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예종 명조(明照), 睿宗
    1469.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황(李晄)이다. 자는 명조(明照)이며, 초자(初字)는 평보(平甫)이다. 아버지 세조와 어머니 파평부원군 윤번(尹璠)의 딸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尹氏)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다. 비(妃)는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 장순왕후(章順王后)이며, 계비는 우의정 한백륜(韓伯倫)의...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황운조 黃雲祚, HWANG Un-jo
    이러한 그녀의 삶은 ‘나쁜 여자’의 모습으로 영화 속에 형상화되고 있다. 왜냐하면 그녀로 인해 그녀의 가족이 큰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특히 그녀의 자식인 정희의 외로움과 어려움은 애순의 삶을 모순으로 만들고 만다. 당시 영화로서는 파격적인 설정이 아닐 수 없었다. 황운조는 복잡 미묘한 애순의 심리를 정교...
    출생 :
    1912년
    사망 :
    1972년
    데뷔 :
    1936년 〈미몽〉(촬영)
  • 이휘 맹명, 李煇
    뒤, 윤원형(尹元衡)·정순붕(鄭順朋)·이기(李芑)·임백령(林百齡) 등의 소윤이 을사사화를 일으켰을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은 전 주서 이덕응(李德應)이 이휘·나숙(羅淑)·정희등(鄭希登)·박광우(朴光佑) 등을 끌어들임으로써 이덕응과 더불어 효수되었다. 1565년(명종 20) 죄가 풀리고 복관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545년(명종 즉위년)
    경력 :
    홍문관정자, 경연검토관(經筵檢討官), 수찬, 정언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을사사화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성주(星州)
  • 조선 8대 왕, 예종 황, 睿宗
    조선의 제8대 왕. 이름은 황(晄), 초자는 평보(平甫), 자는 명조(明照)·평남(平南)이다. 세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파평부원군 윤번(尹璠)의 딸 정희왕후(貞熹王后)이다. 비(妃)는 영의정 한명회의 딸 장순왕후이며, 계비는 우의정 한백륜의 딸 안순왕후이다. 일찍이 해양대군(海陽大君)에 봉해졌다가, 1457...
    출생 :
    1450(세종 32)
    사망 :
    1469(예종 1)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재위 :
    1468년∼1469년
    시호 :
    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능묘 :
    창릉(昌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남양주시의 연혁
    1018년 양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후에 포주(지금의 포천)에 속했다. 조선 초기인 1419년(세종 1)에 다시 양주에 합속되었다. 이곳에는 세조와 세조비인 정희왕후의 묘인 광릉이 있다. 또한 능내리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출생지로 그의 묘가 있다. 이곳은 본래 광주군 초부면이었다가 1906년 월경지 정리로 양주군에 편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제안대군 齊安大君
    琄). 자는 국보(國寶). 예종의 둘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韓氏)이다. 4세 때 부왕인 예종이 죽자, 왕위계승의 제1후보자였으나 세조비인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아직 어리고 총명하지 못하다고 반대하여 대신 성종이 예종을 이어 왕위에 즉위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70년(성종 1) 5세의 나이로...
    시대 :
    조선
    출생 :
    1466년(세조 12)
    사망 :
    1525년(중종 20)
    유형 :
    인물
    직업 :
    왕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全州)
  • 이극돈 李克墩
    평안도·강원도·전라도·경상도·영안도 5도의 관찰사와 이조·병조·호조의 판서를 거쳐 의정부 좌찬성·우찬성을 지냈다. 전라도관찰사로 있을 때 세조비 정희왕후(貞憙王后)의 국상중임에도 불구하고 장흥(長興) 기생과 어울린 사실을 김일손(金馹孫)이 사초(史草)에 기록한 일로 그와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출생 :
    1435(세종 17)
    사망 :
    1503(연산군 9)
    국적 :
    조선, 한국
  • 봉선사동종 奉先寺銅鐘
    1469)으로 시작되는 긴 명문이 있다. 강희맹(姜希孟:1424~83)이 글을 짓고 정난종(鄭蘭宗:1433~89)이 글씨를 쓴 이 명문에 의해 봉선사종은 1469년(예종 1)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 봉선사를 세울 때 함께 주조했다는 것과 당시 주조에 참여한 여러 장인들의 이름을 알 수 있다. 명문 밑에 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김정희 필 세한도 완당세한도, 金正喜 筆 歲寒圖
    이루고 있다. 화면에는 오른쪽에 ‘歲寒圖(세한도)’라는 화제(畵題)와 ‘우선은 이에 감상하라. -완당(藕船是賞 阮堂)’이라는 관지(款識)를 쓰고 ‘正喜(정희)’와 ‘阮堂(완당)’이라는 도인(圖印)을 찍어 놓았다. 그림 자체는 단색조의 수묵, 그리고 마른 붓질과 필획의 감각만으로 이루어졌다. 끝으로 긴 화면에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는 수륙재의 기원과 의식, 절차 등에 관한 것을 모은 불교의 의례서이다. 권말에 있는 김수온의 발문을 바탕으로 세조비 정희왕후(1418~1483)가 세조, 예종, 덕종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1470년(성종 1) 왕실 주도로 간행한 판본임을 알 수 있다. 왕실이 주관하여 간행한 수륙재의...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광릉크낙새서식지 천연기념물 제11호
    광릉은 조선 제7대 왕 세조가 묻힌 능이며 나중에 왕비 정희왕후 윤씨도 함께 모셔진 곳이다. 조선 460여 년 간을 두고 엄격한 보호제도하에서 하초(下草)의 채취마저 금지되어왔으므로 숲이 울창하며 크낙새와 같은 대형 딱따구리가 서식할 수 있는 큰 나무가 매우 많다. 현 광릉 시험림은 원래가 능림의 일부였던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창원군 광기(廣器), 昌原君
    이듬해에는 노(奴)를 살해하였다는 죄로 다시 국문을 당하였다. 어려서부터 방탕(放蕩)하였으며, 궁중의 예법을 따르지 않고 재상들을 자주 능욕하였다. 정희왕후(貞熹王后: 세조(世祖)의 비)가 이를 책망하였으나 뉘우치지 못하고 노를 살해하는 등 나라의 법을 어김이 많았다. 아들이 없어 그의 형인 덕원군의 아들 예...
    시대 :
    조선
    출생 :
    1457년(세조 3)
    사망 :
    1484년(성종 15)
    유형 :
    인물
    직업 :
    왕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全州)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저자1건

멀티미디어49건

정희왕후
정희왕후
정희등 필적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 능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 능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 능
남양주 광릉 중 정희왕후릉 혼유석
조선 세조 왕비 정희왕후릉 망주석
조선 세조 왕비 정희왕후릉 장명등
조선 세조 왕비 정희왕후릉 문인석
조선 세조 왕비 정희왕후릉 장명등
조선 세조 왕비 정희왕후릉 무인석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 능 장명등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 능 망주석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 능 무인석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 능 문인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