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어머니의 남자형제나 아버지의 여자형제가 낳은 자식.
전문적인 논의를 위해서 인류학자들은 사촌을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있다. 아버지 쪽 사촌은 모두 부계, 어머니 쪽 사촌은 모두 모계라고 할 때 어머니끼리 자매이거나 아버지끼리 형제인 사람들의 자식은 수직사촌(ortho-cousin) 또는 평행사촌(parallel cousin)으로 규정되며 고모나 외삼촌의 자식들은 교차사촌이 된다.
영어로 'cousin'이라는 말은 위의 4가지 관계를 다 나타내지만 많은 언어집단에서 수직사촌과 교차사촌을 따로 구분한다.
이런 경우 수직사촌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말들이 남자형제나 여자형제를 나타내는 말들과 같을 때가 많다. 작은 언어집단에서는 수직사촌들을 한 범주로 묶으면서 아버지 쪽 교차사촌과 어머니 쪽 교차사촌을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또 다른 언어집단에서는 이 4가지 종류의 사촌에 대하여 각각 고종사촌(부계교차사촌)·친사촌(부계수직사촌)·외사촌(모계교차사촌)·이종사촌(모계수직사촌)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사촌끼리 결혼하는 것을 가장 바람직하게 여기는 사회가 없지는 않지만 수직사촌 사이의 결혼은 근친상간 금기에 속하는 것이 보통이다. 교차사촌끼리의 결혼은 대체로 바람직하게 여겨지며 때에 따라서는 의무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그 반대인 경우도 가끔 있다. 결혼상대로 우선 교차사촌을 꼽는다고는 해도, 실제로 한 사회에서 이런 결혼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런 결정은 가계 계승, 유산 상속, 거주지 규정에 관한 각 지방 관습으로부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교차사촌끼리의 결혼은 그 부모들이 속한 씨족을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일반상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