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함양마천면마애불입상 咸陽馬川面磨崖佛立像옷깃이 한 번 접혀서 둥글게 늘어진 다음 양 어깨 뒤로 넘겨져 있다. 또한 가슴 위로는 여러 개의 둥근 주름이 자연스럽게 내려오다가 허리 밑에서부터 양다리로 갈라져 다시 여러 겹의 반원형 주름이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발목 위로 늘어졌으며 그 끝부분은 약간 도드라지게 조각되었다. 이러한 옷주름 표현은 서역에서...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金銅 彌勒菩薩 半跏思惟像뒤로 돌려지며, 등 뒤에서는 조그만 꽃 장식을 중심으로 교차된다. 허리에는 상의(裳衣: 치마)를 입고 있다. 불신에는 주름이 거의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양다리 밑에는 몇 줄의 가로 주름이 있다. 그 밑으로는 여러 개의 세로 주름이 Ω자형으로 접혀서 앉아 있는 의자의 앞뒷면을 전부 덮고 있다. 주름의 모습은 단순...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경주 구황동 금제 여래 좌상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 慶州 九黃洞 金製 如來 坐像표현이 뚜렷하다. 옷은 양어깨를 덮은 통견(通肩) 형식으로 앞가슴을 많이 드러내고 그 속에 대각선으로 걸쳐 입은 내의가 보인다. 결가부좌(結跏趺坐)를 한 양다리 위로 법의의 주름이 덮여 있어 신체의 윤곽이 잘 보이지는 않으나, 양무릎의 둥근 부분은 팽팽한 옷주름으로 강조되어 양감을 잘 나타내고 있다. 대좌 위...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양발 교차 올리기 짐볼 운동운동 영상 운동 순서 동작 1 짐볼을 배 밑에 놓고 균형을 잡는다. 동작 2 양다리를 곧게 뻗어 올려 몸을 직선으로 만든 후 양발을 교차하여 위아래로 움직인다. [Tip] 허리가 과도하게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운동유형 :
- 짐볼 운동
- 운동효과 :
- 협응성 향상
- 운동부위 :
- 하체 - 척추세움근, 큰볼기근
- 운동단계 :
- 3단계(청소년체력 단계별 운동 가이드라인)
-
선운사 영산전 목조 삼존불상 禪雲寺 靈山殿 木造 三尊佛像아래로 여며 넣은 소맷자락도 평면적이다. 장지와 약지를 어색하게 구부린 양손은 손목이 짧고 지나치게 작아 신체와 부조화를 이룬다. 가부좌(跏趺坐)한 양다리는 추상적인 물결형의 옷주름에 쌓여 전혀 굴곡이 드러나지 않는다. 획일적인 얼굴 형태와 딱딱한 표정, 몸의 굴곡이 무시된 방형의 둔중한 신체, 직선적인...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뚜럼놀이 두루미놀이개설 겨울철이 되면 제주도의 아이들이 방안에서 바지 한쪽에 양다리를 넣고 나머지 바지 한쪽에는 팔과 머리를 집어넣은 다음 양편으로 갈라 서로 쓰러뜨리는 놀이이다. 놀이방법 뚜럼놀이는 바짓가랑이에 온몸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조금씩 움직여 나가면서 상대방을 쓰러뜨리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때 쌍방은...
- 시대 :
- 현대
- 성격 :
- 어린이놀이
- 유형 :
- 놀이
- 놀이시기 :
- 겨울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소장/전승 :
- 제주특별자치도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종아리 사이 감아 돌리기 메디신볼 운동운동 영상 운동 순서 동작 1 누운 자세로 다리와 머리를 들고 메디신 볼을 잡는다. 동작 2 양다리를 번갈아 들면서 그사이로 메디신 볼을 돌린다. [Tip] 배곧은근에 힘을 주며 실시한다.
- 운동유형 :
- 메디신볼 운동
- 운동효과 :
- 협응성 향상
- 운동부위 :
- 전신 - 배곧은근, 위팔두갈래근, 손목굽힘근
- 운동단계 :
- 4~5단계(청소년체력 단계별 운동 가이드라인)
-
섹터 도구갈릴레오는 100개 이상을 만들어 판매하기도 했어요. 갈릴레오의 섹터는 컴퍼스(compass)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섹터의 양쪽에 표시되어 있는 선과 양다리에 표시되어있는 숫자들을 이용하여 계산을 하고 그 값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었어요. 영국의 섹터는 주로 항해에 관련된 계산을 위해 사용되었고 중부...
- 연대 :
- 1606년
- 유형 :
- 수동식 계산기
-
갑사 석조 보살 입상 甲寺 石造 菩薩 立像유려한 인체의 굴곡을 보여 준다. 복부 아래로는 양쪽으로 갈라진 U자형의 옷주름이 발끝까지 길게 늘어지고 있다. 하반신에 걸친 치마는 대퇴부를 지나 양다리 위에서 정돈되는 몇 줄의 수직선으로 주름진 옷주름 선을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오른손은 몸 앞에서 들어 올리고 있으며, 확실치 않으나 무언가 지물(持物)을...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금동 보살 입상 金銅 菩薩 立像장식을 중심으로 교차되었다. 상의 전체 비례로 보아 너무 밑으로 내려온 듯싶다. 상의(裳衣)의 앞부분은 두 손에 가리워서 허리선이 잘 보이지 않는다. 양다리 위로 주름이 없이 밋밋하게 내려오며 몸 뒤의 허리 부분에서는 두 줄의 선으로 뚜렷이 표시되어 있다. 원형의 큼직한 대좌는 부식이 심하여 그 질감이 불신...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안성 봉업사지 석조 여래 입상 安城 奉業寺址 石造 如來 立像있다. 이러한 특징은 인도 굽타 양식(Gupta 양식: 간다라 양식을 인도화한 불상 조각 수법이 특징)을 계승한 것이다. 옷주름 역시 유려한 Ω자형 주름이 양다리를 걸쳐 흘러내리고 가슴의 옷깃이 반전하는 등 우드야나식[Udyāna 식 또는 우전왕상식(優塡王像式): 옷주름 양식의 하나]을 나타내고 있다. 가슴은 U자형...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