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주민수 君舟民水
    자신의 잘못을 고치고 세금과 부역을 낮추었으며 형벌이 과하지 않도록 하여 백성들을 현명하게 다스린 성군으로 역사에 남았다. 이 글에서 유래한 '군주민수'가 올바른 정치 지도자가 생각해야 할 도리를 일깨워주는 사자성어로 이후 널리 알려졌고, 2016년 한국의 <교수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사자성어'에 올랐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사성어
  • 왜 '수지 열애설'에 기사가 1,840건이나 쏟아졌는가?, 포털 뉴스 규제론
    뉴스(54퍼센트)보다는 낮지만 종이신문(7.4퍼센트)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높다. 이런 수치를 제시한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손영준은 "그러나 포털 뉴스를 비롯해 신문 · 방송 등 모든 매체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는 하락하고 있다. 왜 그럴까. 필자는 우리 언론의 신뢰도 하락에 포털의 책임이 크다고 생각...
  • 코리아 타임스 The Korea Times
    상황을 신속하게 알리고, 나아가 전세계에 한국의 실정을 바로 알리려는 목적으로 창간했다. 김활란이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지낸 관계로 이 신문에 이화여대 영문과 교수들이 대거 참여했다. 초대 사장 겸 발행인은 김상용, 주필은 조용만, 편집국장은 이석곤이었고, 편집위원으로 피천득·주요섭·이무영 등이 참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이관구 성재(誠齋), 李寬求
    고문으로 있다가 1948년 1월부터는 편집국장 대행을 맡았다. 1949년 9월부터 학계로 전직하여 1957년 3월까지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다가 다시 언론계로 돌아와 경향신문 주필이 되었다. 그 해 3월을 전후하여 한국신문편집인협회 창립준비위원이 되어 신문윤리강령의 작성에 참여하였으며, 4월 편집인...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김정숙 金貞淑
    1956. 1. 9∼15), 「현대조각의 발전」(『서울신문』 1960. 2. 19)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퇴임 후에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로 후진을 양성하다가 1991년 타계하였다. 1962년 신문회관에서 1회 개인전을 가질 때는 같은 학교에 근무하던 김환기가 간단한 평문을 썼으며 1971년 신문회관에서 가진 2회 개인전...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역사교육과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를 망라하여 체계적으로 서술하여 학습 관련자격 중등학교2급정교사 관련직업 고고학자, 문화재보존원, 사범계열교수, 신문기자, 언론인, 역사학연구원, 일반공무원, 작가, 중등학교교사, 출판물기획자, 큐레이터, 학원강사 졸업 후 진출 분야 기업 및 산업체 시민사회단체 박물관...
    분류 :
    대학교 > 교육계열
  • 팽원순 彭元順
    통신사를 거쳐 1959년 이 후 합동통신사에서 외신부 기자, 외신부장과 부국장을 지내는 동안 외신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 1970년부터는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되어 언론의 윤리와 법제를 전공으로 연구했다. 한양대학에서는 『한대신문』 주간(1971), 한양방송국 주간(1976), 한양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소장...
    시대 :
    현대
    출생 :
    1929년
    사망 :
    1993년
    경력 :
    합동통신사 부국장, 한양대학교 교수, 한국언론학회 회장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언론학자
    대표작 :
    언론법제신론, 한국언론법제론
    성별 :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이상희 李相禧
    발표해 중앙정보부에 끌려가기도 했다. 1985년 민주언론시민연합의 전신인 민주언론운동협의회 창립을 이끌었으며 1988년에는 〈한겨레신문〉창간 발기인으로 나섰다. 1991년 서울대 교수협의회장을 맡았고 1994년 퇴임 이후에는 명예교수로 있었다. 1999년 선거방송심의위원회 위원장, 2000~03년 KBS이사를 역임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정충량 鄭忠良
    보도 기자, 경향신문 문화부기자, 서울일일신문 조사부장을 거쳐 한국 최초의 여류논설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63년부터 1977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이대학보사 주간 및 출판부장직을 담당하였다. 학교 외의 사회활동으로, 1962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상임이사와 부회장을 역임하였고...
    시대 :
    현대
    출생 :
    1916년
    사망 :
    1991년
    경력 :
    세계여기자작가협회한국지부 회장, 숙명여자고등학교 교장
    유형 :
    인물
    직업 :
    교육자
    성별 :
    분야 :
    교육/교육
  • 누가 마지막 황후의 눈물을 닦아줄 것인가?
    황후의 또 다른 조카 민영찬이 ‘황제의 밀사’로 미국을 방문했을 때도 미국 신문에서는 ‘왕자’라는 호칭을 썼다. 이렇듯 당시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황후의...그림은 언제 그린 것일까? 키스는 이 여인이 ‘크리스천 계열 대학의 교수와 결혼한 유부녀’이며, 또 상중(喪中)이라고 했다. 따라서 이 그림의 제작 연도...
  • 우송정보대학 대전실업전문학교, 又松情報大學
    부설연구소로는 유아교육연구소가 있다. 예절교육 및 인격도야를 위한 정례원(正禮院)을 개설ㆍ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개교기념일에는 ‘동원제(東園祭)’를 개최하고 있다. 20여 개의 동아리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생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지ㆍ대학신문교수연구논문집 등을 정기적으로 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위치 :
    대전광역시 동구 자양동 226-2
    설립 :
    1963년 3월 1일
    성격 :
    사립대학, 전문대학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정우
    분야 :
    교육/교육
  • 장도빈 산운(汕耘), 張道斌
    新韓村)에서 다시 신채호를 만나고, 최재형(崔在亨)·홍범도(洪範圖)·이동휘(李東輝)·이상설(李相卨) 등 독립투사들과 교류하며, 보성전문학교 교수이던 이종호(李鍾浩)의 『근업신문(勤業新聞)』에서 논설을 썼다. 1916∼1918년 병고의 몸으로 귀국하여 평안북도 영변의 서운사(棲雲寺)에서 요양한 뒤 처음으로...
    시대 :
    근대
    출생 :
    1888년
    사망 :
    1963년
    유형 :
    인물
    직업 :
    언론인, 국사학자
    성별 :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본관 :
    결성(結城)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교수신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