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쌍계사 일주문 雙磎寺 一柱門
    깍은 교두형(翹頭形)이다. 주심(柱心) 대첨차와 출목(出目) 대첨차, 그리고 주심 소첨차와 출목 대첨차의 길이는 같으며, 첨차 윗면에는 공안(栱眼 : 소로소로 사이의 윗면을 활모양으로 깎아낸 부분)을 두지 않았다. 내외 출목의 간격은 첨차폭의 1.5배 정도로 다소 넓은 편이다. 살미첨차는 가늘고 예리한 앙서형...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소겨리
    중부 이남의 일부 산간지대에서도 소겨리를 했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우하영(禹夏永)의 〈천일록 千一錄〉에는 "영서·영동을 막론하고 밭을 2마리의 소로 간다"와 황해도의 봉산·재령·신천·안악에서도 "밭은 소 2마리로 간다"는 기록과 함께 경상도에서는 "밭은 2마리의 소로 가는데 하동에서는 흔히 1마리를 사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장위제1동 長位第1洞
    장위제2동을 조정하여 장위제3동을 신설하였다. 이때 장위제1동은 장위동 108-1번지 도봉구와의 경계를 기점으로 197-12번지를 경유, 199-40번지에 이르는 소로와 199-40번지에서 238-199번지를 경유, 68번지 앞에 이르는 도로와 산3-4번지 북측 지적선과 연결되는 서북지역을 관할하였다. 이후 1994년 12월 26일 서울...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내성유곡권충재관계유적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乃城酉谷權冲齋關係遺蹟
    밑면을 모를 접은 몰익공형식의 부재를 내어, 이 부재 위에 장여를 얹어 외출목도리모양으로 조금 내민 주심도리를 받치고 있고, 주간(柱間)의 창방 위에 소로받침을 두었다. 가구(架構)는 5량으로, 대들보를 앞뒤 평주(平柱) 위에 걸고, 이 위에 첨차와 소로로써 동자기둥을 만들어 중도리 밑의 장여와 종보[宗樑]를...
    시대 :
    조선
    건립시기 :
    조선 중기
    성격 :
    누정, 누각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분야 :
    생활/주생활
  • 지전 紙田
    7결을 지급했다. 향·부곡의 경우에는 100정 이상은 미상이며 50정 이하에 3결을 지급했다. 역의 경우에는 역무 부담의 다소에 따라 대로역·중로역·소로역으로 나뉘는데, 대로역에는 5결, 중로역·소로역에는 각각 2결을 지급했다. 그런데 이 규정에는 중앙 공해전에 대한 토지 지급이 없다. 1178년(명종 8) 경정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경주 양동 무첨당 慶州 良洞 無忝堂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간살은 5량(五樑)으로 대들보를 앞뒤 평주 위에 걸고 그 위에 밑면이 초각된 동자기둥을 놓고 중도리 방향으로도 밑면이 초각된 첨차와 소로를 짜넣어 종보와 중도리를 받치고 있다. 종보 위에는 아름답게 초각된 판형의 대공에 첨차·소로를 짜넣어 중도리를 받치고 있다. 대청과 누마루의 전면은...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카운터페이터 The Counterfeiters
    공장 Des Teufels Werkstatt〉(1985)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이 영화는 집단 수용소에 수감된 상습범이자 지폐 위조 전문범인 살로몬 소로비치(배우 카를 마르코빅스)라는 인물에 초점을 맞춘다. 그는 작센하우젠 수용소에서 나치 정권이 영국 은행 화폐를 위조하여 인쇄하는 것을 돕고 있는 유대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개념이 다름을 알 수 있다. 1800년대 말엽의 조리서인 『시의전서(是議全書)』에 나오는 남과선(호박선)에서 비로소 “애호박의 등쪽을 도려 내고 갖은 양념을 소로 넣고 푹 쪄낸 다음 그 위에 초장에 백청을 타서 붓고 고추·석이·달걀을 채쳐 얹고 잣가루를 뿌려 쓴다.”고 하여 조리법이 오늘날의 선과 비슷해지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식생활
  • 여경암(부) 거업재, 산신당 餘慶庵(附) 居業齋, 山神堂
    덤벙주초석을 놓고 굵은 원형 기둥을 세웠는데, 기둥 상부에는 주두(柱頭)를 놓고 보[樑] 방향으로는 간결한 양봉(樑棒)이, 그리고 도리 방향으로는 양쪽에 소로[小累]가 끼워진 주심첨차를 결구시켜 간단한 형태의 공포(栱包)를 설치하였다. 건물의 내부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만들고, 전면 툇마루 천장은...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수운정 睡雲亭
    정자의 평면은 모두 마루로서 어간의 길이를 협간보다 두 자 남짓 길게 구성하였으며, 마루 주위는 머름만 설치하고 사방을 터놓았다. 몰익공(沒翼工) 형식의 소로[小累] 수장구조로서 창방(昌枋) 위에 소로를 배치하여 장여와 굴도리를 받도록 한 간결한 형태이다. 가구(架構)도 어간의 전후 평주 위에 대들보를 놓고...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개계 開啓
    정토 정토결계진언(原夫 凡峙法筵 先使方隅嚴淨 恭依科敎全杖加持 所以 水含淸淨之功 法有神通之用 將法備水 用水潔心 灑斯法筵 成于淨土 淨土結界眞言) 옴 소로소로훔’의 사설을 홋소리로 불러서 「원부개계(原夫開啓)」라 부른다. 이들 외에도 영산재(靈山齋)에 쓰이는 개계가 있는데, 이것을 「영산대개계(靈山大開...
    성격 :
    범패(梵唄)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아산맹씨 행단 牙山孟氏 杏壇
    있는 대공이나 솟을합장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즉, 종도리를 직선에 가까운 솟을합장으로 결구(結構)하고, 종도리 밑의 장여를 굽면이 사면인 소로로써 물고, 이 소로를 사다리꼴의 대공으로 떠받치고 있다. 이 모습은 옥산(玉山) 독락당(獨樂堂)의 대공과 같은 모양이고, 또 은해사거조암영산전(銀海寺居祖庵靈山殿)의...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0건

소로
토제소로간벽
목제소로
헨리 소로
바이스게르버 소로(Weissgerbergasse)
소로의 속삭임
헨리 데이비드 소로
황금 소로(Zlatá Ulička)
황금 소로(Zlatá Ulička)
소로(Henry David Thoreau)
소로의 여러가지 형태
황금소로(Golden Lane, Zlatá Ulička)
황금소로(Golden Lane, Zlatá Ulička)
황금소로(Golden Lane, Zlatá Ulička)
황금소로(Golden Lane, Zlatá Ulička)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
더보기