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진구 수보(守甫), 金鎭龜오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0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관이 되어 『현종실록(顯宗實錄)』찬수에 참여하였다. 이어 정언(正言)·헌납(獻納)·교리(校理)·응교(應敎)·집의(執義) 등을 역임하였다. 1684년 경상감사가 되었으며 이어 승지가 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에 의하여 남인정권이 들어서자 김석주...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51년(효종 2)
- 사망 :
- 1704년(숙종 30)
- 경력 :
- 좌참찬, 판의금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광산(光山)
-
김의원 의백(宜伯), 金義元사서(世子侍講院司書)를 거쳐 황해도어사로 나아가 군선(軍船)의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듬해 지평(持平)이 되었다. 1597년 이조좌랑을 거쳐 장령(掌令)·직강(直講)·이조정랑·교리(校理)·보덕(輔德)·악정(樂正)·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서예에 능하였으며, 저서로는 『곤륙재집(困六齋集)』이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58년(명종 13)
- 사망 :
- 미상
- 경력 :
- 대사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곤륙재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선산(善山)
-
김상석 군필(君弼), 金相奭趙泰億)·이삼(李森)·심단(沈檀) 등을 탄핵하는 데 앞장섰다. 남인의 남구만(南九萬)·최석항(崔錫恒)·윤지완(尹趾完) 등의 종묘배향을 반대하였다. 교리(校理)·부수찬(副修撰)·의주부윤·강화유수·한성부우윤을 거쳐 판돈녕부사로 재직하다가 죽었다. 저서로 『시은일록(市隱日錄)』이 있다. 시호는 정간(貞簡...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90년(숙종 16)
- 사망 :
- 1765년(영조 41)
- 경력 :
- 판돈녕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시은일록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송문재 사안(士安), 宋文載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假注書)가 되었다. 이듬해 예문관검열을 거쳐 1751년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에 이어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이 되고, 1754년 교리(校理)를 지냈다. 1757년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으로 문과 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지가 되었다. 1760년 대사간이 되었으나 1763년 공초(供招: 죄인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11년(숙종 37)
- 사망 :
- 미상
- 경력 :
- 함경도관찰사, 대사헌, 개성유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산(礪山: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
-
양희지 가행(可行), 楊熙止字)가 되었고, 1476년부터 3년간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477년 저작(著作) · 박사를 거쳐, 이듬해 부수찬(副修撰)에 올라 경연관을 겸직했고, 이어서 교리(校理) · 문학 · 검상을 역임하였다. 1483년 정희왕후(貞喜王后)의 상을 당해 산릉도감낭첨(山陵都監郎廳)을 맡아 이를 잘 처리하였다. 이어 1487년 예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명의 의백(宜伯), 李明誼命), 이조참판 이희조(李喜朝) 등을 탄핵하다가 도리어 밀양으로 유배되었다. 그 뒤 경종이 즉위하여 소론이 집권하자, 중용되어 홍문관의 수찬(修撰)·교리(校理)를 거쳐 이조정랑·헌납(獻納)을 지냈고, 대사간에 이르렀다. 영조가 즉위하고 노론이 집권하면서 김일경(金一鏡)의 상소에 동참하였다는 죄로 귀양을 갔고...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0년(현종 11)
- 사망 :
- 1728년(영조 4)
- 경력 :
- 홍문관수찬, 홍문관교리, 이조정랑, 대사간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무신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천남도 서천)
-
심재 문숙(文叔), 沈梓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54년(효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을 지냈다. 1663년(현종 4)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1667년 교리(校理)를 거쳐 승지·경기관찰사·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677년(숙종 3) 사은 겸 동지부사(謝恩兼冬至副使)로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하여 대사간·경기...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24년(인조 2)
- 사망 :
- 1693년(숙종 19)
- 경력 :
- 이조판서, 좌참찬, 판중추부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기사환국, 경신옥사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청송(靑松)
-
유의양 계방(季方), 자장(子章), 柳義養생애 및 활동사항 1756년(영조 32) 생원이 되어 현감을 지냈으며, 1763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65년 정언(正言)을 거쳐 사서(司書)·수찬·교리(校理)를 역임했고, 1775년 집의(執義)로서 백관들의 안일함을 탄핵하였다. 또한 임진왜란 때 활약한 명나라 군대를 위해 단을 설치해 제사를 지낼 것을 건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18년(숙종 44)
- 사망 :
- 미상
- 경력 :
- 성천부사, 대사간, 예조참의, 의주부윤, 공조참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춘방지(春坊志), 춘관통고(春官通考)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김양순 원회(元會), 金陽淳학정(學正)·사경(司經)을 지냈다. 1815년에 실시한 홍문록(弘文錄)에 4점, 이어 실시한 도당록(都堂錄)에 4점을 받고 수찬(修撰)에 임명되고, 이듬해 교리(校理)가 되었다. 1822년 대사성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가자(加資)되었다. 1825년 이조참판에 올랐고, 1827년 대사헌에, 1833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었다. 헌종이...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76년(영조 52)
- 사망 :
- 1840년(헌종 6)
- 경력 :
- 대사헌, 이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탄옹행장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동(安東)
-
신석 성여(聖與), 申晳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正言)을 거쳐 이듬해 동지사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지평(持平)·정언·부교리·이조좌랑·헌납(獻納)·교리(校理)·응교(應敎)·사간·겸필선(兼弼善) 등을 역임하였다. 1722년(경종 2)에 신임사화로 관작을 삭탈당하고, 이듬해 선산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1년(숙종 7)
- 사망 :
- 1723년(경종 3)
- 경력 :
- 부교리, 이조좌랑, 헌납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신임사화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평산(平山)
-
조관빈 국보(國甫), 趙觀彬1714년(숙종 4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검열이 되었다. 1716년 도당록(都堂錄)에 선입되고 수찬(修撰) · 정언(正言) · 부교리(副校理) · 교리(校理) · 헌납(獻納) 등을 역임하였다. 1719년 승지로 특채되고, 1720년(경종 즉위년) 대사간 · 대사성 · 승지를 거쳐 이듬해 이조참의에 올랐다. 1723...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김첨 자첨(子瞻), 金瞻柳成龍) 등과 함께 이이(李珥)가 올린 소에 대해 옳지 않다고 탄핵하였으며, 1581년 이조좌랑으로서 박근원을 이조참판에 등용할 것을 주청하였다. 1582년 교리(校理)를 거쳐 고경명(高敬命) 대신 경상도재상경차관(慶尙道灾傷敬差官)으로 나아갔다. 이듬해 종사관이 되어 중국에 다녀온 뒤 이이를 탄핵하다가 지례현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2년(중종 37)
- 사망 :
- 1584년(선조 12)
- 경력 :
- 교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동(安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