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주 명활산성압력으로 인하여 성벽이 쉽게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이다. 기단보축 성벽이 확인되는 신라성곽으로는 보은 삼년산성, 대전 계족산성, 함안 성산산성, 창령 목마산성, 문경 고모산성, 용인 할미산성, 이천 설성산성, 여주 파사산성, 안성 죽주산성, 서울 아차산성, 파주 칠중성, 포천 반월산성 등이...
- 시대 :
- 신라
- 소재지 :
- 경상북도 경주시 천군동 일원
- 종류 :
- 석성
-
함안 성산산성정도의 석축성이다. 성벽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연경사를 이루고 있는 산 정상부를 따라 가다가 동쪽 계곡을 가로질러 축조되어 있다. 보은 삼년산성, 문경 고모산성 등 고대 석축산성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곡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축성술과 함께 우리나라 고대 석축산성의 축성기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중요한...
- 시대 :
- 신라
- 소재지 :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광정리 조남산 일대
- 종류 :
- 석성
-
니콜라이 게다 Nicolai Gedda취미로 성악을 시작 스웨덴 출신의 테너 니콜라이 게다는 1925년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 스웨덴인 어머니와 러시아계의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게다는 고모인 올가 게다(Olga Gädda) 밑에서 자랐다. 그의 양아버지는 미하일 우스티노프(Mihail Ustinov)였는데, 그 지역에서는 꽤 알려진 베이스 가수였다. 게다는 이런...
- 분류 :
- 연주자>성악가>남자 성악가
- 출생 :
- 1925년 7월 11일, 스웨덴 스톡홀름
- 유형 :
- 테너
- 수상 :
- • 1966년 쾨니히 상 • 1968년 스웨덴 예술가 메달 • 2007년 카루소 상 • 2010년 레종 도뇌르 훈장
- 데뷔 :
- 1952년, 아돌프 아당 〈롱쥐뫼의 우편배달부〉, 스웨덴 왕립 오페라극장
-
루이자 메이 올컷 Louisa May Alcott수 있었다. "모든 빚을 갚아버렸다……하느님 감사합니다!" 그밖에도 어린시절에 겪은 일을 소재로 하여 〈구식 아가씨 An Old-Fashioned Girl〉(1870)·〈조 고모의 스크랩 가방 Aunt Jo's Scrap Bag〉(6권, 1872~82)·〈작은 도련님들 Little Men〉(1871)·〈8명의 사촌들 Eight Cousins〉(1875)·〈조의 아이들 Jo's...
- 출생 :
- 1832. 11. 29, 미국 펜실베이니아 저먼타운
- 사망 :
- 1888. 3. 6, 보스턴
- 국적 :
- 미국
-
-
-
장월중선 張月中仙장판개에게 단가와 판소리 다섯 바탕을 부분적으로 배웠고, 10대에는 박동실에게 심청가 전 바탕과 춘향가를 배웠다. 가야금 풍류와 산조는 김종기의 제자인 고모 장수향에게, 박상근과 1968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가야금산조 기능보유자가 된 김윤덕에게도 가야금을 배웠다. 그리고 백낙준의 제자인...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아저씨 아재라고 하는데 여기에 존칭 호격조사 ‘씨’가 붙어 이루어진 말이다. 멀지 않은 옛날만 해도 이 말은 친척을 부르던 친족 호칭이었다. 함경북도 방언에서는 고모, 이모 등의 여자 친족을 일컫는 표현으로 쓰이기도 한다. 바뀐 뜻 지금은 결혼한 남자 어른을 일컫는 일반 호칭으로 널리 쓰인다. 보기글 ㆍ아직 결혼도 하지...
- 유형 :
- 순우리말
-
송사련 宋祀連사주를 보니 운수가 대통하여 부귀를 얻을 운이었고, 안당의 집 사람들의 사주는 죽고 망할 운수였다. 이에 엉뚱한 생각을 품고 처남 정상(鄭鏛)과 공모하여, 고모인 안처겸의 어머니가 죽었을 때의 조객록(弔客錄)과 발인(發靷) 때의 역군부(役軍簿) 등을 증거로 삼아 안처겸 등이 모역을 꾀하였다는 사실을 조작, 옥사...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96년(연산군 2)
- 사망 :
- 1575년(선조 8)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신사무옥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산(礪山)
-
작은아버지 숙부(叔父)나이가 많은 형제에 대한 친족용어가 백부 · 큰아버지 · 큰아배(안동지방의 방언)이고, 자매 중에서 나이가 많은 사람을 큰고모, 나이가 적은 사람을 작은고모라고 하듯이 아버지의 형제자매에 대한 우리나라의 친족용어는 세대만을 구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동세대에서도 성(性)과 출생순위, 연령을 구분하고 있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