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춘원연구 春園硏究
    문화사에서 단행본으로 펴냈다. 국판 213쪽으로 책머리에 전영택과 백철의 서문이 있고 책끝에 정비석의 발문이 실려 있다. 본문은 총15장으로 나누어 춘원 이광수의 생애와 문학세계에 대한 글이 실려 있다. 이광수의 〈무정〉은 인물의 성격이 일치하지 않고 구조가 어긋나 있으나 사실적 묘사와 구어체 문장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심훈 실천적 문학인
    심훈과 달리 그의 형 심우섭은 한때 중앙방송국 국장을 지내고 1910년대 이후에는 오랫동안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기자로 있던 친일파다. 이광수의 단편 「재생」의 모델이기도 한 심우섭은 심천풍이라는 필명으로 『매일신보』에 「형제」와 「산중화」 등 신파 소설을 발표한 적도 있다. 워낙 성품이 강직...
    출생 :
    1901년
    사망 :
    1936년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문인들의 자아 비판
    을 주재하며 학처럼 고고하게 지내던 사람의 입에서 나온 것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경솔함이 느껴진다. 하기야 일제 말기에 극단적 친일 행적을 남긴 이광수조차 “조선 민족의 행복을 위해서” 친일은 불가피했다고 변명한 것에 비하면 이태준은 더 큰소리를 칠 수 있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광수보다는 깨끗해도...
    시기 :
    1945년
  • 조선문인협회 朝鮮文人協會
    설립목적 1939년 10월 29일 경성 부민관(府民館)에서 250여명의 문인이 모여 결성한 총독부 어용문인단체이다. 발기인은 이광수(李光洙)·김동환(金東煥)·김억(金億)·정인섭(鄭寅燮)·유진오(兪鎭午)·이태준(李泰俊)·사토(佐藤淸) 등이었다. 창립총회에서 회장으로 이광수, 간사로 박영희(朴英熙)·이기영(李箕永...
    시대 :
    근대
    설립 :
    1939년 10월 29일
    성격 :
    문화단체, 친일문화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43년 4월
    설립자 :
    이광수, 김동환, 김억 외
    분야 :
    문학/현대문학
  • 김용진 金龍鎭, Kim Yong-jin
    활동을 펼쳐나갔다. 김용진은 김수용 감독을 만나면서 시나리오 작가로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그는 김수용 감독의 <유정>(1966)에서 각본을 맡았다. <유정>은 이광수의 소설 「유정」을 영화화한 것으로, 김수용의 첫 컬러영화이기도 했다. 영화는 ‘최석’이 죽은 친구의 딸인 ‘정임’을 보살펴주다가 그녀와...
    출생 :
    1928년 평안도 안주군
    사망 :
    2008년
    수상 :
    제 17회 대종상에서 각본상을 수상
    데뷔 :
    1965년 <무관의 제왕 장보고>의 시나리오
  • 학지광 學之光
    29호로 폐간되었다. 일본 도쿄[東京] 조선유학생 학우회의 기관지로 창간되었으며, 편집 겸 발행인은 최팔용·신익희·최원순 등으로 바뀌었다. 집필자로는 이광수·현상윤·김억·최승구 등이 참여했다. 이 잡지에 실린 논설은 대부분 망국의 울분을 토로하고 국민의 분발을 촉구하는 것인 데 반해 문학작품은 개인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임시사료편찬회 사료조사편찬회, 臨時史料編纂會
    安昌浩)를 중심으로 총재 1명, 간사 1명, 주임 1명, 위원 8명, 조역 22명의 임시사료편찬회(臨時史料編纂會)가 정식 설치되었다. 총재는 안창호, 주임은 이광수(李光洙), 간사는 김홍서(金弘敍), 위원은 김병조 · 이원익(李元益) · 장붕(張鵬) · 김한(金翰) · 김두봉(金枓奉) · 박현환(朴賢煥) · 김여제(金與濟...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사실주의 문학 寫實主義 文學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냈다. 신소설의 통속화가 급속히 진행되자 초기 신소설의 진보적 전통을 새로이 계승하려는 노력이 이광수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은 인물의 개성적 성격화, 언문일치제의 수립, 구성의 치밀성, 관념성 극복 등에 있어 신소설보다 한 걸음 나아간 문학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형법 각칙, 사자에 대한 명예 훼손 친일파는 물러가라
    사례 춘원 이광수, 그의 문학적 업적은 얼마나 화려한가? 그러나 잘 아는 대로 그는 말년에 친일(親日)의 길을 걸음으로써 많은 사람들을 실망시켰다. 이렇게 가정해보자. 최근 춘원의 문학이 재조명되고 그의 작품이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자 독립운동가의 후손인 김항일 씨는 그만 화가 날 대로 났다. 어느 날 세종...
  • 조선학회 朝鮮學會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학생 이광수·신익희 외 7명과 메이지대학[明治大學] 학생 김양수·장덕수·최두선 등이 발기하여 조직했다. 표면적으로는 학술연구를 표방했으나, 일종의 비밀결사조직이었다. 1916년 1월 29일 도쿄[東京] 기독교청년회(YMCA)회관에서 제1차 총회를 개최, 회의 규칙을 제정하여 간부를 선출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이차돈의 사 異次頓의 死
    작품 연재의 전후 맥락 이광수는 「이차돈의 사」를 연재하기 전 『동아일보』에서 『조선일보』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가 어떤 이유로 조선일보사로 옮겼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상해 임정의 활동을 접고 조선에 돌아와 귀순과 변절로 비난받던 시절 그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던 『동아일보...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박화성 박경순, 朴花城
    협회 이사, 1963년 국제 펜클럽 한국본부 중앙위원, 1965년 한국여류문학인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1924년 〈학생계〉에 시 〈백합화〉를 발표하고, 이듬해이광수의 추천을 받아 〈조선문단〉에 단편 〈추석전야〉가 발표되어 문단에 나왔다. 그뒤 잠시 작품활동을 멈추었다가 다시 이광수의 추천으로 〈하수도공사...
    출생 :
    1904. 4. 16, 전남 목포
    사망 :
    1988. 1. 30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4건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무정 / 이광수
흙 / 이광수
이광수의 무명
마의태자 / 이광수
춘원 이광수 기념비
1964년에 삼중당에서 나온 〈이광수 전집〉
1933년 〈삼천리〉 3월호에 실린 이광수의 만화상
1922년 장편소설 〈개척자〉를 집필하던 시절의 이광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