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주시의 식재
    산삼주 계룡산 인근의 청정지역에서 재배한 산양산삼을 이용하여 만든 산삼주는 전국 전통주류품평회에 출품한 바 있다. ㆍ생산시기 : 연중 알밤 가공식품 알밤가공식품(알밤과자, 알밤초콜릿, 알밤단자, 알밤미숫가루)은 소화성이 매우 좋아서 어린이 간식, 노인 보양식으로 이용 가능하며 방부제나 첨가물을 사용하지...
  • 장수군의 식재
    보조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ㆍ생산시기 : 연중 김치 고랭지에서 직접 재배 생산한 품질이 좋은 배추, 고추 등을 사용해 담근다. ㆍ생산시기 : 연중 꿀 해발 300~350미터의 청정지역에서 채밀한 순수한 벌꿀로 한방재를 연중 급여해 꿀의 향기가 짙고 고유의 색상과 점조성이 탁월하다. 최신 설비를 통한 공동 소분으로...
  • 빙초산 氷酢酸, Glacial Acetic Acid
    어는점이 14.5℃ 이상으로 상온에서 얼 수 있어 빙초산(氷醋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초산은 식초의 주성분인 아세트산(에탄산)을 말한다.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첨가물 규격 기준에서는 초산(아세트산) 99.0% 이상을 함유한 것을 빙초산으로 규정한다. 일반적인 식초는 3~6% 정도 초산(아세트산)을 포함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식재료
  • 프탈레이트 CxHyO 4, Phthalates
    200 ㎍/kg 체중/day * 인체노출안전기준 : 유해물질이 인체에 노출되어도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체중 당 노출허용수준으로, JECFA(식품첨가물전문가 위원회) 등에서 평가한 급성독성참고치 (ARfD), 일일섭취허용량(ADI), 일일섭취한계량(TDI) 등의 인체안전기준치 * 일일섭취한계량(TDI) : 평생...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감미료, 사카린은 정말 유해할까?
    의약청은 2011년 12월 20일 소스 종류, 탁주, 소주, 껌, 잼, 양조간장, 토마토케첩, 조제커피(커피믹스) 등 8개 품목에 대해 사카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안)’을 행정 예고 한 바 있다. 다만 과자, 사탕, 빙과, 빵, 아이스크림 등 어린이 기호식품은 여전히 묶어 놓았다. 사카린을...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음식 , 식재료
  • 1일 섭취 허용량의 과학적 기준은?
    을 가리킨다. 보통 mg/kg이나 ppm(parts per million)이란 단위로 표시한다. 1961년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개최한 ‘국제 식품첨가물 세미나’에서 1일 섭취 허용량을 처음 채택했다. 당시 세미나에 참석했던 전문가들은 물질에 따라 ‘독성학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일으키지 않은 양’을...
    도서 과학향기 | 태그 화학 , 과학 일반 , 생물
  • MSG는 억울해, 너무 맛있어서 문제인 감칠맛
    꽤 설득력 있게 들렸다. 그러나 뇌는 강력한 보호장벽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 먹은 글루탐산이 직접 뇌로 들어가지 않는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식품첨가물의 일종인 MSG의 사용량을 규제하지 않는다는 점만 봐도 일상생활에서 먹는 양으로는 우리 몸에 해가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MSG에 중독되지...
  • 유화액 Emulsion, エマルション
    찾아볼 수 있다. 에스프레소의 거품 - 커피 기름이 물안에 들어간 경우로 불안정한 유화액이다. 마요네즈와 올랑데즈 소스 - 달걀 노른자 렉틴나 기타 식품첨가물에 의해 안정화된 경우. 우유 - 유지방이 물 안에 유화된 경우. 비네그레트 - 식초와 식물 기름간 유화액.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기에 불안정한 유화액이다...
    도서 위키백과
  • 계피 육계(肉桂), 桂皮
    계피를 활용한다. 계피의 약효성분 계피의 정유 성분은 시남알데히드(cinnamaldehyde)가 주성분이다. 이 성분은 혈액순환 개선, 항암,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식품첨가물이나 향료로도 쓰인다. 동의보감 효능 육계(肉桂, 계피)는 신(腎)을 잘 보하므로 오장이나 하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약[下焦藥]으로 쓴다. 수족...
    분류 :
    녹나무과(Lauraceae)
    학명 :
    Cinnamomum cassia Presl(식물명: 육계나무)
    본초명 :
    육계(肉桂)
    종류 :
    천연 향신료
    활용부위 :
    줄기껍질
    외국어명 :
    cinnamon bark〈영어〉
  • 아스파탐 aspartame
    아스파탐은 1965년 미국 화학자 제임스 슐레터가 발견한 흰색, 무취의 인공감미료다. 1974년 미국, 1983년 일본, 1985년 한국에서 식품첨가물로 지정됐다. 200여 개국에서 식품첨가물로 사용하고 있다. 설탕보다 200배 달아 소량으로도 충분히 단맛을 낼 수 있고, 당분이 없어 ‘무설탕’, ‘다이어트’ 식품 및 음료에...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음식
  • 보존료 保存料, preservative
    때 사용하는데 햄, 베이컨, 런천 미트에 독특한 붉은색을 낸다. 이같은 특정 첨가물의 사용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현대의 위생설비와 냉동시설로 인해 화학첨가물...사용하는 노화지연제(예를 들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는 전분의 수분 손실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식품저장방법에 대해서는 '식품저장' 항목 참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타마린드 tamarind, tamarinier〈프랑스어〉
    씨 때문에 조금 성가신 점도 있지만, 씨까지 볶아서 먹는 현지인들의 모습을 보면 버릴 것이 없는 다목적 열대과일이라 하겠다. 타마린드는 요리의 산미료나 식품첨가물에도 이용하며 시럽, 청량 음료수로 가공하는 등 이용 범위가 넓다. 한방 효능 열매의 성미(性味)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서늘하다. 열매의 효능...
    분류 :
    콩과-실거리나무아과(Fabaceae-Caesalpinioideae)
    원산지 :
    열대 아프리카
    학명 :
    Tamarindus indica L.이명 : Tamarindus occidentalis, Tamarindus officinale
    활용부위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
    외국어명 :
    indian date〈영어〉, tamarindo〈스페인어〉, sampalok〈필리핀어〉, makham(마캄)〈타이어〉, asam〈인도네시아어〉, asam〈말레이어〉, タマリンド(타마린도)〈일본어〉
    참고 :
    과명 해설 : 과의 범위는 가장 최근의 APG(피자식물 계통연구 그룹) 시스템을 기준으로 채택하여 콩과는 Fabaceae로 채택하고 있으나 기존의 Leguminosae도 사용 가능하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식품첨가물 섭취수준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식품첨가물 1일 섭취허용량 설정단계
감미료(Sugar substitut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