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릉 헌인릉, 仁陵부릴 시간도 없이 왕좌에 올라야 했다. 그때 나이 11세였다. 순조가 왕위에 올랐을 때 왕실은 그야말로 '여인 천하'였다. 증조할머니 격인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와 할머니인 사도세자의 부인 혜경궁 홍 씨, 친어머니 수빈 박 씨와 어머니 격인 정조의 왕비 효의왕후, 장차 맞이할 왕비까지 4대에 걸친 다섯 여인이 순조...
-
-
윤승렬 사술(士述), 尹承烈榮)의 잔당들과 왕족 이담(李湛)을 숙청할 것을 주장하였다. 1788년(정조 12)에는 강화부유수로 재직 중 방비 소홀로 왕족 죄인 이인(李䄄)이 탈출하자, 정순왕후(貞純王后)로부터 처형하라는 명을 받았고 대신들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정조의 비호로 파직에 그쳤다. 사후 1801년(순조 1) 정순왕후의 명으로 복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2년(경종 2)
- 사망 :
- 미상
- 경력 :
- 세자시강원설서, 홍문관교리, 사헌부집의, 강화부유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해평(海平,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
-
조변록 早辨錄내용 2책. 필사본. 그 내용은 먼저 1805년(순조 5) 5월 행도승지 김이양(金履陽)의 상소문으로, 그 대강은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貞順王后)의 친정인물, 즉 김한록(金漢祿)·김관주(金觀柱)·김구주(金龜柱) 등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죽이는 데 앞장섰던 노론벽파의 모함과 계략을 폭로하고, 그들의 관작추탈(官爵追奪...
- 시대 :
- 조선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순조 연간
- 성격 :
- 등록, 상소문, 비답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책
- 간행/발행 :
- 안동김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
-
건릉 정조와 효의왕후의 능있는 연훈방을 처방했다는 점이다. 특히 붕어 순간에 사관과 승지가 배석하지 않았는데 이는 정상적인 죽음이 아닐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조는 대비 정순왕후가 신하들을 물리고 혼자 약제를 들고 들어간 뒤 갑자기 죽음을 맞았다. 정순왕후는 당시 정조의 죽음을 예견한 듯 군대로 하여금 궁성을 호위하게 했고...
-
김혼 낙랑군(樂浪君), 金琿아버지는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김경손(金慶孫)이다. 숙부 김약선(金若先)의 딸이 원종(元宗)의 왕비이자 충렬왕(忠烈王)의 친모인 정순왕후(靜順王后)였으므로, 그는 정순왕후의 종제(從弟)였다. 수태부(守大傅)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한 김전(金洤)의 딸과 혼인하여 김자흥(金子興)·김자창(金子昌...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이인 李䄄함께 유배시켜 계속 물의를 빚었다. 1789년(정조 13) 강화도에서 탈출했으나 곧 붙잡혀 강화도에 다시 안치되었다. 그 뒤로도 벽파대신(僻派大臣)들과 왕대비 정순왕후(貞純王后)로부터 역모의 화근으로 지목되어 끊임없이 생명의 위협을 받았으나 정조의 비호로 무사하였다. 그러나 정조가 죽고 나이 어린 순조가 즉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순조의 마지막 희망, 효명세자 익종일찍 요절하였다. 명온공주·복온공주·덕온공주 세 딸을 두었으며, 후궁 숙의 박씨와의 사이에 영온옹주가 있었다. 순조는 즉위 직후에는 정순왕후의 눈치를 보았으며, 정순왕후 사후에는 장인 안동 김씨 김조순과 그 세력들에 둘러싸여 힘겨운 정치적 역정을 보내왔다. 이런 와중에서 순조는 전국적으로 암행어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