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임국정

다른 표기 언어 林國貞
요약 테이블
출생 1894. 3. 25, 함남 함흥
사망 1921. 8. 25
국적 한국

요약 독립운동가.

1919년 3·1운동 후 북간도로 건너가 윤준희(尹俊熙)·한상호·최이붕(崔以鵬) 등과 더불어 무장 독립운동단체인 철혈광복단을 조직, 무장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철혈광복단이 당시 남만주에 본거를 두고 있던 북로군정서에 가입하자 북로군정서의 특파원으로 윤준희·한상호·최이붕 등과 함께 김하석(金河錫)의 제안으로 조선은행 회령지점에서 용정출장소로 송금하는 현금을 습격, 탈취하여 군자금에 충당하기로 계획했다.

조선은행 회령지점 은행원 전홍섭(全弘燮)으로부터 1920년 1월 4~5일경 현금 15만 원을 용정으로 송금할 예정이라는 연락이 오자, 윤준희·최이붕·한상호와 함께 매복했다가 현금호송차를 습격해 탈취했다. 김하석과 함께 1월 9일 탈취한 현금을 가지고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으로 들어가서 체코슬로바키아제 무기를 다량으로 구입해 북로군정서에 전달했다. 한편 서성권(徐成權)을 회장으로 하는 간도청년회단의 운동부장으로, 강백규(姜白奎)·이광(李光) 등과 함께 활동하기도 했다.

1920년 12월 일제 밀정으로 암약하던 엄인섭의 밀고로 한준희·한상호 등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일본헌병에 체포되어, 경성복심법원에서 사형언도를 받고, 서대문감옥에서 순국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임국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