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백 和白
    에 관한 업무가 복잡해지기 시작하던 때였다. 다만 정사당 혹은 남당이 제도적 완성을 본 것은 신라가 진한 지역의 10여 개 소국들을 완전히 정복한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356∼402) 때쯤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지금까지 화백회의에 대한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진 문제는 화백회의의 어의(語義)나 기원(起源), 화백...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귀족회의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 초기
    폐지일 :
    신라 말
    분야 :
    역사/고대사
  • 제왕연대력 帝王年代曆
    비판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논왈, 신라왕으로서 거서간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차차웅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이사금이라 칭한 이가 열여섯 사람, 마립간이라 칭한 이가 네 사람이었다. 신라말의 이름난 유학자 최치원이 지은 『제왕연대력』에서는 모두를 아무 왕이라 칭하고 거서간 등의 칭호는 쓰지 않았다. 이...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대사
  • 삼국의 발전
    는 이때가 2세기 초반 무렵이었다고 전하나 그대로 믿기 어렵고, 대략 100~200년 정도 아래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4세기말 무렵 내물마립간 때에 왕권을 강화했고, 왕의 칭호도 대수장을 의미하는 마립간으로 바꾸었다. 이때 남쪽 지방에 왜가 쳐들어 오자, 신라는 고구려 광개토왕의 도움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제2기 신라고분
    때 고구려 돌무지무덤과의 관계도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돌무지덧널무덤의 등장은 원삼국시대 덧널무덤의 전통과 고구려 돌무지무덤의 영향 아래 신라의 마립간시대 왕권을 반영하는 고총고분(高塚古墳)의 축조가 맞물려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돌무지덧널무덤이 축조된 시기는 신라가 내부적으로 국가형태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삼년산성 오항산석성(烏項山石城), 三年山城
    건립경위 『삼국사기』 신라본기 자비마립간 13년(470년)조에 따르면, “삼년산성을 쌓았다. 삼 년이라 한 것은 공사를 시작한 지 3년 만에 완공하였기 때문에 이름을 그렇게 붙인 것이다”라는 내용이 전해진다. 또한 소지마립간 8년(486년)에는 “이찬 실죽(實竹)을 장군으로 삼고 일선군(一善郡) 지역의 장정 3천 명...
    시대 :
    고대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미사흔 未斯欣, 未斯欣
    미사흔(未斯欣, ? ~433년), 또는 미사흠, 미해는 신라 초기의 왕족이자 내물 이사금의 3남으로, 눌지 마립간의 동생이다. 402년 음력 3월 실성 이사금과 왜가 우호를 맺으며 왜에 볼모로 보내졌다가, 실성 이사금이 죽고 눌지 마립간이 즉위한 뒤인 418년(눌지 2년)에 박제상의 도움으로 신라로 돌아왔다. 신라에 돌아온...
    도서 위키백과
  • 종성이 탈락한 음전(音轉)이 축약되었다는 것이 통설이다. 내용 부여, 고구려 사회의 대부족장인 대가(大加)에 해당하는 왕을 신라에서는 거서간(居西干), 마립간(麻立干)이라고 하였고, 관명에도 제1관등인 이벌찬(伊伐飡)을 서발한(徐發翰) 또는 각간(角干)으로 표시하는 것 등을 볼 때 가(加), 간(干), 찬(飡), 한(翰...
    시대 :
    고대/초기국가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벽화부인 碧花夫人
    벽화부인(碧花夫人, 484년~ ?)은 신라의 21대 왕 소지 마립간의 부인이다.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23대 법흥왕의 후궁이 되기도 한다. 벽화부인은 신라 날이군(捺已郡) 출신으로 484년에 태어났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아버지는 파로(波路)이며, 《화랑세기》에는 어머니가 소지 마립간의 후비인 벽아부인...
    도서 위키백과
  • 시조묘 조묘(祖廟), 始祖廟
    穀靈神)의 성격을 띠었다. 남해차차웅 이후 시조묘에 대한 제사는 즉위 의례로서 이사금(尼師今) 시기까지 거의 모든 역대 왕에 의해 유지되었다. 한편 마립간(麻立干) 시기에 김씨(金氏)에 의한 왕위 독점이 확립되고 중앙 집권 체제가 정비되기 시작하면서, 국왕의 성격과 더불어 시조묘 제사의 내용에도 변화가...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고대사
  • 추봉 추존(追尊), 追封
    김씨족(金氏族)의 장(長)이 갈문왕에 책봉되었다. 뒤에 석씨(昔氏)와 김씨가 왕위에 올라 형제상속이 행해지면서 왕의 아버지가 갈문왕에 책봉되었다. 내물마립간 이후 김씨의 세습왕권이 확립되고 차차 왕위의 부자상속이 이루어지게 되면, 왕위계승권자의 지위에서 밀려난 왕의 동생이 갈문왕으로 책봉되는 것이 지배...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법제, 추존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거칠부 김황종, 居柒夫
    고구려 공격에 큰 공을 세웠으며, 〈국사 國史〉를 편찬했다. 황종(荒宗)·거칠부지(居七夫智/居柒夫智)라고도 한다. 내물마립간의 5대손이며, 아버지는 이찬 물력(勿力)이다. 물력은 소지왕의 장인으로 486년(소지왕 8) 2월 이벌찬으로 국정을 총괄하기도 했다. 거칠부는 어려서부터 큰 뜻을 품고 승려가 되어 전국을...
    출생 :
    미상
    사망 :
    579(진지왕 4)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사다함 斯多含
    진골 출신으로 내물마립간의 7세손이며, 아버지는 급찬 구리지이다. 〈삼국사기〉에 보면 생김새가 깨끗하고 뜻이 곧아 사람들이 화랑으로 추대했다고 한다. 신라에 기울어 있던 대가야가 백제와 가까워지자 562년(진흥왕 23) 왕은 이찬 이사부로 하여금 정벌을 명령했다. 이때 사다함이 15~16세의 나이로 종군하기를 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경주 내물왕릉 (慶州 奈勿王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