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숨어 지낼 운명을 지닌 바위, 대은암태어날 곳으로 꼽혔다. 송익필은 바로 안당의 집에서 종으로 일하던 송사련의 아들이다. 송익필은 스스로 터득한 학문으로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 송강 정철 등과 교류하며 아주 친한 사이가 됐으며 서인의 막후 실력자로 성장한다. 훗날 이이가 구도장원(九度壯元: 과거에 아홉 번 장원으로 함격함)으로 유명해지자...
- 관련 장소 :
- 북악산
-
독서당계회도 讀書堂契會圖일본 개인소장의 「독서당계회도」보다 약 40년 뒤에 제작된 족자 형식의 그림이다. 좌목(座目)에 적혀 있는 참석자들은 윤근수(尹根壽), 정유일(鄭惟一), 정철(鄭澈), 구봉령(具鳳齡), 이이(李珥), 이해수(李海壽), 신응시(辛應時), 홍성민(洪聖民), 유성룡(柳成龍) 등 9인이다. 정철, 이이, 유성룡 등 역사적으로 널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시정시비 時政是非내용 1책. 필사본. 저자는 분명하지 않으나 ≪시정시비≫ 첫머리에 ‘의정정철가장(議政鄭澈家藏)’이라고 쓰여져 있는 점과 그 내용에서 정철을 두둔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그의 후손들 손에 의하여 엮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주로 1589년(선조 22)에 일어난 기축옥사와 정철의 관계를 기술한 것이다. 동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未詳)
- 성격 :
- 정치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항복 자상(子常), 李恒福전한 · 직제학 · 우승지를 거쳐 1590년 호조참의가 되었고,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처리한 공로로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에 녹훈되었다. 이듬 해 정철(鄭澈)의 논죄가 있자 사람들이 자신에게 화가 미칠 것이 두려워 정철을 찾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나 그는 좌승지의 신분으로 날마다 찾아가 담화를 계속해...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광주목지 光州牧誌충실히 기재된 장점이 있다. 인물조에는 고려의 김양감(金良鑑)·김태현(金台鉉)·정세운(鄭世雲) 등과 조선의 김극기(金克己)·박순(朴淳)·기대승(奇大升)·정철(鄭澈) 및 왜란과 호란에서 활약한 많은 인물들의 공적이 간략히 수록되었고, 서술조에는 기대승의 흥학비기(興學碑記), 정홍명(鄭弘溟)의 서석산부(瑞石...
- 시대 :
- 근대
- 창작/발표시기 :
- 정조 연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한국가사문학관 韓國歌辭文學館이루던 때에 국문으로 시를 제작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가사문학이 크게 발전하여 꽃을 피웠다. 특히 전남 담양은 이서의 「낙지가」, 송순의 「면앙정가」, 정철의 「성산별곡」·「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 정식의 「축산별곡」, 남극엽의 「향음주례가」, 「충효가」, 유도관의 「경술가...
- 시대 :
- 현대
- 위치 :
- (517-872) 전남 담양군 남면 가사문학로 877
- 설립 :
- 2000년 10월
- 성격 :
- 문학관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담양군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이산보 중거(仲擧), 李山甫탄핵을 받고 종부시정에 좌천되었다. 1년 뒤 다시 집의로 전임했고, 이어 동부승지·대사간·우승지를 지냈다. 1585년 부제학 김우옹(金宇顒)이 이이(李珥)·정철(鄭澈)을 논박하자, 이에 반박해 선조로부터 충절이 있다는 칭찬을 받고 대사헌으로 특진하였다. 뒤에 이이·박순(朴淳)·정철의 공적을 논하다가 사간원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39년(중종 34)
- 사망 :
- 1594년(선조 27)
- 경력 :
- 정언, 순안어사, 수찬, 헌납, 이조정랑, 집의, 직제학, 동부승지, 우승지, 황해도관찰사, 대사간, 이조참판, 이조판서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기축옥사, 임진왜란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지수정가 止水亭歌개설 필사본으로 전하는 작자의 『갈봉선생문집(葛峰先生文集)』 권말에 실려 있다. 각 행은 대체로 4·4조 8자로 되어 있고, 그 전분량이 160여 행으로 정철(鄭澈)의 「관동별곡」·「사미인곡」이나 박인로(朴仁老)의 「태평사」·「누항사」보다도 분량이 많은 작품이다. 지수정은 김득연이 손수 지은 정자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득연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정여립의 난 발생 서인이 권력을 잡다'천하에는 일정한 주인이 없으며, 누구라도 임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던 혁신사상가 정여립이 반역자의 누명을 쓰고 처형됐다. 이 사건의 처리를 맡은 정철은 서인에 속한 사람으로, 정여립과 가깝다는 이유만으로 이발, 이호 등 동인을 대거 처형했다. 이를 '기축옥사'라고 하며 이를 통해 정철과 서인이 붕당 정치...
- 시대 :
- 1589년
- 국가/대륙 :
-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