헌과 덕수궁의 정전 중화전 면적으로 따지면 덕수궁은 경복궁에 비해서 작지만 석조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축물과 정원수가 있어 아이와 함께 산책하듯 둘러보기 좋다. 준명당과 즉조당, 석어당 사이를...
    위치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 덕수궁~경희궁 근대 역사의 발자취를 느껴보자
    어반가든도 좋지만 근대의 정취를 느끼고 싶다면 조금 떨어진 충정로의 충정각을 가보는 것도 좋겠다. 코스1 서울 성공회성당 → 덕수궁 정관헌과 석조전 사이 → 서울시립미술관 → 덕수궁 돌담길 → 어반가든 코스2 서울 성공회성당 → 덕수궁 정관헌과 석조전 사이 → 서울시립미술관 → 덕수궁 돌담길 → 경희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7건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