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제적 안정의 추구나타났다. 특히 소련과의 또 다른 무기 제한 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노력에 커다란 진전이 이루어진 것처럼 보였다. 포드는 1974년 말에 시베리아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브레즈네프를 만나 SALTⅡ 협정의 토대가 될 만한 협정을 체결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여름,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열린 유럽안보회의에서도 화해 무드...
-
김경천 김광서, 金擎天니콜스크를 향해 출발하여 가는 도중, 신팔균은 지린(吉林)에 남고, 몇몇 동지와 함께 창춘(長春)과 하얼빈을 거처 니콜스크에 도착하였다. 1920년 들어 블라디보스토크를 왕래하며 이용(李鏞) ・ 김하석(金河錫) ・ 유동열(柳東說) ・ 정재관(鄭在寬) 등 여러 독립운동가와 의견을 교환하며 한인 무장대를 편성하는...
- 출생 :
- 1888년 6월 5일, 함남 북청(北靑)
- 사망 :
- 1942년 1월
- 본관 :
- 김해(金海)
- 주요활동 :
- 1910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1915년 일본 기병 중위, 1919년 신흥무관학교 참여, 1920년 이후 솔밭관 고려혁명군 활동, 창해청년단 총사령관, 1921년 수청 고려의병대 총사령관, 1922년 고려혁명군 동부사령부 책임자, 1924년 고려구락부 조직
- 포상훈격 :
- 1998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흥무관학교, 창해청년단, 솔밭관 고려혁명군, 수청고려의병대, 고려혁명군
-
강진 강(姜)나후렌치, 姜進중 러시아공산청년동맹(콤소몰)에 가입, 니콜리스크 · 우스리스크 제1중학교 야체이카에 배속되어 공산주의에 대한 교양과 훈련을 받았다. 1924년 가을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러시아 국립 원동대학(遠東大學) 공과(工科) 1학년에 입학했으나, 11월 학자금이 부족해 학교를 그만둔 후 야학 교사 등을 하면서 계속 면학...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정재달 전우, 鄭在達의해 결성된 코르뷰로에 참여하였다. 그 해 5월 코르뷰로에 의해 국내로 파견되어, 6월 동경을 거쳐 서울에 들어와 코르뷰로 국내지부를 점검, 지원하면서 블라디보스토크의 코르뷰로에 상황을 보고하였다. 9월 일부 공산주의 그룹의 반대에 직면해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갔다. 같은 해 12월 코르뷰로 위원이던 이성...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5년(고종 32)
- 사망 :
- 미상
- 경력 :
- 고려공산청년회 중앙총국 위원,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후보위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이용화 백원(白園), 李容華생애 및 활동사항 일명 중실(仲實). 호는 백원(白園). 1910년 소련의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재미한국인들이 발간하는 『국민보』·『신한일보(新韓日報)』·『한민보』 등의 총지국을 경영하면서, 각 지역 동포들의 통신연락업무를 맡아 활약하였다. 1912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갑(李甲) 등과 함께 항일운동 및...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0년(고종 27)
- 사망 :
- 미상
- 경력 :
- 건국포장, 애국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공명단사건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대동공보 大東共報편찬/발간 경위 1908년 6월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교포단체인 한국국민회(韓國國民會)의 기관지로 창간되었다. 내용 그 곳에서 발행되던 ≪해조신문 海朝新聞≫이 운영난으로 폐간된 뒤 바로 나왔다. 사장에 차석보(車錫甫), 편집인에 유진율(兪鎭律), 주필에 윤필봉(尹弼鳳)이 참여하고, 발행인의 명의를 러시아...
- 시대 :
- 근대
- 창작/발표시기 :
- 1908년 6월(창간), 1910년 9월 10일(종간)
- 성격 :
- 신문, 교민단체신문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한형권 韓馨權개설 함경북도 경흥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1년 노령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상설(李相卨)·김학만(金學萬)·정재관(鄭在寬) 등과 권업회(勸業會)를 창설하는 데 참여하였다. 신문부 총무를 역임하였다. 1918년 5월 하바로프스크에서 조직된 한인사회당에서 당수인 이동휘(李東輝)의 막료로, 또 박진순(朴鎭淳)과...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권업회 부회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대한광복군정부 결성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한광복군정부가 결성됐다. 대한광복군정부는 이상설(헤이그 밀사 사건과 고종의 퇴위 참조)이 대통령, 이동휘가 부통령을 맡은 망명정부였다. 대한광복군정부의 주축을 이룬 건 1911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결성된 독립운동 단체인 권업회였다. 대한광복군정부는 중국, 러시아...
- 시대 :
- 1914년
- 국가/대륙 :
- 한국
-
김형재 金衡在생애 및 활동사항 1909년 만주 하얼빈에서 동지들과 함께 동흥학교(東興學校)를 설립하고 교원이 되어 학생들에게 민족정신을 고취시켰다.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행되는 항일민족지 대동공보(大東共報)의 하얼빈지국장으로 하얼빈주재 통신탐방원(通信探訪員: 기자)활동을 하면서 신문보급업무를 담당하였다...
- 시대 :
- 근대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대표작 :
- 동흥학교 교원, 대동공보 하얼빈지국장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