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저작자 | 박인로 |
창작/발표시기 | 1611년 |
성격 | 가사 |
유형 | 작품 |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요약 1611년(광해군 3)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노계집(蘆溪集)』 권3에 실려 있다. ‘사제(莎堤)’는 이덕형(李德馨)의 휴양처로 경기도 용진(龍津)에 있는 지명이다.
내용 및 평가
작자가 ‘사제’의 아름다운 경치와 이덕형의 소요자적(逍遙自適)하는 모습을 읊은 것으로 이덕형이 지었다는 설도 있다.
내용은 이덕형이 임금의 영총을 지극히 받아 성은에 감격하여 진력하다가, 늙고 병이 들어 관직을 사퇴하고 광주(廣州)용진강(龍津江) 동쪽의 사제로 돌아왔음을 읊었다.
고향에 돌아와 보니 옛날 보던 제일강산이 임자 없이 버려져 있어 이제야 주인을 만난 듯함을 춘흥과 추흥을 통하여 노래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망극한 성은을 잊을 수 없다고 하였으며, 임금을 그리는 정과 어버이를 받들고자 하는 심정을 간절히 나타내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노계시가연구(蘆溪詩歌硏究)』(이상보, 이우출판사, 1978)
- ・ 『송강(松江)·노계(蘆溪)·고산(孤山)의 시가문학(詩歌文學)』(박성의, 현암사, 196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사제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