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귀가시계가 된 〈모래시계〉의로운 깡패, 성실하고 진지한 검사, 못생기고 교활하고 의리 없는 깡패-중에서 온 나라 여자들을 황홀케 했다 할 의로운 미남과 그 정의감으로 온 나라를 감격시킨 검사에게는 표준말을 시키고 하필 그 못된 자식에게만 특정 지역 사투리를 하게 하여, 그 맞아죽어 시원했던 놈의 품성과 그 사투리 사이에 동일성 연상...
-
김상용 월파(月坡), 金尙鎔근로봉사를 독려하고 교육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같은해 2월에는 매일신보사가 싱가폴(Singapore) 함락을 기념하여 '신가파(新加坡) 함락과 문화인의 감격'이라는 주제로 명사들의 글을 연재할 때 「성업(聖業)의 기초(基礎) 완성(完成)」(『매일신보』 1942.2.19)을 써서 이를 축하했다. 1943년에는 '조선인징병제...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2년 8월 27일
- 사망 :
- 1951년 6월 22일
- 경력 :
- 보성고등보통학교 교사, 이화여자전문학교·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시인, 영문학자, 교육자
- 대표작 :
- 망향, 남으로 창을 내겠오, 향수 등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본관 :
- 경주(慶州)
-
사제곡 莎堤曲의 아름다운 경치와 이덕형의 소요자적(逍遙自適)하는 모습을 읊은 것으로 이덕형이 지었다는 설도 있다. 내용은 이덕형이 임금의 영총을 지극히 받아 성은에 감격하여 진력하다가, 늙고 병이 들어 관직을 사퇴하고 광주(廣州)용진강(龍津江) 동쪽의 사제로 돌아왔음을 읊었다. 고향에 돌아와 보니 옛날 보던 제일강산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인로
- 창작/발표시기 :
- 1611년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엄복동 嚴福童선수 연합경기에서는 엄복동과 황수복(黃壽福)이 각각 1위와 3위를 차지함으로써, 당시 일제의 침략 야욕 앞에 국운이 쇠퇴해 가던 상황에서 국민들의 환호와 감격이 절정에 달하였다. 그 뒤 1922년 5월 31일부터 2일간 평양윤업회(輪業會) 주최로 광성고등보통학교(光成高等普通學校) 운동장에서 열린 전조선자전차경기...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2년
- 사망 :
- 1951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체육인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서정권 徐廷權피스톤 후리구치를 4회 KO로 물리쳐버리자 일본의 제일인자라 하였다. 이로 인하여 국권 상실하에서 암울한 시기를 지내던 우리민족에게 커다란 기쁨과 감격을 안겨주어,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대회에서 마라톤 금메달을 획득한 것과 유사한 성원을 받았다. 1931년에 프로로 전향, 같은 해에 당시 전일본 플라이급...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2년
- 사망 :
- 1984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체육인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유행어 流行語와 국어 ‘서다’가 합한 나라비서다(줄서다)’ 등이 쓰였다. 광복과 더불어 국어의 사용이 자유로워지자 유행어의 사용도 크게 늘었다. 먼저 8·15 직후의 감격시절에 가장 널리 쓰인 어휘는 ‘친일파, 민족반역자, 좌익, 우익, 빨갱이, 반동분자’ 등이었고, 38선이 생겨 남북으로 분단되자 ‘이북(以北), 이남(以南...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정극인 가택(可宅), 丁克仁많음을 이유로 관직을 사양하고 귀향해 후진을 양성했다. 1472년 벼슬에 뜻을 접고 향리의 자제를 열심히 가르친 공으로 3품산관(散官)이 내려지자 이에 감격해 「불우헌가(不憂軒歌)」 · 「불우헌곡(不憂軒曲)」을 지어 송축했다. 1481(성종 12)년 81세의 나이로 죽었다. 비록 환로의 영달은 없었으나 선비로서의 청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멜로초 다 포를리, 〈프레스코화들〉새파란’ 하늘로 올라가는 예수와 형형색색 아름다운 옷차림의 천사들, 그리고 더 높은 곳을 올려다본 사도들의 모습을 그림이 아니라 실제처럼 여기고 감격했을 것이다. 비스듬한 각도의 시점을 원근법에 입각해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을 단축법이라고 부르는데, 단축법은 실제 같은 공간감을 창출해내는 데 유용하여...
- 저작자 :
- 멜로초 다 포를리(Melozzo da Forli, 1438?~1494)
- 제작시기 :
- 1480~1484년
-
국대부인 國大夫人郡: 경남 양산) 태수(太守) 박제상이 왜에 파견되어 기계를 써 미해를 밤에 몰래 탈출시키고 자신은 충절을 굽히지 않고 순절하였다. 미해가 귀국하자 왕은 감격하여 부인을 계림국대부인(鷄林國大夫人)으로 책봉하였다. 제상이 왜국으로 떠나갈 때 부인이 듣고 쫓아갔으나 만나지 못하고 망덕사(望德寺) 남쪽 모래 위에...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열녀
- 분야 :
- 역사/고대사
-
홍석주 성백(成伯), 洪奭周시의에 맞는 진솔한 글을 쓸 것을 역설하였다. 김윤식(金允植)은 “보취(步趣)에 법도가 있어 구확(矩矱)의 밖을 넘지 아니하며, 우여용용(紆餘舂容)해 감격적이면서도 상하지 않으니 실로 치세(治世)의 글이다.”라고 평하였다. 저서로는 『연천집』 · 『학해(學海)』 · 『영가삼이집(永嘉三怡集)』 · 『동사세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황산벌전투 黃山伐戰鬪하고, 장군 품일도 16세의 어린 아들 관창(官昌)을 백제군 속에 뛰어들어가 싸워 죽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청년 화랑들의 목숨을 아끼지 않는 용감한 행동에 감격한 신라군은 사기가 크게 올라 총공격을 가하였다. 백제의 결사대는 여기에 맞서 용감히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대패하고 말았다. 이 싸움에서 계백은 전사...
- 시대 :
- 고대/삼국
- 발생 :
- 660년 7월
- 성격 :
- 전투
- 유형 :
- 사건
- 종결 :
- 660년 7월
- 분야 :
- 역사/고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계백, 김유신, 관창
- 관련 장소 :
- 황산벌(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