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펜타케라톱스 뿔 다섯개 달린 얼굴, 五角龍인해 활 모양으로 굽은 특징적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생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였고, 후기 백악기에 살았다. 식성은 초식으로, 양치식물이나 소철, 작은 크기의 침엽수 등을 먹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화석은 특히 뉴멕시코 주의 커틀랜드 셰일층에서 산출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종류 펜타케라톱스와 비슷한 종...
- 분류 :
- 조반류 > 각룡류
- 원산지 :
- 북아메리카
- 연대 :
- 백악기 후기
- 크기 :
- 약 6m ~ 7m
- 무게 :
- 약 5000kg
- 식성 :
- 초식
-
어치 먹이저장, 성대모사의 달인위해 다양한 소리로 괴성을 지르기도 한다. • 간혹 맹금류의 소리를 흉내 내어 자신의 서식지로 천적이 들어오는 것을 경계하기도 한다. 번식정보 • 주로 침엽수에 나뭇가지로 접시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5~6개이다. 알을 품는 기간은 16~17일이며, 새끼는 부화 후 약 17~20일 후에 둥지를...
- 분류 :
- 참새목>까마귀과
- 서식지 :
- 산림지역
- 먹이 :
- 잡식성(새알, 설치류, 조류새끼, 개구리, 벼, 옥수수, 콩 등)
- 크기 :
- 약 33cm
- 학명 :
- Garrulus glandarius
-
구리시의 유물·유적·관광아천동에 세종의 후궁인 명빈 김씨의 묘와 아차산성(峨嵯山城, 사적 제234호) 등이 있다. 구리시의 유일한 관광자원은 동구릉이다. 동구릉은 유적관광지로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능 일대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활엽수와 침엽수의 조화로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서울에서 오는 당일 코스 관광객이 많다...
-
까마귀 가막귀, carrion crow해안습지 주변에서 떨어진 낟알을 먹고, 하천, 하구에 모여들어 동물 및 어류 사체도 먹는다. 둥지는 인가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산림에 튼다. 보통 침엽수에 틀며 나뭇가지로 기초를 만들고 풀뿌리, 깃털, 동물의 털, 헝겊 등을 깐다. 포란기간은 19~20일이며, 새끼는 부화 30~35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특징 전체적...
- 분류 :
- 까마귀과(Corvidae)
- 서식지 :
- 열대와 한대를 제외한 유라시아대륙 전역에 분포한다.
- 크기 :
- L46~54cm
- 학명 :
- Corvus corone Carrion Crow
-
구리시의 자연환경과 인구6℃ 내외, 8월평균기온은 27℃ 내외로서 연교차가 30℃를 넘는다. 연평균강수량은 1,109㎜ 정도이나 집중호우로 인한 재해가 종종 발생한다. 식생은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합림이 대부분이다. 인구 수도권의 신흥도시로서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곳이다. 1961년 2만 2,697명, 1970년 당시 구리면 2만 3,067명, 1980년...
-
간암도4종, 갈조류 6종 출현 ㆍ주요 육상동물 : 관찰되지 않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전체조류 2종 5개체. 알락할미새, 동박새 관찰, 호랑지빠귀 사체 발견. 침엽수 교목림에서 백로류 휴식 가능. - 관찰된 곤충은 애매미, 굴뚝나비, 아시아실잠자리, 푸른부전나비 등 9여종 출현 ㆍ주요 식생 · 식물 : 주요 식생은 곰솔군락...
- 면적 :
- 84,072m 2
- 좌표 :
- 34° 40′ 03.6″ N, 126° 01′ 11.1″ E
- 해도번호 :
- 332(B)
- 지번 :
- 하의면 후광리 산104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하의면사무소로부터 6.92km
-
게미진거미 Phycosoma mustelinum암컷의 생식기는 담갈색이며 원 모양의 수정 낭과 집게 모양의 수정관이 있는것이 특징이다. 생태 서식지: 산에 서식한다. 행동습성: 산골 나뭇가지나 잎, 풀밭 사이를 돌아다니며 거미줄을 늘어놓아 개미 등을 잡아먹는다. 침엽수나 뽕나무밭 등에서도 보인다 집필진 : 정상우, 민홍기, 안승락, 최용근, 유정선, 백운기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거미강(Arachnida) > 거미목(Araneae) > 꼬마거미과(Theridiidae )
- 학명 :
- Phycosoma mustelinum (Simon, 1888)
- 국내분포 :
-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 해외분포 :
- 러시아, 중국, 일본, 크라카타우
-
쌍줄접시거미 Neriene limbatinella한가운데 부분 양쪽으로 평행하게 2개의 암갈색 줄무늬가 있다. 뒷부분 옆면에는 위쪽을 향하여 3쌍의 암갈색 빗살 무늬가 있다. 생태 서식지: 산림에 서식한다. 행동습성: 산지 침엽수의 가지 사이에 돔 모양의 접시 그물을 만들고 생활한다. 8~10월에 관찰된다. 집필진 : 정상우, 민홍기, 안승락, 최용근, 유정선, 백운기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거미강(Arachnida) > 거미목(Araneae) > 접시거미과(Linyphiidae )
- 학명 :
- Neriene limbatinella (Bösenberg and Strand, 1906)
- 국내분포 :
-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
- 해외분포 :
- 일본, 중국, 러시아
-
거도 덕도산재함. 들고양이 등의 고양이과와 기타 설치류 및 개과의 육상동물의 이용이 있을 것. ㆍ주요 조류 · 곤충 - 관찰된 조류는 없으나 꺅도요류의 사체 발견. 침엽수 교목림과 하층식생, 비교적 풍부한 수량. - 관찰된 곤충은 왕흰줄태극나방, 호랑나비, 큰줄흰나비, 청띠제비나비 등 9여종 출현 ㆍ주요 식생 · 식물...
- 면적 :
- 23,702m 2
- 좌표 :
- 34° 35′ 34.5″ N, 125° 59′ 17.2″ E
- 해도번호 :
- 341
- 지번 :
- 하의면 능산리 산243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하의면사무소로부터 4.7km
-
노도사우루스 마디가 있는 도마뱀, 結節龍육중한 체격을 가졌었다. 꼬리는 길었지만 머리와 뇌는 매우 작았고, 등은 포식동물의 공격을 막기 위해 두꺼운 골질판과 혹들로 이루어진 육중한 껍질에 덮여 굽어 있었다. 앞다리는 뒷다리보다 훨씬 짧았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였고, 백악기 후기에 살았다. 식성은 초식으로, 주로 양치류나 침엽수, 이끼 등을 먹었다...
- 분류 :
- 조반류 > 곡룡류
- 원산지 :
- 북아메리카
- 연대 :
- 백악기 전기
- 크기 :
- 약 4.5m ~ 6m
- 무게 :
- 약 2700kg
- 식성 :
- 초식
-
대납도 대납덕도육상동물 : 들고양이 등의 고양이과와 기타 설치류 및 개과의 육상동물의 이용이 있을 것. ㆍ주요 조류 · 곤충 - 전체조류 1종 1개체. 깝작도요 관찰됨. 침엽수 교목림이 풍부하여 산새류의 이용이 예상됨. - 관찰된 곤충은 파리매, 밀잠자리, 방아깨비 등 3여종 출현 ㆍ주요 식생 · 식물 : 주요 식생은 곰솔군락이며...
- 면적 :
- 39,570m 2
- 좌표 :
- 34° 36′ 17.3″ N, 125° 59′ 27.3″ E
- 해도번호 :
- 341
- 지번 :
- 하의면 능산리 산116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하의면사무소로부터 4.18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