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심훈 실천적 문학인심훈과 달리 그의 형 심우섭은 한때 중앙방송국 국장을 지내고 1910년대 이후에는 오랫동안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기자로 있던 친일파다. 이광수의 단편 「재생」의 모델이기도 한 심우섭은 심천풍이라는 필명으로 『매일신보』에 「형제」와 「산중화」 등 신파 소설을 발표한 적도 있다. 워낙 성품이 강직...
- 출생 :
- 1901년
- 사망 :
- 1936년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문인들의 자아 비판을 주재하며 학처럼 고고하게 지내던 사람의 입에서 나온 것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경솔함이 느껴진다. 하기야 일제 말기에 극단적 친일 행적을 남긴 이광수조차 “조선 민족의 행복을 위해서” 친일은 불가피했다고 변명한 것에 비하면 이태준은 더 큰소리를 칠 수 있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광수보다는 깨끗해도...
- 시기 :
- 1945년
-
조선문인협회 朝鮮文人協會설립목적 1939년 10월 29일 경성 부민관(府民館)에서 250여명의 문인이 모여 결성한 총독부 어용문인단체이다. 발기인은 이광수(李光洙)·김동환(金東煥)·김억(金億)·정인섭(鄭寅燮)·유진오(兪鎭午)·이태준(李泰俊)·사토(佐藤淸) 등이었다. 창립총회에서 회장으로 이광수, 간사로 박영희(朴英熙)·이기영(李箕永...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9년 10월 29일
- 성격 :
- 문화단체, 친일문화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3년 4월
- 설립자 :
- 이광수, 김동환, 김억 외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김용진 金龍鎭, Kim Yong-jin활동을 펼쳐나갔다. 김용진은 김수용 감독을 만나면서 시나리오 작가로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그는 김수용 감독의 <유정>(1966)에서 각본을 맡았다. <유정>은 이광수의 소설 「유정」을 영화화한 것으로, 김수용의 첫 컬러영화이기도 했다. 영화는 ‘최석’이 죽은 친구의 딸인 ‘정임’을 보살펴주다가 그녀와...
- 출생 :
- 1928년 평안도 안주군
- 사망 :
- 2008년
- 수상 :
- 제 17회 대종상에서 각본상을 수상
- 데뷔 :
- 1965년 <무관의 제왕 장보고>의 시나리오
-
임시사료편찬회 사료조사편찬회, 臨時史料編纂會安昌浩)를 중심으로 총재 1명, 간사 1명, 주임 1명, 위원 8명, 조역 22명의 임시사료편찬회(臨時史料編纂會)가 정식 설치되었다. 총재는 안창호, 주임은 이광수(李光洙), 간사는 김홍서(金弘敍), 위원은 김병조 · 이원익(李元益) · 장붕(張鵬) · 김한(金翰) · 김두봉(金枓奉) · 박현환(朴賢煥) · 김여제(金與濟...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형법 각칙, 사자에 대한 명예 훼손 친일파는 물러가라사례 춘원 이광수, 그의 문학적 업적은 얼마나 화려한가? 그러나 잘 아는 대로 그는 말년에 친일(親日)의 길을 걸음으로써 많은 사람들을 실망시켰다. 이렇게 가정해보자. 최근 춘원의 문학이 재조명되고 그의 작품이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자 독립운동가의 후손인 김항일 씨는 그만 화가 날 대로 났다. 어느 날 세종...
-
이차돈의 사 異次頓의 死작품 연재의 전후 맥락 이광수는 「이차돈의 사」를 연재하기 전 『동아일보』에서 『조선일보』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가 어떤 이유로 조선일보사로 옮겼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상해 임정의 활동을 접고 조선에 돌아와 귀순과 변절로 비난받던 시절 그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던 『동아일보...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