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양군
    왕족 정보 해양군 이희(海陽君 李僖, 1620년 ~ 1682년)는 조선의 왕족이다. 1625년 당시 6세의 나이로 명선도정(明善都正)에 책봉되었다가 1633년 수덕군(綏德君)으로 개봉되고, 2년 후 1635년 해양군(海陽君)에 재개봉되었다. 1668년 흥안군 이제의 양자로 출계하였으며, 1682년에 향년 63세로 별세하였다.
    도서 위키백과
  • 현미 unpolished rice
    개요 쌀겨층과 배아가 남아있는 쌀. 벼의 도정과정에서 왕겨만 제거한 덜 깎은 쌀이다. 한 완전히 정제된 백미에 비해 영양적으로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소화가 잘 안되고 식감이 백미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현미는 비만인구들의 체중관리 식단뿐만 아니라 당뇨병 환자들에게 중요한 혈당 관리에서도 백미...
    분류 :
    농산물 > 곡류
    용도 :
    주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곡식 , 식재료
  • 정미기조작원
    수행직무 현미저장탱크의 저장량을 점검하고 견본을 채취하여 수분함량, 현미의 크기 등을 확인한다. 정미기의 도정도(搗精度:쌀에서 겨가 깎여나간 정도)를 맞추기 위하여 분동추의 마찰압력을 조절한다. 도정된 현미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광택을 내는 제강기, 정선흔들체, 현미선별기의 가동상태를 점검한다. 기계설비...
    교육수준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숙련기간 :
    6개월 초과 ~ 1년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관련없음
    직무기능(사물) :
    제어조작
    유사명칭 :
    정미도정원
    고용직업분류 :
    [8732]제분·도정 기계 조작원
    표준직업분류 :
    [8111]제분 및 도정 관련 기계 조작원
    표준산업분류 :
    [C106]곡물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
    조사연도 :
    2016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백미 白米, polished rice
    개요 도정 과정을 완벽히 거쳐 나온 하얀 쌀. 주로 밥을 짓는 데에 이용된다. 예로부터 ‘흰 쌀 밥’은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부드러운 단맛과 그로 인한 높은 소화율로 밥을 주식으로 먹는 한국인들에게 선호도가 높았다. 시대가 지나면서 맛보다는 건강을 중요시하는 사회가 되자 백미로만 이루어진 흰 쌀 밥은...
    분류 :
    농산물 > 곡물
    용도 :
    주식용, 양조용, 식가공품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재료
  • 종정경 宗正卿
    종친부로 만들었고, 이듬해 종정경 제도가 새로 만들어졌다. 1865년 이전에는 종친부 관직이 대군(大君)·왕자군(王子君)·군(君)·제군(諸君)·도정(都正)(도정 이하 관직 생략) 등의 체계였는데, 1865년 제군과 도정 사이에 종정경이 4등급으로 신설되었다. 영종정경(領宗正卿)은 대군·왕자군이 겸임하였고, 판종정경...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관품
    유형 :
    제도
    시행일 :
    1865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유홍 영정 류홍 영정, 柳泓 影幀
    원훈(元勳)의 자제로서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으로 책록되었다. 1511년 무과에 급제하여 사복시 부정(副正)을 거쳐 1524년 우위장(右衛將), 1526년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 등을 역임했다. 1531년 회령부사, 이듬해 충청도 수군절도사를 지내고 경상도 · 전라도의 수군절도사, 원주 · 정주 · 광주 등지의 목사를...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율도동 栗島洞
    의해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가 되었다.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와 경기도고시 제32호에 의해 경성부 행정구역이 확장될 때 경성부 여의도정에 속하였다.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로 실시한 區制度가 실시되면서 여의도정은 양분되어 율도는 서대문구의 율도정으로 되고 여의도정은 영등포...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지하련 池河連
    관계에서 자의식에 눈뜨는 과정을 포착하는 데 뛰어남을 보였다. 해방 이후 남편 임화와 함께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했고, 이 시기에 발표된 작품으로는 〈도정 道程〉(1946)과 〈광나루〉(1947) 2편이 있는데, 〈도정〉은 조선문학가동맹 제1회 조선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어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그리고 작품집...
    출생 :
    1912, 경남 거창 ∼
    사망 :
    1960, 평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여의도동 여의도동(汝矣島洞), 汝矣島洞
    되었다.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와 경기도고시 제32호에 의한 경성부 구역 확장으로 다시 경성부에 편입되어 여의도와 율도는 경성부 여의도정이 되었다.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로 區制度가 실시되면서 여의도정은 兩分되어 율도는 서대문구의 율도정으로 되고 여의도정은 영등포구 여의도정...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이봉구 李鳳九
    이어 『조선문학』에 「광풍객(狂風客)」(1936.6.) · 「아편(阿片)」(1936.11.), 1937년 「밤차」(風林, 1937.5.) 등의 소설을 발표하였다. 광복 후에는 「도정(道程)」(신문예, 1945.12.) · 「뿌라운과 시계」(신세대, 1948.1.) · 「언덕」(백민, 1948.3.) · 「명동의 에레지」(백민, 1950.2.) · 「방가로(放歌路...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유방암식
    요법이 필요합니다. 식사요법의 실제 1. 적정체중 유지를 고려한 식사 및 간식을 섭취합니다. 2. 하루 3끼 식사는 거르지 말고 규칙적으로 합니다. 3. 도정된 곡류보다는 전곡류(도정되지 않은 곡류)를 선택하며, 단순당의 섭취를 가급적 줄입니다. 4. 육류는 살코기로 주 500g (익힌 고기 300g 정도) 이하로 섭취합니다...
    도서 식사요법백과 | 태그 음식 , 건강
  • 대한곡물협회 大韓穀物協會, Korea Grain Association
    수행에 적극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민법> 제 32조에 의거하여, 농림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1954년 2월 설립되었다. 연혁 및 변천 대한곡물협회는 정부양곡 도정가공업자와 양곡보관업자의 발전을 위해 설립이 추진되었다. 1954년 2월 대한곡물협회연합회로 설립해 1957년 10월 전국 단위 대한곡물협회를 시, 도 단위...
    설립 :
    1954년 2월
    소재지 :
    대전광역시 동구 계족로 459
    사이트 :
    http://www.gokhyup.or.kr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7건

도정(搗精) 작업
정미소 / 도정
쌀 도정
도정서원
실비도정
실비도정
도정법
도정서원 안내도
클로피도정 형태
클로피도정 포장
실비도정 형태
실비도정 포장
클피도정 형태
옛 도정궁터
정미소에서의 벼 도정
클로피도정 75m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