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승길

다른 표기 언어 朴昇吉 동의어 철마, 鐵馬, 박덕수, 朴德洙, 박재근, 朴材根, 덕수, 재근, 材根
요약 테이블
출생 1893. 2. 2, 함북 온성
사망 1960. 8. 18
국적 한국

요약 독립운동가.

호는 철마(鐵馬). 일명 덕수·재근(材根). 1919년 3월 북간도 왕청현(汪淸縣) 백장구(百長溝)로 망명하여 재만동포 수천 명을 동원해 독립 만세시위를 주도했다. 4월 한광택·최상진(崔相鎭) 등 기독교인들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직한 신민단(新民團)의 왕청현 지부결성에 참여하여 석현지부 군사령관에 임명되어 독립군 500여 명을 양성했다. 북로군정서 조직시 재간도 신민당 대표로 참여했으며, 만주와 함북지방에서 모연대(募捐隊)를 조직하여 모금한 군자금 3,500원으로 노령으로 가서 권총 20정, 보병총 30정, 탄환 및 군도 등을 구입해 독립군을 무장시켰다.

12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소련군 린쉬비크파 군사령관 셉첸크와 밀약하여 무상으로 소총 500정, 탄환 10만발 등을 들여와 신민단군을 무장시켰다. 1920년 3월경 홍범도와 더불어 봉오동전투에 참전하던 중 부하 20명을 인솔하고 매복하고 있다가 일본군 제19사단 소속 야스가와[安川] 부대를 공격하여 일병 300여 명을 전멸시키고 귀대했다. 이해 명월구 이청림(二靑林)에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 간부 양성에 힘썼다.

같은 해 10월 상해임시정부에서 파견된 안정근(安定根)의 권고를 받아들여 북간도 일대의 독립군 단체를 통합해 북로사령부(北路司令部)를 설립했는데, 그는 김창순(金昌順)과 함께 대한신민단(大韓新民團) 대표로 참석해 활약했다. 그러나 일제의 시베리아 출병으로 만주에서의 대규모 독립전쟁이 어려운 상황을 맞게 되자, 1922년 코르시카로 망명하여 한인교민들의 교육에 진력했다. 1935년 일본자작농토벌대의 선두에섰다가 체포되었으나 탈옥하여 다시 항일 투쟁을 계속했다.

1968년 대통령표창이, 1977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박승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