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떡볶이
    채소를 넣고 양념을 하여 볶은 음식. 한국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 중 하나이며, 떡볶이의 주재료인 가래떡은 설날에 떡국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이는 악귀를 물리치고 복이 오는 것을 기대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유래 옛 문헌에는 떡볶이가 '병자(餠炙)'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 중기인 1469년 전순의가 쓴 의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음식
  • 더위팔기 매서
    복숭아나무의 가지를 꺾어 둥글게 목에 걸어준다. 왼새끼를 목에 걸어주는 것은 고대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며,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나무의 가지는 악귀를 쫓는 민속적 주술로 쓰이는 일이 많아 더위를 막는 효과가 있다고 믿는 데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 옛날에는 입춘날 아침에 더위팔기를 했다는 기록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경이로운 소문 2: 카운터 펀치 驅魔麵館2:全面回擊
    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 《경이로운 소문 2: 카운터 펀치》는 2023년 7월 29일부터 2023년 9월 3일까지 방영된 tvN 토일 드라마다. 더 강해진 악귀 사냥꾼 카운터들이 더 악해진 지상의 악귀들을 물리치는 통쾌하고 땀내 나는 악귀 타파 히어로 드라마 베티앤크레이터스 (BETTY & Creators) 박지영 김새봄 : OCN 토일...
    도서 위키백과
  • 장신구의 종류
    청동으로, 청동에서 다시 새로운 물체로 대체되었고 용도도 장식적인 대상으로 바뀌었다. 또한 이집트 시대에는 호신용으로 불멸의 상징인 딱정벌레를 세공해 악귀를 쫓아내는 브로치가 만들어졌다.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4각형의 조각을 어깨부분에 붙이고 다니는 풍습이 있었는데 여기에 브로치가 사용되면서 장식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춘천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
    곡마을에서 '거리제'가 행해지고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3일과 9월 9일에 소나무 장승과 제물을 준비해 온 마을 사람들이 모여 제사를 지내는데, 이때 동네에 악귀가 들지 않고 농사가 잘 되도록 해달라고 기원한다. 제사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은 음식을 나누어 먹고 길을 고치는 등 마을 공동작업을 하기도 한다. 대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탑이사 칭하이 성에서 제일 큰 티베트 불교 사원
    건축물로, 여행자라면 누구나 탑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는다. 소금와사(小金瓦寺) 2층 회랑에 진열돼 있는 들소, 양, 곰, 원숭이 등 동물 표본은 모든 악귀가 신에게 정복당했음을 의미한다. 건물은 1631년에 축조했다. 대경당(大经堂) 탑이사에서 규모가 가장 큰 건물로 2,000㎡ 부지에 168개의 대형 기둥을 세워...
    위치 :
    西宁市 湟中县 金塔路 56号
    요금 :
    ¥80
    참고 :
    (0971)223-2357
    가는 법 :
    시간은 시닝 주요 시외버스 노선표 내 '신닝루 터미널 시간표' 참조.
    이용 시간 :
    08:00~17:00
    도서 인조이 중국 | 태그 해외여행
  • 3재 三災
    경향이 있다. 세속에서는 이와 같은 복설을 믿고 3마리의 매를 그리거나 삼두일족응 부적을 문설주에 붙여 액을 막는다. 지역에 따라서는 정초에 홍수매기를 하여 가족 중에 3재가 든 사람의 액막이를 해준다. 절이나 무당집에 가서 부적을 해오기도 하고 제웅을 만들어 땅에 묻거나 들판에 버려 악귀를 쫓아내기도 한다...
  • 장력신년 藏曆新年, Tibetan New Year Festival
    대기원회'를 거행했으며, 도신·열병식·경마 등의 행사가 있었다. 이에 따라 크게 절에 재물을 시주하며 라싸에 이르러 강신(신을 내리게 함)과 구간(악귀를 쫓음)이라는 이름을 가진, 희생 역할을 하는 두 사람이 성 밖으로 나가는 의식을 치른다. 희생 역할을 하는 두 사람은 얼굴 반쪽을 검게 칠하고 거친 모피 옷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부석사 조사당 벽화 浮石寺 祖師堂 壁畵
    신이다. 그리고 사천왕은 이 두 천신(天神)에게 직접 통제되는 천왕(天王)이다. 내용 제석과 범천은 풍만하거나 우아한 귀부인의 모습이다. 그리고 사천왕은 악귀를 밟고 서서 무섭게 노려보는 건장한 무장상이다. 위풍당당하거나 우아한 형태와 능숙한 필치 등에서 고려 불화 가운데서도 독특한 품격을 보여 주고 있다...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산신 산신령, 山神
    풍산신의 성격을 띠고, 유목민에게는 대체로 사냥감을 풍부하게 내리는 은혜자이면서도 노여움을 내는 존재이며, 인간에게는 아이를 가져다주는 신이자 그 생명을 악귀들로부터 보호하는 수호신이다. 산신의 신체는 호상과 신선상이며, 산신에게 제사하는 일을 산제,·산신제라고 한다. 한국은 일찍부터 산신제를...
  • 달집태우기
    치면서 불이 다 타서 꺼질 때까지 춤을 추며 주위를 돌고 환성을 지르기도 한다. 개중에는 달집 속에 대나무들을 넣어서 그것이 터지는 폭음으로 마을의 악귀를 쫓는다는 곳도 있다. 또, 그때까지 날리던 연을 비롯한 여러 가지 태울 것들을 달집 위에 얹어서 다같이 태우기도 한다. 이 때 소년들은 이웃 마을들과 횃불...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곡우 穀雨
    볍씨를 담갔는데, 이때 볍씨를 담가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며 밖에서 부정한 일을 당하였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 집안에 들어오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않는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잘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속신(俗信)이...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악귀(gobli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