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극동 국제 군사재판 개정재판이 열렸다. 도조 히데키 등 28명이 A급 전범으로 기소됐으며, 공판 도중 사망 등의 이유로 제외된 3명 이외의 전원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그중 7명은 교수형에 처해졌다. 이 재판은 국가가 아닌 개인에게도 전쟁 범죄의 책임을 물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의의를 지녔다. 그러나 미국의 일본 통치를 원활히 하기 위해...
- 시대 :
- 1946년 2월 18일
- 국가/대륙 :
- 아시아
-
양경학 梁景學최산흥의 의병부대에서 동료 의병인 김태일(金太一) · 김형주(金亨注) 등과 군자금을 모금하였는데, 1909년 9월 일본군경의 밀정을 처단하기도 하였다. 전북 순창군과 태인군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1909년 9월경 붙잡혀 강도 및 살인죄로 교수형을 당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보트야니 Lajos, Gróf Batthyány결국 혁명가들의 편에 섰다. 10월 11일 전투중에 말에서 떨어져 팔이 부러졌으며, 오스트리아 세력과 협상하려다가 1849년 1월 3일 오스트리아군에 사로잡혀 교수형을 선고받았고 처형 전날 밤에 칼로 자살하려다 실패했다. 다음날 아침 심하게 다친 채 선동죄로 총살당했다. 헝가리 국민은 그의 죽음에 깊은 애도를...
- 출생 :
- 1806. 2. 14, 오스트리아령 포조니(지금의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 사망 :
- 1849. 10. 6, 헝가리 페슈트(지금의 부다페스트)
- 국적 :
- 헝가리
-
우리나라 사형제도의 현황 1997년 이후 사형집행은 중단우리나라 사형집행은 형법에 따라 교도소에서 교수형을 행하는 방법을 취한다. 군형법은 총살형을 인정한다. 사형은 법무부장관의 명령이 있어야 집행할 수 있다. 형사소송법에는 "판결이 확정된 날로부터 6월 이내에 사형집행을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1997년 12월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
맹혈단 맹혈단(盟血團), 猛血團잡혔다. 한도원·유형석·김승은(金勝恩)과 같이 투옥되었다. 그 뒤 국내로 압송당하여 1937년 4월 16일황해도 해주지방법원에서 사형언도를 받고 공소하였으나, 평양복심법원에서 사형이 확정, 1938년 4월 14일 평양감옥 사형장에서 교수형으로 집행되었다. 한도원·유형석은 5년, 김승은은 3년형을 선고받았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6년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오면직, 김창근, 한도원, 유형석, 김동우
- 분야 :
- 역사/근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