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신론별기 해동별기(海東別記), 起信論別記
    기신론』의 이론적 핵심을 다룬 ‘입의분’과 근본 뜻을 해석한 ‘해석분’의 주석만 담고 있다. 내용 원효는 이 책에서 『기신론』의 중심 내용과 개념을 중점...있다. 특히 원효는 『기신론』이 대승불교의 두 가지 큰 흐름인 중관학파(中觀學派)의 '부정 위주의 사상'과 유식학파(唯識學派)의 '긍정 위주의 사상'을...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팔불중도 팔불중관(八不中觀), 八不中道
    鳩摩羅什, Kumārajīva: 343~413)에 의해 한역되었다. 인도에서는 중관사상이 논리학의 전성기를 관통하면서 중기 중관파 논사들의 각기 다른 『중론』 주석을 통해 스와딴뜨리까(Svātantrika, 자립논증)와 쁘라상기까(Prāsaṅgika, 귀류/귀결논증?)라는 양대 학파로 발전하였다. 반면에 거의 동시대 한역 경전권의...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주자대전차의문목표보 朱子大全箚疑問目標補
    김근순(金近淳, 1772~?)의『주자대전차의관보(朱子大全箚疑管補)』 등 제가의 주석을 종합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주자대전』 주석사(註釋史)의...朱子大全箚疑問目)』을 발전시키고 있는 중요한 주석서이다. 이 책은 나중에 이항로 학파의 『주자대전차의집보(朱子大全箚疑輯輔)』로 집대성된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매순(金邁淳)
    창작/발표시기 :
    1812년(서문), 1854년(발문)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4권 1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장서각, 규장각
  • 공양학 公羊學
    주도적 경향은 고전의 주석과 훈고에 치우쳐서 긴박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는 별반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학문적 자세를 반성하고 현실...있고, 『공양전』과 『곡량전(穀梁傳)』은 사실의 배후에 숨은 공자의 이념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금문(今文)으로 적혀 있다. 공양학파는 고문을 부정하고...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해심밀경소 解深密經疏
    의 제8 여래성소작사품(如來成所作事品)의 첫머리 약간을 제외한 대부분을 주석하고 있다. 원측은 여기에서 삼신만덕(三身滿德)의 대과(大果)가 설해지고 있다고...무생(無生)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원측과 반대되는 견해를 가지고 있던 자은학파(慈恩學派)의 주장은 이 4덕(四德)의 불과(佛果)가 인위(因位)에서는 본래...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원측(圓測)
    창작/발표시기 :
    신라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5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주례 周禮
    의 하나로 포함되었다.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고문학파(古文學派)에서는 주나라 초기 주공(周公)이 지은 것이라 하고, 금문학파(今文學派)에서는 전국 시대에...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이 후 후한(後漢)의 정현(鄭玄)이 주석을 붙여 ≪주례주(周禮注)≫를 편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唐)의 가공언(賈公彦...
    창작/발표시기 :
    조선 세종(간행)
    성격 :
    유교경전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설일체유부 說一切有部, Sarvativada
    여러 학파 사이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했다. 그중에서 설일체유부의 논사(論師 ābhidhārmika:교리학자)들은 당시의 대부분의 불교도들과 마찬가지로 유심론(唯心論)에 경도되어 경험적인 모든 존재는 환상이라고 간주하면서도 법이라는 요소들은 영원히 존재하는 실재라고 주장했다. 그들의 사상에 의하면, 법들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미드라시 Midrash
    이러한 주석 방법에 의해 히브리 성서에서 얻게 된 할라카(법률)와 하가다(비법률) 자료들을 모아놓은 대전집을 가리키기도 한다. '미드라시'라는 말은 '찾다' 또는 '조사하다'라는 뜻을 지닌 히브리어 어근 'darash'에서 유래하며, 성서 본문을 축어적(逐語的)으로 해석하지 않고 그 안에 담긴 정신을 집중적으로 연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발렌티누스 Valentinus
    알렉산드리아 학파를 창시했다. 그의 제자들이 세운 발렌티누스 공동체는 2~3세기의 그리스도교 신학에 심각한 도전을 제기했다. 그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그의 제자들에 의하면, 그는 사도 바울로의 제자라고 전해지는 테오다스의 가르침을 받고 그리스도교인으로 세례를 받았다. 2~3세기 신학자들의...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주자대전차의후어 朱子大全箚疑後語
    있고, 이어서 『주자대전』 1권에서 99권까지에 나오는 주요 어휘에 대한 주석이 실려 있다. 참고로 『주자대전』을 읽기 위한 조선시대 주석서로는 이황(李滉...주자대전차의집보(朱子大全箚疑輯輔)』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송시열 학파의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를 보완한 것으로, 나중에 이항로...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의철(李宜哲)
    창작/발표시기 :
    1762년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8권 9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 주자도통주의 朱子道統主義
    이후의 학파는 자신들이 주자도통을 계승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주자도통주의라고 할 때 그것은 송시열의 학문적·사상적 입장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그 이유는 주자도통의 계승의식이 송시열의 경우 가장 철저한 형태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송시열은 이이가 주자의 도통을 계승했으며, 송시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심경집의 心經集義
    정제두는 진덕수(眞德秀)의『심경(心經)』과 정민정의 『심경부주』가 이황(李滉) 및 그의 후예들에 의해 크게 중시되고 마침내 기호 율곡학파에서도 이를 중시하여 그 주석본으로 『심경석의(心經釋義)』(송시열 지음)가 왕명을 받들어 편찬되기에 이르자 『심경부주』를 전면 개편하여 양명학 입장에서 『심경집의』를...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제두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상·하 2권(총82쪽)
    분야 :
    종교·철학/유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