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경지 형보(亨甫), 朴敬祉使)가 되고 1664년 평안도병마절도사, 다음 해 수원부사(水原府使)를 거쳐 1669년 한성부좌윤·오위도총부부총관으로 총융사(摠戎使)를 겸하였다. 평생 충의와 청백을 신조로 삼았고 군율이 엄정하여 부하들이 경외하였다. 특히, 효종의 북벌계획에 따라 유혁연(柳赫然)·이완(李浣)과 함께 깊은 신임을 받았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10년(광해군 2)
- 사망 :
- 1669년(현종 10)
- 경력 :
- 함경도병마절도사, 경상좌도병마절도사, 경상우도병마절도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밀양(密陽)
-
김우항 제중(濟仲), 金宇杭北漢句管堂上)을 겸하며 산성과 행궁의 축조 책임을 맡았다. 1712년 과옥(科獄: 과거시험 관련 옥사)이 일어나자 소론으로서 자기의 당여를 두둔하지 않고 엄정하게 사실을 규명해 소론으로부터 배척을 받기도 하였다. 이듬해 우참찬·예조판서·판의금부사를 거쳐 우의정이 되었으며, 1716년 내의도제조(內醫都提調...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49년(인조 27)
- 사망 :
- 1723년(경종 3)
- 경력 :
- 정언, 수찬, 교리, 경상도관찰서, 이조참판, 대사성, 이조판서, 우의정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갑술옥사, 신임사화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김해(金海)
-
박대립 수백(守伯), 朴大立차례로 역임하고 우찬성이 되었다. 1582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겸임하였고, 이어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낸 뒤 다시 우찬성을 거쳐 좌찬성이 되었다. 기품이 장중하고 의지가 확고하였으며, 효도와 우애가 독실하고 가법이 엄정하였다. 또한, 검소하여 청빈하게 살았으나 남을 돕기에 힘썼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12년(중종 7)
- 사망 :
- 1584년(선조 17)
- 경력 :
- 예문관검열, 양주교수, 봉상시참봉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함양(咸陽)
-
산탄데르 프란시스코 호세 데 파울라 산탄데르 이 오마냐, Francisco de Paul..새 헌법이 공포된 이후 산탄데르는 다시 부름을 받아 1833년 4월 1일 누에바그라나다의 대통령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그의 정치는 검소하고 건실하며 엄정한 것으로 정평이 났다. 그러나 볼리바르파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취함으로써 약간의 소요가 일어났고, 실패로 돌아가기는 했지만 호세 사르다 장군이 이끈 정부...
- 출생 :
- 1792. 4. 2, 누에바그라나다 로사리오데쿠쿠타
- 사망 :
- 1840. 5. 6, 보고타
- 국적 :
- 콜롬비아
-
장안사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長安寺 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의 내용은 제1편인 통서인유편(通敍因由篇)에 예수재의 시원을 밝히고, 이로 인하여 모든 중생들이 차별 없이 극락으로 왕생할 수 있음을 밝혔다. 제2편인 엄정팔방편(嚴淨八方篇)에 재를 개설하여 부처님의 가호 아래 기도에 따라 감응할 것을 기원한다. 총 31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매 편마다 의식을 행하는 의의를...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신국 경진(景進), 金藎國뒤 춘추관의 사관(史官)이 되어 전란으로 소실된 일록(日錄)을 보충하기 위해 사료의 수집을 간청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군기선유관(軍機宣諭官)으로 엄정하게 군공을 논정하였다. 그 뒤 정언(正言)을 거쳐 1599년 사복시정(司僕寺正)이 되었고, 어사로서 관서지방을 순무하였다. 북인(北人)이 대북(大北)과...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72년(선조 5)
- 사망 :
- 1657년(효종 8)
- 경력 :
- 영중추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청풍(淸風)
-
유한인 여옥(汝玉), 兪漢人나가 민막(民瘼)을 제거하고 기민(饑民)을 구휼하는 등 선정을 베풀어 그 고을 백성들이 뒤에 송덕비(頌德碑)를 세웠다. 유한인은 인품이 청간(淸簡), 엄정(嚴正)하였으며 공무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사사로운 일을 돌보지 아니하였다. 또한, 여가에는 경의(經義)를 강론하며 백성들의 교화에 힘쓰는 한편, 청담(淸淡)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41년(영조 17)
- 사망 :
- 1806년(순조 6)
- 경력 :
- 단성현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기계(杞溪)
-
홍숙 순부(純夫), 洪淑판서를 거쳐, 좌찬성에 올랐으나 이해 김안로(金安老) 일당이 날조한 작서지변(灼鼠之變)에 연루, 삭직된 뒤 과천으로 추방되었다가 1538년 복관되었다. 전고(典故)에 밝아 정치를 함에 대체를 잃지 않았고, 스스로의 몸가짐에 있어서도 엄정하면서도 관후하였다. 특히 효성이 돈독하였다. 시호는 장희(莊僖)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64년(세조 10)
- 사망 :
- 1538년(중종 33)
- 경력 :
- 대사헌, 경기도관찰사, 우참찬, 지중추부사, 한성부판윤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이유간 강중(剛仲), 李惟侃치사하였다. 천성이 자애롭고 선량하였으나 일을 처리할 때에는 강하고 과단성이 있었으며 군읍(郡邑)에 나가서는 간사하고 교활한 언동을 금하고 세금부과에 엄정하여 치적이 드러났다. 이호민(李好閔)·서성(徐渻) 등과 교환이 있었으며, 둘째 아들인 이경석(李景奭)이 승지로 있을 때 내전으로부터 황감(黃柑)을 특사...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50년(명종 5)
- 사망 :
- 1634년(인조 12)
- 경력 :
- 사산현감, 돈녕부도정, 동지중추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