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정미기조작원수행직무 현미저장탱크의 저장량을 점검하고 견본을 채취하여 수분함량, 현미의 크기 등을 확인한다. 정미기의 도정도(搗精度:쌀에서 겨가 깎여나간 정도)를 맞추기 위하여 분동추의 마찰압력을 조절한다. 도정된 현미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광택을 내는 제강기, 정선흔들체, 현미선별기의 가동상태를 점검한다. 기계설비...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6개월 초과 ~ 1년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수집
- 직무기능(사람) :
- 관련없음
- 직무기능(사물) :
- 제어조작
- 유사명칭 :
- 정미도정원
- 고용직업분류 :
- [8732]제분·도정 기계 조작원
- 표준직업분류 :
- [8111]제분 및 도정 관련 기계 조작원
- 표준산업분류 :
- [C106]곡물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
- 조사연도 :
- 2016년
-
-
종정경 宗正卿종친부로 만들었고, 이듬해 종정경 제도가 새로 만들어졌다. 1865년 이전에는 종친부 관직이 대군(大君)·왕자군(王子君)·군(君)·제군(諸君)·도정(都正)(도정 이하 관직 생략) 등의 체계였는데, 1865년 제군과 도정 사이에 종정경이 4등급으로 신설되었다. 영종정경(領宗正卿)은 대군·왕자군이 겸임하였고, 판종정경...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관품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65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유홍 영정 류홍 영정, 柳泓 影幀원훈(元勳)의 자제로서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으로 책록되었다. 1511년 무과에 급제하여 사복시 부정(副正)을 거쳐 1524년 우위장(右衛將), 1526년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 등을 역임했다. 1531년 회령부사, 이듬해 충청도 수군절도사를 지내고 경상도 · 전라도의 수군절도사, 원주 · 정주 · 광주 등지의 목사를...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이봉구 李鳳九이어 『조선문학』에 「광풍객(狂風客)」(1936.6.) · 「아편(阿片)」(1936.11.), 1937년 「밤차」(風林, 1937.5.) 등의 소설을 발표하였다. 광복 후에는 「도정(道程)」(신문예, 1945.12.) · 「뿌라운과 시계」(신세대, 1948.1.) · 「언덕」(백민, 1948.3.) · 「명동의 에레지」(백민, 1950.2.) · 「방가로(放歌路...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대한곡물협회 大韓穀物協會, Korea Grain Association수행에 적극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민법> 제 32조에 의거하여, 농림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1954년 2월 설립되었다. 연혁 및 변천 대한곡물협회는 정부양곡 도정가공업자와 양곡보관업자의 발전을 위해 설립이 추진되었다. 1954년 2월 대한곡물협회연합회로 설립해 1957년 10월 전국 단위 대한곡물협회를 시, 도 단위...
- 설립 :
- 1954년 2월
- 소재지 :
- 대전광역시 동구 계족로 459
- 사이트 :
- http://www.gokhyu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